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91196667733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19-11-22
책 소개
목차
- 서 문 -
제1장 경제
1. 금리인하와 환율인상
2. 소득과 여가
3. 상표(브랜드)
제2장 교육
1. 학제개편과 교육내용
2. 진로선택과 유행
제3장 문화
1. 수류화개재
2. 바이올린
3. 사진예술
4. 책
5. 피아노와 독학
6. 해학(Humor)
7. 문화재와 예술
8. 웨딩드레스
9. 글자와 말
10. 내 이름의 영어 표기
제4장 사회
1. 공정성과 신뢰
2. 분노조절장애와 조직
3. 586세대
4. 연예인
5. 진정한 혁신과 창의
제5장 법학
1. 표현의 자유
2. 선출직과 특정직
3. 민주성과 효율성
4. 능력주의
제6장 국제정치
동서독 통일과 남북한 통일
제7장 정치
권력과 권한 그리고 사랑
제8장 종교와 철학
1. 팔로우 스루
2. 일상에서의 마음공부
3. 금욕, 수양, 달관
제9장 공학
1. 제행무상
2. 전화
<부록>
1. 남로당의 형성과 투쟁
2. 사회주의 경제관리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넷 다 공에 힘을 싣기 위해서는 팔로우 스루(follow through)가 중요하다. 즉 테니스공과 탁구공에 탑 스핀 드라이브를 걸기 위해서도 팔로우 스루가 중요하고 야구 만화에서 배트에 공이 맞는 순간 공이 이지러지는 것처럼 과장되게 그리는 것도 야구공을 멀리 보내기 위해서는 배트로 끝까지 밀어줘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당구에서도 밀어치기나 끌어치기 모두 큐대를 끝까지 밀어줘야 한다. 이 모든 것들은 운동체인 공이라는 둥근 모양의 구체(球體)와 그에 힘을 가하는 라켓, 클럽, 배트, 큐대와의 물리법칙의 공통성 때문에 생긴 현상이다. (팔로우 스루)
이것은 깨닫고 나서 계속 수행을 강조한 지눌스님의 돈오점수(頓悟漸修)와 논어에 나오는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와 너무도 비슷하다. 당장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습관(習慣)의 습(習)과 논어의 학습(學習)의 습(習)자가 같은 한자 아닌가? 금욕의 원뜻이라는 연습(演習: exercise)에서도 같은 습(習)자가 쓰이는 것이 또한 일맥상통한다. (금욕, 수양, 달관)
권력(權力)과 권위(權威) 그리고 권위의 특별한 경우로서 카리스마는 정치적(政治的) 개념이고, 개인의 권리(權利)와 일정한 지위에 부여되는 권한(權限)은 법적(法的) 개념이다. 권력(權力)은 법적인 권한에 기초한 강제력에 더하여 보통 초법적(超法的)인 성향을 띤다. 과거 왕조시대에는 견제 받지 않는 무소불위(無所不爲)의 권력이었다면 법치주의가 완비되면서 그 야생마와 같은 권력을 법으로 통제하게 되었는데 그게 완벽하지 못하여 또는 법의 굴레를 벗어나고자 하는 권력의 속성이 남아 법(法) 이론적으로 구성한 것이 통치행위(統治行爲)였다. (권력과 권한 그리고 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