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행동원리

한국의 행동원리

오구라 기조 (지은이), 이재우 (옮긴이)
마르코폴로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행동원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행동원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91197618291
· 쪽수 : 164쪽
· 출판일 : 2022-11-10

책 소개

한국을 이해하고 있는 몇 안되는 일본인으로 손꼽히는 교토 대학의 오구라 기조 교수는 <한국의 행동원리>에서 한국인의 기질로 끝없는 ‘도덕성의 추구’를 말한다. 역동성 있는 한국 사회는 바로 이러한 기질 위에서 이루어졌다고 보고 그 의미의 실타래를 풀어놓는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뒤떨어지는 한국 인식
일본 내 한국 연구의 문제점 15
새로운 인식을 향해 19

머리말
한국을 멸시한다니 무슨 말인가?

1부 한국의 행동 원리
제1장 한국을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
01 일본은 한국을 너무 안이하게 인식한다
‘한반도 인식’이 기만이었던 시대 29
도덕 지향성의 연원이 된 주자학 30
인식과 멸시는 다르다 31
02 일본보다 앞선 한국
왕조 전통의 한국, 봉건 전통의 일본 32
한국의 법조 능력은 높다 34
법에 보수적인 일본, 혁신적인 한국 36
03 근대 쪽인가, 대항 근대 쪽인가?
불평불만 국가 38
한국은 글로벌한 정의의 쪽에 서고자 한다 38

제2장 누가 한국의 주역인가?
01 초조한 ‘노빠꾸’ 국가
‘땅콩 회항’ 사건 41
가속도가 너무 강해 사고가 정지되었다 42
02 진짜 권력을 쥔 존재
왜 자신과 여유를 가질 수 없을까? 43
대통령을 통제할 수 있는 힘 44
03 한국 시민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군인형 엘리트에 대한 대항축으로서 45
사회 전체의 사대부화 47
민주주의란 ‘도덕적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과정’ 49

제3장 동학과 북학-다이너미즘의 동력
01 한국인의 역사관
한국의 지식인이 안고 있는 부채 51
조선왕조에 대한 재평가 52
02 동학이라는 동력
청일전쟁을 낳은 ‘변혁사상’ 53
“자발적 발전의 길은 가능했을까?”라는
질문과의 관계 54
03 북학이라는 동력
소중화사상을 내건 노론의 환상 55
청을 배우자 57
04 동학과 북학의 각축
전근대화하는 포스트모던 58
왜 삼성은 높게 평가받지 못할까? 61

제4장 한국인과 일본인의 정치관
01 국민과 정치의 거리
거버넌스를 가진 일본인, 정치적인 한국인 64
일본인의 동아시아화 66
02 주자학화=주체에 의한 서열화가 진행되는 사회
한국 사회와 비슷해진 일본 68
주자학에 저항했던 미시마 유키오 71

제5장 한일 군사관계를 다시 생각한다
01 양호했던 한일 군사관계
한일 관계 전문가 사이에서는
이러한 생각이 상식이다 74
02 전환점이었던 이라크 파병
이라크 파병 때 한국의 반응 76
매우 감정적인 파병 반대론 76
역사적으로 조성된 미국을 향한 불신 78
‘국익’, ‘이익’에 대한 집착 79
헌법 9조의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다 82
03 한일 군사연대의 가능성
한일 관계는 ‘유사동맹 관계’ 85
일본과 한국의 국익이 접근했다 86
한일의 ‘제3의 길’ 87

제6장 북한이라는 요소
01 북한에 열등감을 느끼는 한국인
북한에 심리적으로 대항할 힘이 없는 한국 89
한국인도 끌어들이는 ‘주체사상’ 91
02 북한과 미국, 북한과 중국
평양의 유원지 92
김정은 정권과 군의 흥정 93
북한과 중국의 관계 94
03 한국과 북한은 완전히 대칭적인가?
국명에 ‘민주주의’가 들어간 이유 95
민주주의를 둘러싸고 어긋나는 한일 97
북한의 반격과 일본의 역할 97

2부 ‘전후 최악의 한일 관계’를 어떻게 봐야 할까?
제7장 니힐리즘의 동아시아에 미래는 있는가?
01 우울하고 니힐리스틱한 동아시아
특히 위험한 것은 자포자기와 허무감이다 101
세계 정상급이 되고 만 ‘유치한 동아시아’ 103
‘젊음’인가, 니힐리즘인가? 104
02 동아시아 각국의 니힐리즘
중국의 니힐리즘 106
한국의 니힐리즘 107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니힐리즘 109
03 한국은 국가인가?
한국이란 ‘운동단체’이다 111
일본은 ‘국가 없는 불변의 단체’이다 112
일본의 젊은이에 대한 좌파의 정신폭력 113

제8장 언론의 한일관
01 전 ‘서울지국장’ 네 명의 한일론
신간 네 권에 대한 서평 116
‘단절’에 대한 인식 118
한국 청년층의 의식 118
한일청구권협정은 ‘세세한 법리’ 119
보수파 타도의 영속화 121
‘혼밥’은 인기 없는 박근혜의 상징 122

02 당파 분열이야말로 평범한 상태
한반도는 언제 통일되었을까? 123
인식의 함정 125

제9장 더 나은 한일 관계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① 한국인은 일본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 129
② 일본인 역시 한국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 132
③ “한일이 세계를 이끌고 있다”는 자각을 가져야 한다 135
④ 상대의 매력적인 이미지를 어떻게 만드느냐가 중요하다 140

끝으로
과감했던 한국의 결단 145
‘새로운 문화 패러다임의 창조’-2012년의 제언 146
상호 불신과 몰이해를 넘어서야 한다 146

역자후기

저자소개

오구라 기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에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도쿄대학교 독문과를 졸업 후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 동양철학 전공 석사과정에 진학해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리고 1995년 서울대 동양철학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12년 4월부터 교토대 대학원 인간환경학연구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국내에 번역, 출간된 저서로는 『일본의 혐한파는 무엇을 주장하는가』(2015), 『새로 읽는 논어』(2016),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리(理)와 기(氣)로 해석한 한국사회』(2017)를 비롯해 최근 『조선사상사』(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재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9년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태어나 일본어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중국전선 종군기』(마르코폴로, 2023), 『한국의 행동원리』(마르코폴로, 2022), 『미일안보체제사』(어문학사, 2022), 『일본 ‘우익’의 현대사』(오월의 봄, 2019), 『청일전쟁 국민의 탄생』(오월의 봄,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