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78015301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7-05-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_ 김종욱·5
총설_ 김용태·15
제1부 문헌과 사상
텍스트
법계도기法界圖記 _ 박서연
Ⅰ. 의상의 당唐 유학과 『일승법계도』 저술 … 42
의상과 중국 화엄교학 42/ 지엄 문하에서의 수학 44/
『일승법계도』의 구성과 내용 47/ 『일승법계도』의 화엄사상 50
Ⅱ. 『일승법계도』의 동아시아적 전개 … 53
의상의 화엄교단 53/ 수십전법數十錢法과 법장 56/ 일본에 미친
영향 58
Ⅲ. 통일신라~고려시대 의상 화엄사상의 계승 … 60
『일승법계도』의 주기註記 60/ 균여의 오척신五尺身 이해 62/
『법계도기총수록』과 의상계 화엄 64
Ⅳ. 조선시대 「법성게」 주해와 의상 화엄사상의 변용 … 67
설잠 김시습의 선적禪的 해석 67/ 『법성게과주法性偈科註』와 법성 성기사상 69
■ 동아시아에 펼쳐진 일승법계의 인드라망 72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_ 김천학
Ⅰ. 『금강삼매경』의 출현 … 78
용궁 출현설 78/ 『금강삼매경』의 성립 79/ 선종의 『이입사행론』 83
Ⅱ. 『금강삼매경론』의 성립과 사상 … 85
대안과 원효 85/ 『경』의 구조 해석 87/ 『기신론』·선종과의 관련 90/‘결정성’과 일미관행 95
Ⅲ. 중국과 일본에 미친 영향 … 98
당·송에의 영향 98/ 원·명·청에의 영향 101/ 일본에 미친 영향 102
Ⅳ. 한국에 미친 영향 … 105
도륜의 『유가론기』에서의 인용 105/ 고려시대 의천과 혜심 107/
조선시대의 유통 108
■ 일미관행一味觀行, 동아시아 불교를 관통하다 110
콘텍스트
금석문金石文 _ 박광연
Ⅰ. 금석문과 불교금석문 … 116
금석문이란 무엇인가 116/ 금석문과 불교 118/ 인도·중국·일본의 불교금석문 120
Ⅱ. 삼국·통일신라시대의 불교금석문 … 123
고구려·백제의 불상 123/ 신라의 불상·탑·종 124/ 고승비와 사적비 127
Ⅲ. 고려·조선시대의 불교금석문 … 130
고승비와 묘지석 130/ 불상·탑·종·반자 135/ 매향비와 사적비 143
■ 쇠와 돌에 새겨진 불교와 불교인의 역사 148
교관敎觀 _ 박용진
Ⅰ. 교관 용어의 성립과 전개 … 154
교관에 대하여 154/ 지관止觀(samatha와 vipasyana)과 관觀 156/
한국불교사의 교관 용례 158
Ⅱ. 중국불교와 교관 … 160
천태교관의 성립과 전개 160/ 화엄교관의 성립과 전개 163
Ⅲ. 삼국·통일신라시대의 교관 … 166
법화신앙 및 천태교관 166/ 의상계 화엄교학과 관행 169/ 원효 및 비의상계 화엄교학과 관행 172
Ⅳ. 고려시대의 교관 … 175
고려 전기 천태교관 175/ 균여와 의천의 화엄교관 177/ 천태종
백련사와 묘련사계 교관 180
Ⅴ. 조선시대의 교관 … 182
천태교관: 『연경별찬』과 『선학입문』 182/ 화엄교관:『법계도주』와 조선 후기의 『화엄사기』 185
■ 교학과 관행의 융합과 한국적 발현 ?188
제2부 종교와 문화
권력과 종교
호국護國·호법護法 _ 이수미
I. 호국불교 담론의 원류와 문제점 … 196
호국불교의 의미와 경전적 근거 196/ 호국불교 담론의 등장과 전개 197/ 호국불교 담론의 문제점 199
II. 인도, 중국과 일본에서의 불교와 왕권 … 204
아쇼카왕과 전륜성왕 개념 204/ 중국에서의 호국사상과 왕권 205/ 일본의 진호국가 개념과 왕법즉불법 사상 207
III. 삼국과 통일신라의 호국불교 사상 … 210
불국토 사상과 호국사찰 210/ 호국의례와 법회 215/ 왕들의 불교신앙 217
IV. 고려와 조선의 불교와 국가 … 221
인왕경 법회와 불교의례들 221/ 호국염원과 대장경 조판 225/ 승군의 호국활동 226
■ 호국, 과연 한국불교의 전통인가? ?230
지옥地獄 _ 김기종
Ⅰ. 불교의 지옥 … 236
니라야와 나라카 236/ 야마와 염라왕 237/ 불전 속의 형상화 238
