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5773824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19-05-1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8
추천의 글 15
헌정사 17
감사의 글 19
서문20
도입 23
1무함마드의 최초의 이주 25
선지자의 모범
2이슬람 이주의 형태 33
3무슬림의 이주인가 이슬람의 정복인가 43
단독 이주나 기존 사회로의 통합을 지향하는 이주를 금지하는 명령들
4법률 지령의 형성에 대한 이해 51
타이시르를 통해 간편하게 함 | 다루라(필요)
5합법적인 이슬람 이주의 이유와 목적 61
6이주의 목적 65
7헤지라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73
탐킨(강화) | 이으다드(준비) | 탐킨의 두 가지 중요한 형태 | 무슬림과 비무슬림 모두
를 대상으로 하는 외적인 탐킨(이슬람의 강화) | 이으다드의 목적과 중요성 | 탐킨과 그 목적
8정치적 전술들과 종교적 이주 93
9야스립(메디나) 공격 103
15개의 아랍 부족들과 동맹 | 무다라트(속임수) | 전쟁 서약 | 목표설정 | 모순적인
행동에도 불구하고 권위를 유지할 수 있었던 근거 | 방대한 하부조직 확립
10무함마드의 이주로부터 배우는 탐킨과 이으다드 원리 119
모스크 | 식생활 규칙 | 히잡 | 샤리아 | ‘무해한’것처럼 보이지만 폭발적인 잠재력을 가진 변화 | 이흐티라즈
(예방책) | 대적을 제거함 | 무슬림 이주와 무함마드의 모범
11과거 그리고 현대에 이루어지고 있는 이주 교리의 실천 135
무슬림들의 행동패턴 예측
12결론 145
부록A | 이슬람 Q&A 149
1 의도적인 모호함은 언제 허락되는가?
만약 필요한 때라고 말한다면, 그 필요를 어떻게 정의 내릴 수 있는가?
2 여성이 공부하기 위해 베일을 벗는 것은 허용되는가?
3 여성이 남성들의 기도모임을 인도하는 것에 관한 판결
4 헤지라의 대상이 되는 나라의 특징들
5 런던 지하철 테러 이후 발생한 어려움 때문에 히잡을 벗어야 하는가?
6 그는 카피르(불신자)의 땅으로 다시 돌아가서 살아야 하는가?
7 공동체나 모스크가 없는 카피르의 땅에서 사는 것
8 이주 이후의 탐킨(강화)과 이으다드(준비)에 관한 공식적인 파트와
9 “비무슬림 국가에 거주하는 것”에 관한 다른 판결들
-웹사이트 주소 링크
부록B | [표] 샤리아를 통한 이슬람 교리의 진행 204
출처 205
찾아보기 209
책속에서
오늘날 유럽과 미주 지역에서 무슬림 이민자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무슬림 공동체는 이주 국가의 사회 공동체로부터 스스로를 분리시키고 점점 더 많은 권리와 특권을 요구하며 성장하고 있는데, 최근 영국에서 샤리아 가족법이 채택된 예는 이를 잘 말해준다. 이런 상황을 보며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공동체들은 자유사회와 공존하고 통합되기를 원하는가? 아니면 무함마드가 최초의 헤지라를 통해 본을 보인 ‘이주의 교리’에 따라 ‘이슬람의 집’을 확장시키고 있는 것인가?
-머리말
헤지라의 가장 중요한 결과는 이슬람이 메카의 경계를 넘어 외부세계로 그것도 종교로서 뿐만 아니라 하나의 복합적인 사회종교적, 사회정치적인 조직으로서 전파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헤지라가 하나의 삶의 방식, 의미 있는 종교, 정치조직으로서의 이슬람을 전파하고 무슬림 국가를 넘어서까지 그것을 공고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서 간주되는 것이다.
- 무함마드의 최초의 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