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부모교육
· ISBN : 9791196969646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0-08-05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코로나, 온라인, 빅데이터, 디지털 시대의 교육일수록
시작하는 글: 똑같이 공부하는 데 왜 차이가 날까
1부 공부 지능이란 무엇일까?- 두뇌 OS 키우기
1장 차이가 어디에서 발생하는지를 이해하기
관찰 1. 같이 공부해도 유독 성적이 좋은 아이
관찰 2. 10번 연습해서 자전거를 탈 수 있는 아이, 100번 연습해도 못 타는 아이
관찰 3. 선생님 말씀을 한 번 듣고 이해하는 아이, 이해 못 하는 아이
관찰 4. 새로운 환경에서 많은 것을 흡수하는 아이, 못 하는 아이
고득점을 올리는 학생들의 세 가지 공통점
더 읽기 1. 알아서 공부한다는 게 과연 뭘까?- 자기주도 학습 능력 키우기
2장 ‘배움’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유형 1. 수업을 듣고 있어도 배움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유형 2. 수업에서만 배우고, 생각할 때와 하지 않을 때를 분리한다
유형 3. 깨어 있는 내내 배우는 사람
더 읽기 2. 내가 무엇을 모르는 걸까?-인지와 메타인지에 대해
3장 알아서 공부하는 아이는 ‘생각의 구조’가 다르다
내용만 억지로 집어넣는 부모, 생각이 멈추는 아이
두뇌 OS를 노력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까
내 아이의 두뇌 OS는 언제 결정될까
생각의 구조란 과연 무엇일까
더 읽기 3. 교과서를 읽지 못하는 아이들-문해력 기르기
4장 메타러닝- 스스로 사고력을 높여가는 것
‘생각하는 힘’이 없는 아이
왜 의미를 이해하는 게 어려울까
내 아이의 어떤 능력을 키울 것인가
두뇌 OS를 업그레이드하는 두 가지 접근법과 다섯 가지 사고력4
더 읽기 4. 부모의 말을 통해 아이의 사고력을 키울 수 있을까?-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
2부 생각의 구조를 바꾸는 10가지 부모 언어
5장 두뇌 OS를 업그레이드하는 접근법 1: 의문을 갖게 하기
왜 ‘마법의 말’일까?
1. ‘원인분석력’을 키우는 부모 언어 - 왜 그럴까?
의문은 저절로 생겨나지 않는다
2. ‘자기표현력’을 키우는 부모 언어 - 어떻게 생각해?
아이에게 “질문 있나요?”라는 말을 하면 안 되는 이유
3.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부모 언어 - 어떻게 하면 좋을까?
‘문제’와 ‘과제’의 차이점을 알고 있나
6장 두뇌 OS를 업그레이드하는 접근법 2: 정리하게 한다
4. ‘추상적 사고력’을 키우는 부모의 언어 - 요약하면?
많은 시험 문제에도 당황하지 않으려면
고득점 학생들은 어떻게 많은 내용을 소화할까?
5. ‘구체적 사고력’을 키우는 부모의 언어 - 예를 들면?
응용력이 좋은 아이의 특징
부모 언어를 활용할 때 주의할 점 일곱 가지
7장 자기주도적으로 두뇌 OS를 업그레이드하는 다섯 가지 방법
스스로 질문을 던지는 아이가 되기
6. ‘적극적 사고력’을 키우는 언어 - 즐기려면?
내성적이어도 느려도 적극적 사고가 가능하다
7. ‘목적의식력’을 키우는 언어 - 무엇을 위해서?
생각이 멈춘 상태, 스위치를 켜는 말
8. ‘원점회귀력’을 키우는 언어 - 원래 어떤 거지?
생각이 기발한 것과 생각의 뿌리를 유지하는 것을 동시에
9. ‘가설구축력’을 키우는 언어 - 만약 ~라면?
문제점을 미리 찾아내어 대비하게 만드는 ‘가설구축력’
10. ‘문제의식력’을 키우는 언어 - 정말 그럴까?
아이를 지지해주는 부모일 때, 의심도 통한다
마치는 글 생각의 구조가 계속 성장하면 어떤 세상이 펼쳐질까
리뷰
책속에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학교 현장뿐만 아니라 학부모들에게도 큰 혼란이 왔지요. 수업이 온라인으로 시행되고 학원이 휴업하는 등 아이들이 가정에서 지내는 시간이 늘면서, 그만큼 아이들 교육에 부모의 역할이 한층 중요해졌습니다. 많은 학부모나 언론 매체에서도 제게 조언을 구합니다. “아이가 공부하도록 어떻게 이끌어주면 좋을까요? 강요하지 않아도 아이 스스로 공부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_ [저자의 말] 중에서
자전거 타는 법을 배울 때가 생각나시나요? 조금 연습해보고 금방 잘 타게 되었나요? 아니면 아무리 연습해도 잘 되지 않던가요? 연습해도 잘 안 되는 경우였다면, 자전거 타는 법을 배우는 게 당연히 힘들었을 겁니다. ‘내 동생은 한 번 넘어지고는 잘 타는데, 나는 왜 안 되는 거야? 나는 운동신경이 처음부터 없는 거야’라며 속상해합니다.
그런데 부모가 되어 자기 아이가 배우는 모습을 보면 약간 다른 느낌을 갖게 됩니다.
_ [1장 차이가 어디에서 발생하는지를 이해하기] 중에서
어릴 때는 모든 일에 호기심을 가지던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고 고학력이 될수록 매사에 흥미를 잃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의도학습의 중요성만 강요할 때 일어나는 전형적인 패턴입니다. 많은 부모가 아이들을 이렇게 키웁니다. 하지만 의도학습만으로 공부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_ [2장 ‘배움’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