Ⅱ. 중국과 일본의 지옥 관념 … 242
태산부군泰山府君과 시왕十王 242/ 관리가 통제하는 감옥 244/ 징벌의 강조 245
Ⅲ. 삼국~고려시대의 지옥 관념 … 247
지옥 관념의 수용 247/ 시왕신앙의 유포 248/ 우란분재의 설행과 목련 고사 249
Ⅳ. 조선시대 지옥 관념의 다양한 전개 … 251
유가와 불가의 지옥 인식 251/ 시왕도十王圖 257/ 불교가사와 ‘회심곡’ 259/ 한글소설 268
■ 도덕적 삶을 위한 심판과 징벌 ?276
문화와 의례
어록語錄 _ 김호귀
Ⅰ. 어록의 출현과 찬술경전 … 282
어록의 정의 282/ 어록의 등장 283/ 찬술경전의 쇠퇴 286
Ⅱ. 중국과 일본의 선어록 … 288
선어록의 분류 288/ 중국의 선어록 291/ 일본의 선어록 295
Ⅲ. 한국 선어록의 간행과 전개 … 297
선의 전래와 정착 297/ 고려의 선어록 299/ 조선의 승려문집 302
Ⅳ. 한국불교에 끼친 선어록의 역할과 기능 … 306
선어록의 유통 306/ 선어록의 역할 309/ 한국불교와 선어록 311
■ 불립문자와 기록의 아이러니 314
갈마羯磨 _ 이자랑
Ⅰ. 갈마와 화합승의 실현 … 322
갈마란 무엇인가 322/ 현전現前승가와 사방四方승가 323/ 갈마의 형식과 종류 325/ 갈마, 화합의 상징 327
Ⅱ. 중국과 일본의 수계갈마 … 329
수계갈마의 정비 329/ 광률廣律의 번역과 혼란 331/ 도선과 『사분율』 334/ 감진鑑眞의 도래와 국립 3계단 336
Ⅲ. 한국전통불교의 수계갈마 … 339
백제의 갈마 실행 339/ 자장의 교단 정비 341/ 관단수계의 제도화 344/ 조선시대의 수계갈마 346
Ⅳ. 한국 근현대기의 혼란과 단일계단의 정비 … 348
대은 낭오와 만하 승림의 계맥 348/ 여법如法갈마와 중수계의 수지 350/ 자운율사와 단일계단의 정비 352
■ 갈마의 오랜 침체와 새로운 부흥 355
찾아보기 _ 360
저자 소개 _ 375
저자소개
책속에서
I. 의상의 당唐 유학과 『일승법계도』의 저술
의상과 중국 화엄교학
의상義湘(625~702)은 625년(진평왕眞平王 47) 신라의 귀족 김한신金韓信의 아들로 태어났다. 일찍이 출가하여 황복사皇福寺에서 스님이 되었으며, 뒤에 원효元曉(617~686)와 함께 당에 구법의 길을 떠났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되돌아왔다. 그 뒤 37세 때인 661년(문무왕文武王 원년)에 혼자 해로로 당에 들어갔으며, 이듬해에 종남산 지상사에서 화엄을 펴고 있던 지엄을 찾아갔다.
지엄智儼(602~668)은 중국 화엄종의 토대를 마련한 인물이다. 천수天水 출신으로 속성은 조趙씨이며, 12세 때인 613년(대업 9)에 두순의 문하로 들어갔다. 두순은 지엄을 상수제자인 달達법사에게 맡겨 교육시켰다. 그 뒤 지엄은 법상法常에게서 『섭대승론』을 배웠으며, 변辨법사에게 『십지경』과 『성실론』 등 여러 경론을 배웠다. 또한 임琳법사에게서 『화엄경』을 배웠으며, 그 뒤 지정智正(559~639)에게서 『화엄경』 강의를 들었다. 광통光統율사 혜광慧光의 『화엄경소』를 통하여 별교일승무진연기別敎一乘無盡緣起를 통달하였으며, 한 이승異僧에게서 육상의六相義에 대해 배웠다. 그 뒤 27세 때(649)에 『수현기搜玄記』(5권)를 지었다. 또한 그의 저술로서 『화엄오십요문답華嚴五十要問答』(2권)·『화엄공목장華嚴孔目章』(4권) 등이 현존한다. 지엄은 진제 계통의 유식학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특히 만년의 저술인 『화엄오십요문답』과 『화엄공목장』은 현장이 번역한 유식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고려시대에 편찬된 『법계도기총수록』(이하 『총수록』)에는 지엄이 지은 『입법계품초』가 인용되어 있고,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에 의하면 지엄의 『입법계품초』에 대해 의상이 『입법계품초기』를 지었다고 하는데 이 두 문헌은 현존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