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91195931910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16-11-15
책 소개
목차
그리스 로마 시대 의학과 미술에 대한 기억
1 아스클레피오스 주술, 의학, 그리고 이미지
2 히포크라테스, 의학의 합리성과 역사의 재구성
3 알렉산드리아, 고대 의학의 전성기와 상사병
4 갈레노스, 고대 의학 이론과 중세의 세계상
5 사혈 치료, 체액설과 인간의 속성
중세 의학과 미술, 고요한 위대함
6 고대 서양 의학의 전통을 계승한 아랍 사회
7 파라켈수스의 의화학, 연금술이 변화시킨 세계
8 페스트와 죽음의 춤
9 자비와 치유 사이, 서유럽 병원 공간의 탄생
10 의사를 닮은 성인들, 장기 이식에 대한 상상력
근대 세계 의학과 미술의 교감, 확장된 전문 영역
11 레오나르도 다 빈치 인체를 보는 새로운 눈
12 베살리우스의 해부학, 의학과 미술의 만남
13 해부학 극장, 지식, 사회, 그리고 문화
14 윌리엄 하비, 혈액과 우주의 순환
15 백신, 질병 예방과 사회 풍자
근현대 경계가 만들어낸 의학과 미술의 풍경
16 청진기의 탄생과 문화적 의미
17 산과의사, 산파 직업의 재구성과 사회적 관계
18 마취하는 의사와 고통을 바라보는 시선
19 연구하는 의사의 모습과 동시대인의 감정
20 우리 시대 의사의 자화상
리뷰
책속에서
유럽에 유입된 페스트는 중세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던 흥미로운 요인 중 하나였다. 페스트가 지나간 후 남아있는 사람들에게 돌아갔던 재화는 기존에 살았던 사람들에게 돌아갔던 재화보다 많았고, 이런 점은 중세 도시의 시장을 변화시켰던 요인이었다. 전염병의 대유행은 중세 교회와 신념들이 무너지는 촉매제의 역할을 했고, 예술 분야에서는 삶과 죽음에 대한 관조를 다루는 작품들을 만들어냈다. 따라서 중세를 통해서 사유했던 문제들을 드러내면서 근대의 변화를 인도하고 있었다. 브뢰헬이 그린 <죽음의 승리>는 이 같은 풍경을 바라보던 화가의 문화적 관점을 흥미롭게 보여주고 있다.
연금술은 자연의 변성 과정을 인간이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발전했던 실천적이면서 다양한 철학적 사유가 반영된 학문이었다.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이야기에서 시작하는 연금술은 변성을 둘러싼 다양한 화학적 실험을 발전시키고 확장시켰고, 이런 점은 의화학뿐만 아니라 자연과 완성을 둘러싼 우주, 즉 세계를 의미하는 대우주와 인간을 의미하는 소우주에 대한 문화적 의미를 확장시켜 나갔다. 이런 점은 루벤스가 초상화를 남기기도 했던 르네상스 시대 연금술을 적극적으로 의학에 접목한 파라켈수스에 의해서 심화되었고, 이후 연금술사의 모습을 지닌 의사의 모습으로 수용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