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죽기 전에 시 한 편 쓰고 싶다

죽기 전에 시 한 편 쓰고 싶다

(내 안의 시인과 만나는 풀꽃 시인 나태주의 시 쓰기 수업)

나태주 (지은이)
리오북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8개 4,4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죽기 전에 시 한 편 쓰고 싶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죽기 전에 시 한 편 쓰고 싶다 (내 안의 시인과 만나는 풀꽃 시인 나태주의 시 쓰기 수업)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5729562
· 쪽수 : 345쪽
· 출판일 : 2016-03-29

책 소개

"오래 보아야 예쁘다. 너도 그렇다." '풀꽃 시인' 나태주의 시이다. 그는 이 두 문장만으로도 수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따뜻하게 했고, 그의 시는 지금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런 나태주 시인이 사람들에게 말한다. 우리는 누구나 '시인'이 될 수 있다고. 당신 안의 그 시인을 끄집어내 보자고.

목차

책머리에
가슴이 설레어 눈물 글썽이기도 하는 당신

1부 시 속엔 시가 없다
나마스떼/ 버킷리스트로서의 시 쓰기/ 마음의 반창고/ 포기할 수 없는 인생/ 인간이란 존재/ 도구로서의 언어/ 입말과 글말/ 시 속엔 시가 없다/ 시란 어떤 글인가/ 시와 산문/ 시에 쓰이는 언어

2부 시에 대해서
좋은 시/ 찾아오는 시/ 사람을 살리는 시/ 신이 주시는 문장/ 모르는 만큼 느낀다/ 민들레 씨처럼/ 모든 시는 자서전이다/ 마음 들여다보기/ 시의 출발은 중얼거림이다/ 사물에게 말 기/ 시의 첫 문장 떠올리기/ 시인이라는 이름/ 시인, 감정집단의 대변인/ 왜 시인을 부르나/ 시를 쓰게 하는 마음/ 마음의 블랙박스/ 꿀벌의 언어/ 물 보면 흐르고/ 보리밥으로서의 시/ 시한테 진 빚

3부 아내와 시 쓰기
글씨 쓰기와 글쓰기/ 귀시인, 입시인, 글시인/ 우리 남편/ 꽃잎 눈/ ‘비단강’을 첫 글자 운으/ 연/ 영산홍/ 가을/ 겨울 오리/ 개처럼/ 개밥/ 아파트 9층/ 시 할아버지

4부 나의 시 이렇게 썼다
소년시 두 편/ 대숲 아래서/ 돌계단/ 내가 너를/ 비단강/ 사랑하는 마음 내게 있어도/ 시/ 기쁨/ 행복/ 풀꽃/ 오늘도 그대는 멀리 있다/ 선물/ 너무 그러지 마시어요/ 부탁/ 멀리서 빈다/ 황홀극치/ 아끼지 마세요/ 이 가을에/ 꽃그늘/ 묘비명

함께 읽는 글
맺는 글

저자소개

나태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충남 서천에서 태어났다. 공주사범학교를 졸업하고 1964년부터 43년 동안 교직 생활을 했으며, 2007년 공주 장기초등학교 교장으로 정년 퇴임했다. 197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대숲 아래서'가 당선되며 문단에 등단한 이후 50여 년 동안 시집, 산문집 등 200여 권의 책을 썼다. 공주문화원장과 한국시인협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2014년부터는 ‘나태주풀꽃문학관’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 몸에 가벼운 상처가 났을 때는 반창고를 발라 치료를 돕지요. 그러나 마음에 난 상처에는 무엇을 발라야 좋을까요? 마음의 상처에 바르는 반창고라? 아무래도 시밖에는 없는 듯싶어요. 문학관을 찾아오는 많은 사람들은 말합니다. 시를 읽으면 마음 이 편안해지고 위로를 받게 된다고.
정말로 오늘날 우리 시인들의 시가 그런 소임을 맡았으면 좋겠어요. 삶에 지친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고, 기쁨을 주고, 사랑하는 마음을 회복해주고, 드디어 행복감에 이르게 하는 역할을 해줬으면 좋겠어요. 시골 시인이며 작은 시인이며 늙은 시인이지만, 내가 쓰는 시 한 편에 정말로 그런 반창고가 들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봅니다.
_<마음의 반창고> 중에서

