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97031748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1-06-11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면서 4
제1부 왜 나는 자신감이 없을까?
1) 자신감 부족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망칠까?
차단하거나, 회피하거나, 실패하거나 18/ 자신감 부족에서 오는 부정적인 감정 25/ 스스로에 대해 나쁘게 생각하는 경향 27/ 다른 사람들에게 잘 주장하지 못한다 27/ 자신감 부족은 인생의 걸림돌이다 40
2) 전문가들은 자신감 부족을 어떻게 볼까?
자신감의 세 가지 차원 47/ 테스트 ― “당신은 자신감이 있나요?” 52/ 행동으로 사람을 판단할 수 있을까? 57
3) 자신감 부족은 건강을 해친다
자신감 부족에서 오는 병 60
4) 아이의 자신감
자신감 형성에 있어서 어린 시절의 역할 64/ 경계해야 할 자신감 부족의 신호 67/ 아이가 자신감을 갖도록 어떻게 도와주어야 할까? 70
제2부 자신감 부족을 부르는 편견
1) “나는 ~를 할 수 없어.”
할 수 없다고 하는 사람들 77/ 무능하다는 편견 80/ 무능하다는 편견에서 벗어나려면 87
2) “나는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야 하고 좋은 평을 들어야 하며 인정받아야 돼.”
사랑받아야만 한다는 사람들 89/ 사랑받아야 한다는 편견 94/ 자신감의 두 가지 유형 100/ 사랑받아야 한다는 편견에서 벗어나려면 102
3) “나는 형편없어.”
자신이 형편없다는 사람들 104/ 무가치하다는 편견 108/ 무가치하다는 편견에서 벗어나려면 114
4) “나는 항상 더 잘해야 돼.”
완벽해야 한다는 사람들 116/ 지나친 완벽주의 124/ 지나친 완벽주의에서 벗어나려면 132
5) “나는 절대로 결정을 내리지 못해.”
결정 장애를 지닌 사람들 133/ 우유부단하다는 편견 134/ 우유부단하다는 편견에서 벗어나려면 141
6) “나는 항상 걱정돼.”
불안에 휩싸인 사람들 143/ 불안하다는 편견 145/ 불안하다는 편견에서 벗어나려면 150
7) “나는 다른 사람들을 믿을 수 없고 경계해야 돼.”
다른 이를 믿지 못하는 사람들 156/ 불신이라는 편견 159/ 불신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나려면 164
제3부 자신감을 키우는 세 가지 열쇠
1) 나 자신을 더 사랑하기
자신을 진정으로 알아가는 법 배우기 169/ 지나친 자기 비난 피하기 172/ 부당한 자기 비난 하지 말기 183/ 잘못이라는 생각은 멈추기 189
2) 과감하게 행동하기
자신감을 활성화하기 204 / 과감하게 결정 내리기 219/ 확신을 갖고 행동하기 231
3) 타인에게 자기주장하기
필요와 욕구를 표현하기 242/ 거슬린다고 말하기 248/ ‘아니오’라고 말하고, 과감하게 타협하기 252/ 지적에 대응하기 258/ ‘진짜’ 자기 자신이 되기 263
4) 더욱더 자신감을 갖고 싶은 이들을 위해
편견은 어떻게 밝혀낼까? 270/ 삶의 규칙을 유연하게 하기 276/ 나만 그럴 거라고 생각하지 말기 280
맺으면서 294
리뷰
책속에서
처음 간 도시에서 길을 잃었다. 행인에게 길을 물어보면 되겠지만, 그를 귀찮게 하는 거라고 생각해 혼자서 몇 시간이나 길을 헤맨다. 가게에서 거스름돈을 돌려 달라고 하는 것이 민망해 거스름돈을 챙기지 않는다. 아이를 병원에 데려가려면 한 시간 일찍 퇴근해야 하지만 상사가 허락하지 않을까 봐 말하지 않는다. 퇴근하려는데 갑자기 비가 내린다. 그러나 직장 동료에게 우산을 빌려 달라고 하거나 같이 쓰자고 하면 폐가 될 것 같다. 결국 비에 쫄딱 젖어 가며 집으로 향한다.
자신감이 없는 이들은 이런 일을 자주 겪는다. 그들은 필요하고 원하는 것을 과감하게 요청하지 않는다. 이는 몇 가지 선입견 때문이다. ‘관심을 끌면 안 돼.’, ‘그것은 다른 사람을 귀찮게 하는 거야.’, ‘그 사람은 내가 필요한 게 뭔지 알 거야.’, ‘부탁할 필요 없어. 어차피 거절당할 테니까.’
― '제1부 왜 나는 자신감이 없을까?' 중에서
자신감이 부족하면 끊임없이 다른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한다. 아멜리는 가장 친한 친구 줄리아에게 “너 프랑스어 시험 100점 만점에 90점 받았지. 나는 88점밖에 못 받았는데.”라고 말했다. 가장 친한 친구이지만 더 좋은 점수를 받았기에 강한 질투심을 느낀다.
이런 이들은 우울감에 집중한 나머지, 친구들에게 더 이상 관심을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친구들은 무시당했다고 느끼고 ‘진짜 자기중심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결국 거리감을 둔다. 하지만 자신감을 회복한다면 다른 사람들과 비교할 필요도, 좋은 기분을 느끼려고 내가 더 낫다고 느낄 필요도 없다. 타인을 비교 대상으로 삼는 소유적 관계에서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는 자유로운 관계로 넘어가는 것이다.
― '제1부 왜 나는 자신감이 없을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