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91195863440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17-06-05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미디어 운동이 탄생시킨 그 시민
제1부 20세기엔 무슨 일들이 있었을까? (1920~1998)
1장 심하게 간추려 쓴 한국 언론사
2장 좀 덜 심하게 간추려 쓴 한국 언론 운동사
제2부 안티조선 운동이 탄생하다 (1995~1999)
3장 강준만, 《조선일보》라는 문제를 발견하다
4장 최초의 정권 교체, 그리고 ‘지식 권력 교체’론
5장 최장집 사건
6장 좌파들의 합류와 미디어 대중 운동의 폭발
곁가지 이야기 1 《조선일보》 문제와 ‘극우 헤게모니론’
곁가지 이야기 2 일상적 파시즘과 부드러운 파시즘
제3부 시민운동과 미디어 대중 운동의 화학적 결합 (2000~2002)
7장 총선시민연대의 좌절과 《조선일보》 반대 지식인 선언
8장 ‘상식’ 담론의 탄생과 한총련 논쟁
9장 언론사 세무조사와 일인 시위, 그리고 홍위병 논란
10장 옥천 전투의 성공과 미디어 운동의 대중화
곁가지 이야기 3 문학권력 논쟁
곁가지 이야기 4 진중권, 《조선일보》 ‘밤의 주필’이 되다
제4부 찰나의 황금시대, 2002년의 영욕 (2002)
11장 선거의 해, 민주당 지지자와 좌파들이 분열하다
12장 ‘미디어 운동 도우미’ 노무현이 부상하다
13장 전면에 등장한 노사모, 그리고 유시민의 책략
14장 2002년 대선의 ‘언론 전쟁’이 먼저 보여준 것
곁가지 이야기 5 사이버 민중주의, 노무현을 만나다
제5부 혼돈의 참여정부 (2003~2007)
15장 포위당한 참여정부
16장 참여정부와 조중동 간의 내전
17장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미디어 운동의 지체
곁가지 이야기 6 유시민과 개혁당의 당원들
곁가지 이야기 7 미디어 운동의 또 다른 후예, 변희재
제6부 미디어 운동이 보수정부 십 년에 미친 영향 (2008~2017)
18장 2008년 촛불시위와 노무현의 죽음
19장 이명박 시대의 미디어 환경과 미디어 운동
20장 나꼼수와 종편, 2012년 대선과 박근혜 시대를 열다
21장 SNS?언론 연합군, 박근혜를 쏘다
22장 2016년, 네 번째 대규모 광장 촛불이 끌어내린 보수정부
닫는 글 손석희를 기점으로 - 미디어 운동에서 미디어 실천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