햇빛이 너무 좋아
혼자 왔다 혼자
돌아갑니다.
― <그리움>, 나태주

젊은 시절의 일입니다. 지금은 아파트에서 살고 있지만, 저 아랫마을 금학동 감나무 두 그루가 비좁은 마당을 지켜주던 단독주택에서 살던 때에 쓴 작품입니다. 하루인가는 일요일 집을 비우고 전 가족이 외출을 했는데, 강신용이라는 대전 시인이 나를 찾아왔다가 아무리 대문을 흔들어도 인기척이 없으니 그냥 돌아가면서 그래도 섭섭해서 종이쪽지에 글을 한편 써서 마당에 던져놓고 간 일이 있었습니다.
‘선생님, 저 왔다가 갑니다. ―강신용’
아마도 쪽지의 내용은 그렇게 쓰여 있었을 것입니다. 저녁시간 집에 돌아와 이 쪽지를 발견한 나는 미안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그 미안한 마음을 시로 썼을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강신용 시인이 그랬듯이 누군가를 보고 싶어 혼자 찾아갔다가 돌아가는 것이 바로 그리움입니다.
_<시를 쓰게하는 마음> 중에서

은영 씨. 시는 언어로 쌓은 탑입니다. 탑 가운데서도 금자탑입니다. 그러므로 한 마디의 말을 아끼고 하나 의 문장을 아껴야 합니다. 아닙니다. 단어 하나하나를 아끼고 월점 하나까지도 조심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결코 함부로 해서는 안 될 일입니다.
시를 쓴다는 것은 시인들이 이 세상 모든 사물과 우주에게 말을 거는 것과 같습니다. 그럴 때, 나 자신은 입 다문 나이고 사물은 무뚝뚝한 사물들이고 우주는 오직 적막한 우주입니다. 은영 씨도 매우 무뚝뚝한 사람을 만나본 적이 있지요? 그럴 때 어떻게 했던가요? 네. 모름지기 상냥하고 부드럽게 말을 걸어야 합니다. 조심해서 말을 걸어야 하고 최선의 말을 골라서 해야 합니다. 최대한 좋은 말로 겸허하게 말을 걸어야 합니다. 그래야 시가 문을 열어줍니다. 함부로 아무렇게나 지껄여서 문을 열어줄 시가 아닙니다.
_<시를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중에서

만지지 마세요
바라보기만 하세요
그저 봄입니다.
― <그저 봄>, 나태주
벌써 몇 해 전의 일입니다. 어느 봄날, 함께 일하는 처녀아이들이랑 한 식당으로 점심식사를 하러 간 일이 있었습니다. 그 식당 주변에 매화나무가 있었고 매화나무는 봄을 맞아 온몸에 매화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장난삼아 내가 그 매화 한 송이를 따서 한 아가씨에 주었습니다. 그러자 그 아가씨가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만지지 마세요.”
그러자 옆에 있는 아가씨가 한마디 거들었습니다.
“바라보기만 하세요.”
그 말을 듣고 내가 보탰습니다.
“그저 봄입니다.”
이렇게 해서 시 한 편이 이루어졌습니다.
물론 이것은 완벽한 시, 짜임새가 좋은 시라고 볼 수는 없는 약간은 해학적인, 소품에 그친 작품의 예입니다. 다만 이렇게 일상생활의 대 화 속에서도 시를 건져낼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들어본 예시일 뿐 입니다. 시 쓰기의 출발에서 자기 혼자서 하는 대화, 중얼거림도 중요하지만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사물과의 대화, 사물에게 말 걸기입니다.
_<사물에게 말 걸기>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