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탈교회

탈교회

(탈교회 시대, 교회를 말하다)

김동규, 김동춘, 김선일, 배덕만, 안창덕, 옥성득, 전인수, 정재영, 주상락, 지성근, 최규창, 최현종, 황대우 (지은이)
느헤미야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탈교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탈교회 (탈교회 시대, 교회를 말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9119690793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0-12-21

목차

인사말_ 교회와 탈(脫) 교회 이야기를 시작하며•권연경

1부 / 탈교회 현상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분석
1장 _그들은 왜 교회를 떠나는가?: 한국교회의 가나안 현상에 대한 이해 •정재영
2장_탈교회 현상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분석•최현종
3장_소속없는 신앙인들의 정체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세속성자 수요모임을 중심으로• 안창덕

2부 / 포스트 크리스텐덤 시대의 탈교회
4장_탈교회 시대의 교회: de-churched인가, post-churched인가?•김선일
5장_제도 교회 밖의 교회를 상상하다•지성근
6장_평신도 교회: 우정, 평등, 비일상의 해석공동체를 위하여•최규창

3부 / 탈교회 현상에 대한 교회사적 접근
7장_김교신의 무교회주의와 탈교회•전인수
8장_식민지 시기 탈교회 현상과 비판 담론 1910~34년•옥성득
9장_교회론적 관점에서 본 소종파 운동 : 재세례파, 퀘이커, 형제단•배덕만

4부 / 탈교회 현상에 대한 교회론적 비판
10장_탈교회 시대의 그리스도교 교회론•김동춘
11장_전통적 교회론에서 본 탈교회 •황대우
12장_개신교는 가톨릭교회일 수 없는가?: 탈교회 현상과 개신교 교회론에 대한 문제제기•김동규

부록_대담_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탈교회, 진단과 전망 •정재영 주상락 김동춘

저자소개

김선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신대학교에서 신학(B.Th.)을 공부하고, 미국 풀러신학대학원(Fuller Theological Seminary)에서 목회학 석사(M.Div.)와 실천신학 박사(Ph.D.) 과정을 마쳤다. 귀국 후 학원복음화협의회와 예수소망교회에서 사역했으며, 지금은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의 실천신학 및 선교와문화 담당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전도의 유산》, 《한국 기독교의 성장 내러티브》, 《기독교적 회심의 해석과 실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선일의 다른 책 >
지성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일상생활사역연구소 소장이자 미션얼닷케이알(missional.kr) 대표이다. 부산대학교 사학과(B.A)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한 뒤, IVF(한국기독학생회) 캠퍼스 간사와 IVF 부산지방회 대표간사, IVF 부산 지역 학사회 대표간사를 역임했다. 캐나다 트리니티웨스턴 대학교(Trinity Western University)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M.T.S.), 밴쿠버 캐리 신학교(Carey Theological Seminary)에서 목회학 박사과정(D. Min.)을 수료했다. 지난 2005년 개척하여 목회한 함께하는교회에서 2015년에 미션얼 선교사로 파송 받아 ‘미션얼 운동’에 헌신해왔으며, 현재 처치엠(Church M) 개척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처치엠은 월1회 성서일과와 성찬, 서클을 통한 대화를 나누고 흩어져 일상의 신앙을 살아가는 모임으로, 1인교회·가정교회·청년교회 및 교회를 떠난 ‘가나안’들을 위한 실험적 탈교회 공동체이다. 《새로운 일상신학이 온다》(비전북)를 썼고 《탈교회: 탈교회 시대, 교회를 말하다》(느헤미야)와 《겸직목회》(솔로몬)를 공저했으며, 《새로운 교회가 온다》(IVP)를 번역했다.
펼치기
주상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Asbury Theological Seminary에서 선교학, 전도학, 교회개척학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한 뒤 미국 United Methodist Church 북앨라배마연회 교회개척연구위원, Fresh Expressions of Church 지도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미국 Bakke Graduate University에서 선교적 목회학 주임교수로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김동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철학박사(Ph. D.). 현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 종교&신학과 박사과정에 있으며, 인문학&신학연구소 운영위원이며,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연구교수다.
펼치기
김동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 조직신학 박사(Dr. theol.).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전임교수로 재직중이며, 한국복음주의윤리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찾는이교회’ 담임목사이며, 이 책의 책임편집을 맡았다
펼치기
배덕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드류대학교 교회사 박사(Ph. D.). 한국복음주의 역사신학회 회장이며,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백향나무교회 담임목사이다.
펼치기
안창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종교인류학 박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졸업. 서강대학교 종교학 박사(Ph.D.).현재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선임 연구원으로 한국기독교와 종교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으며 같은 대학에서 강의 중이다.
펼치기
옥성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보스톤대학교 교회사 신학박사(Th. D.).미국 UCLA아시아언어문화학과 임동순 임미자 한국기독교학 석좌교수이다.
펼치기
전인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교회사 박사(Ph. D.). 사단법인 김교신선생 기념사업회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케이씨대학교에서 교회사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정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학 박사(Ph. D.). 21세기교회연구소 소장, 한국종교사회학회 부회장이며,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종교사회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최규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마케팅을 전공했다. 바이오벤처기업 ㈜호성 로고스 대표이자 작가이다.
펼치기
최현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라이프치히대학교 종교사회학 박사(Dr. theol.). 한국종교사회학회 회장이다. 서울신학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황대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네덜란드 아뻘도오른 기독개혁신학대학 교회사 신학박사(Dr.theol.).한국칼빈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고신대 개혁주의학술원 책임연구원이다. 고신대 교회사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전도한 친구를 보낼만한 교회가 없다는 사실에 좌절했던 기억이 있다. 열심히 싸우는 교회 어른들에 지쳐 교회 출석의 당위성을 열심히 자문하던 때도 있었다. 그나마 건강하다고 알려진 교회에서의 경험이다. 그리고 오늘 우리는 ‘탈 교회’를 말하고, ‘가나안 성도’를 이야기한다. 이 책에 관심을 갖는 많은 이들 역시 나름의 아픔과 좌절의 빛 아래 이 책의 이야기를 읽을 것이다. 바라기는 여기 실린 여러 편의 글들이 각자의 아픔과 혼란을 극복해 나가는 여정에, 그리고 각자의 고민이 모두를 위한 보다 큰 이야기로 만들어지는 일에 작지만 소중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발간사 중에서>

지금까지 우리는 “나는 교회에 간다”고 했을 때, 그것은 어떤 특정한 장소나 공간으로 가는 것을 의미했잖아요? 그래서 우리가 “나는 오늘 주일예배를 드리러 간다” 할 때, 그 말은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장소에 가서 드려지는, 그래서 예배하는 그 장소만이 성스럽고, 그곳만이 예배의 공간이고, 거기가 하나님께서 현존하는 장소라고 생각해 왔는데, 이제는 집안에서도 주일예배를 드리게 됐단 말이죠.
그렇다면 이제 “코로나는 교회라는 공간 개념을 바꿔 버렸다.” “교회란 이제 더 이상 특정한 공간이 아니다.” 이렇게 말해도 되지 않을까요? 이제 꼭 건물로 된 어떤 장소나 공간이 교회가 아니라, “내가 지금 예배하고 있는 이곳, 그곳이 가정이거나 카페이거나 작업장이라 할지라도, 여기 이 공간과 장소가 바로 교회다.” 이렇게 말입니다.
<대담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9183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