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테마 한국불교 6

테마 한국불교 6

김용태, 이수미, 박광연, 김천학, 김호귀, 박서연, 김기종, 이자랑 (지은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엮은이)
동국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테마 한국불교 6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테마 한국불교 6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78019408
· 쪽수 : 391쪽
· 출판일 : 2018-06-30

책 소개

『유가론기』와 『삼국유사』의 텍스트, 과문 및 선교라는 콘텍스트, 권력과 종교의 정교와 윤회, 그리고 문화와 의례의 언해불서와 청규를 대상으로 한 주제별 개설서이다. 각 테마는 글로벌리티의 관점에서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불교의 장기 지속 및 시대적 변화상을 통시적으로 접근하였다.

목차

머리말_ 김종욱·5
총 설_ 김용태·15

제1부 문헌과 사상

텍스트

유가론기瑜伽論記 _ 이수미 ● 43

Ⅰ. 『유가론기』의 사상적 배경 및 특징 … 44
『유가론기』의 사상적 위치와 중요성 44/ 『유가론기』의 판본 및
구성 47/ 『유가론기』와 신라 유식학 55
Ⅱ. 『유가론기』에 대한 초기 연구 … 57
『유가론기』의 저자, 성립 시기 및 판본 58/ 신라 출신 논사들의
확정 63/ 『유가론기』의 사상적 입장에 대한 연구 69
Ⅲ. 『유가론기』 연구의 심화

삼국유사三國遺事 _ 박광연 ● 89

Ⅰ. 『삼국유사』의 위상 … 90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90/ 근대 학문과 『삼국유사』 91/ 세
계 속의 『삼국유사』 94
Ⅱ. 고려시대 『삼국유사』의 찬술 … 96
찬자 96/ 찬술 시기 98/ 『삼국유사』 찬술의 의도 100
Ⅲ. 조선시대 『삼국유사』의 간행과 유통 … 102
간행 시기와 조선 초기 판본 102/ 중종임신본 105/ 『삼국유사』
간본의 인용 107
Ⅳ. 『삼국유사』의 체제와 해석 … 110
「왕력」・「기이」 110/ 「흥법」・「탑상」・「의해」・「신주」・「감통」・
「피은」・「효선」 112/ 『삼국유사』 체제에 대한 해석 114
■ 한국 고대 불교문화의 보고 『삼국유사』•116

콘텍스트

과문科文 _ 김천학 ● 121

Ⅰ. 과문의 개념과 다양화 … 122
과문의 개념 및 범위 122/ 인도불교 문헌의 분과 125/ 중국 남
북조 불교의 과문 127
Ⅱ. 과문의 정형화 과정과 새로운 경전 주석 개념들 … 132
과문의 정형화 과정 132/ 수·당 시대 이후 현담 136/ 경전 주석
개념들 142/ 일본불교 과문의 신형태 148
Ⅲ. 신라·고려 불교의 다양한 과문 형태 … 150
원효의 ‘종요’ 문헌 150/ 의상 『일승법계도』의 자주 형태 152/
표원 『화엄경문의요결문답』의 장 형식 153/ 광본의 요약 제관의
『천태사교의』 155
Ⅳ. 조선시대 과문의 전문화 … 156
조선 후기 과문 문헌의 출현 156/ 설암 추붕의 『선원제전집도서
과평』 157/ 도봉 유문의 『법성게과주』 158
■ 과문, 전통과 현대를 잇다 •161

선교禪敎 _ 김호귀 ● 165

Ⅰ. 교학과 선종의 근원 … 166
경전의 출현 166/ 교학의 발전과 선종의 출현 168/ 교상판석과
선종의 선리 170
Ⅱ. 선교관의 출현과 전개 … 172
중국 선종과 불립문자 172/ 『선원제전집도서』를 통한 회통의 선
교관 174/ 선교의 융합과 회통 176
Ⅲ. 선교의 차별과 융합 … 181
나말여초의 선교차별 181/ 고려시대 선교융합의 전개 185/ 조
선시대 선교의 교섭 188
Ⅳ. 선교관의 변천과 지향 … 193
선과 교의 긴장-선교차별 193/ 휴정의 선교관-종교입선 196/
선과 교의 통로-선교융합 199
■ 선시불심 교시불어 •203

제2부 종교와 문화

권력과 종교

정교政敎 _ 조윤경 ● 209

Ⅰ. 인도와 중국의 정교 관계 … 210
인도의 전륜성왕, 아쇼카왕 210/ 북조의 ‘왕즉불’과 폐불 212/
남조 교단과 양 무제 216
II. 고대국가와 불교의 만남 … 221
삼국의 불교 수용과 왕권 221/ 신라의 정치이념과 승관 제도
224/ 신라의 호국의례·법회 226
III. 고려시대 정교결합 … 227
숭불정책 227/ 국가의례 230/ 승군의 국가 수호 232/ 호국신앙
과 고려대장경 235
IV. 조선시대 정교분리와 활용 … 237
성리학적 지배 질서와 ‘억불’ 237/ 의승군의 활약과 불교의 사회
적 위상 239
■ 불교와 정치권력의 역동적 공생 •242

윤회輪廻 _ 박서연 ● 249

Ⅰ. 인도불교와 윤회사상 … 250
업과 윤회 250/ 무아와 윤회 252/ 아뢰야식과 윤회의 주체 254
Ⅱ. 동아시아 불교와 업·윤회 관념 … 257
중국불교의 윤회 관념 257/ 티베트·몽골 불교의 윤회 관념 260/
일본불교의 윤회 관념 263
Ⅲ. 신라시대 업·윤회사상의 수용과 전개 … 266
신라인의 윤회관 266/ 윤회와 지계 268/ 점찰법회와 윤회 인식
270
Ⅳ. 고려~조선 시대 윤회 관념의 변용 … 272
수륙재의 설행 272/ 효 윤리와 윤회 274/ 육도윤회설과 지옥
277
■ 윤회, 그 간단없는 생사의 수레바퀴 •280

문화와 의례

언해불서諺解佛書 _ 김기종 ● 285

Ⅰ. 한글의 창제와 불서의 언해 … 286
번역과 언해 286/ 언해의 체재와 양식 287/ 언해의 과정 289
Ⅱ. 조선 전기의 언해불서 … 291
『석보상절』과 『월인석보』 291/ 간경도감과 불서 언해 295/ 지
방 사찰의 언해불서 299
Ⅲ. 조선 후기의 언해불서 … 305
『은중경』의 언해와 유통 305/ 『권념요록』·『염불보권문』 309/
『지장경언해』 313
Ⅳ. 근대 시기의 불경 번역 … 315
백용성과 삼장역회 315/ 권상로의 경전 번역 317/ ‘근대적’ 역경
의 출현 320
■ 승려의 교육과 대중의 교화 •324

청규淸規 _ 이자랑 ● 329

Ⅰ. 율律과 승제법僧制法 … 330
승가의 형성과 율의 제정 330/ 율의 내용과 제정 목적 332/ 승제
법, 중국적 규범의 등장 334
Ⅱ. 중국과 일본에서 청규의 등장과 발전 … 338
광률의 역출 338/ 선종의 출현과 동산법문의 집단생활 340/ 『백
장청규』와 『선원청규』 342/ 도겐의 『영평청규』 345
Ⅲ. 한국에서 청규의 도입과 변용 … 348
선종의 수용과 청규의 도입 348/ 보조 지눌과 『계초심학인문』
350/ 고려 말 선승의 불교 교단 개혁과 『칙수백장청규』 352/ 불
교 상례집과 청규 355
Ⅳ. 한국 근현대기의 결사와 청규 … 357
근대 한국불교의 청규 357/ 봉암사결사와 공주규약 360/ 『조계
종 선원청규』와 『승가청규』 362
■ 청규, 승가 개혁을 위한 결사의 상징 •367

찾아보기 _ 373
저자 소개 _ 388

저자소개

김호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HK교수,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 동국대 선학과에서 선사상을 공부하여 「묵조선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선종의 역사와 사상 및 수행 문화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조사선에서 깨침의 속성과 그 기능」, 「무생법인의 구조와 무생선의 실천」 등의 논문 및 『한국 선리논쟁의 연구』, 『강좌 한국선』, 『금강삼매경의 선사상』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자랑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인도철학·불교학 석사 및 박사 과정 졸업. 「초기불교교단의 연구-승단의 분열과 부파의 성립」으로 문학박사 학위 취득. 일본 도쿄대학 외국인특별연구원 역임.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로 재직 중. 『나를 일깨우는 계율이야기』, 『붓다와 39인의 제자』,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 등의 저서를 비롯하여, 『불교교단사론』, 『열반경 연구』 등의 번역서, 초기불교교단사 및 계율에 관한 50여 편의 논문이 있다. 불교학술진흥상(2007), 불이상(2015) 등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김기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고전문학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BK21 한국어문학교육연구단 연구교수와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보고사, 2010),『한국 불교시가의 구도와 전개』(보고사, 2014),『불교와 한글: 글로컬리티의 문화사』(동국대학교 출판부, 2015. 201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역주) 월인천강지곡』(보고사, 2018),『한국 고전문학과 불교』(동국대학교 출판부, 2019.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일본 도쿄대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중국 송대(宋代) 화엄을 주제로 석사논문을 제출했다. 대원불교문화상 대상과 원효학술상 대상 등을 수상했고, 현재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및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로 있다. 동아시아의 시각에서 조선시대 불교를 연구하고, 근대불교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박광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졸업. 동 대학원 문학박사. 한국고대사, 불교사상사 전공. 서울대학교 규장학한국학연구원 박사후연구원 역임.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역임. 현재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국사학과 조교수.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소장. 논저|<신라 법화사상사 연구>(2013, 혜안), <테마한국불교 1~7>(2013~2019, 동국대출판부, 공저), <동아시아한국불교사료-중국문헌편>(2014, 동국대출판부, 공역), <동아시아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편>(2015, 동국대출판부, 공역), <동아시아 종파불교-역사적 현상과 개념적 이해>(2016, 민족사, 공저), <거란 불교사 연구>(2020, CIR, 공역) 등의 저서와 번역서가 있다. 진표(眞表)와 신라 찬술문헌들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신라 불교문화의 글로컬리티를 찾아가고 있다. 최근에는 불교 교단, 미륵, 보살계, 신라하대 불교문화, 불교사 사료 비판 및 활용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박서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HK연구교수, 한국불교 및 화엄학 전공, 동국대 불교학과 박사, 동국대 한의학연구소 연구초빙교수 역임. 「신라 現身成佛 설화에 보이는 의상 화엄사상의 영향」, 「의상계 화엄수행론의 심리치유 가능성 고찰」, 「의상의 五尺身思想 연구」, 「滿文 『華嚴經續入法界品』에 관한 연구」, 「滿文 『금강경』의 내용과 특징」, 「乾隆帝의 滿文大藏經 序文에 관한 연구」
펼치기
이수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동아시아 유식불교 전공, 미국 UCLA 박사, 동국대 HK연구교수 역임. “The Meaning of ‘Mind-made Body’(S. manomaya-kāya, C. yisheng shen 意生身) in Buddhist Cosmological and Soteriological systems,” 「공유논쟁空有論爭을 통해 본 원효元曉의 기신론관起信論觀 재고」, “Redefining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and East Asian Yogācāra Buddhism,” 「여래장사상과 유식사상의 전통적 이분법에 관한 제문제」, “On the Ālayavijnāna in the Awakening of Faith: Comparing and Contrasting Wŏnhyo and Fazang’s Views on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nāna”
펼치기
이수미의 다른 책 >
김천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HK교수 및 한문불전번역학과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균여 연구로 박사학위 취득. 일본 東京대학대학원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일본화엄사상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화엄학을 주로 연구하면서, 한국불교의 확장성을 탐구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 『화엄사상의 연구』(2020), 역주서로 견등의 『화엄일승성불묘의』(2016), 저서로 『平安期華厳…思想の研究 ― 東アジア華厳…思想の視座より ―』(2015), 『균여화엄사상연구』(2006)가 있고, 교감텍스트로 Kegonshurikyōgi(East Asian Buddhhist Litreature vol.1, 2020)를 발표하였고, 그 외 「『보살계본종요초』의 문헌적 의의와 신라 태현에 대한 인식」(2020), 「화엄경문답에 법장의 영향은 보이는가?」(『보조사상』, 2019), 「順高の『起信論本疏聴集記』における元暁引用の意義」(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