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형당했지만 이 편지는 주고 싶습니다

사형당했지만 이 편지는 주고 싶습니다

(세네카의 행복론)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은이), 박정민 (옮긴이)
필로틱
16,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120원 -10% 0원
840원
14,280원 >
15,12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512원
13,608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형당했지만 이 편지는 주고 싶습니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형당했지만 이 편지는 주고 싶습니다 (세네카의 행복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고대철학 > 고대철학 일반
· ISBN : 9791198713629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4-07-02

책 소개

2,000년 넘게 사랑받아 온 세네카의 철학이 담긴 책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단순한 철학서가 아니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언어로 ‘불행’과 공존하는 법을 알려준다.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우리는 종종 길을 잃은 듯한 막막함을 느낀다. 이 책은 그런 순간에 스토아 철학의 핵심 가치를 알려주고, 그것들을 실천하는 방법을 가르쳐준다.

목차

프롤로그
Q1. 삶에 있어서 가장 큰 적은 ‘기대’라는 걸 왜 모르는가?
Q2. 어둠 속의 두려움은 어떻게 밝힐 수 있는가?
Q3. 위험한 인생이 더 선한 것이라고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Q4. 생각만 해도 평온해지는 사람이 곁에 있는가?
Q5. 자기 얼굴의 큰 땀구멍은 보지 못하면서 남의 얼굴에 난 뾰루지는 왜 보고 있는가?
Q6. 묶인 개가 짖어대면 무시하면서, 멍청한 자들의 소리에 왜 귀를 기울이는가?
Q7. 개에게 물렸다고 그 개를 물겠는가?
Q8. 무절제한 행복보다 불행이 더 가치 있다고 생각해본 적 있는가?
Q9. 누군가의 창백한 얼굴이나 마른 몸에 왜 관심을 두는가?
Q10. 의사가 곧 당신이 죽는다고 말할 때, 어떻게 반응할 것 같은가?
Q11. 겸손함은 어떤 의미인가?
Q12. 시간이 약이 되는 경험을 해보았는가?
Q13. 행복해지는 방법을 알고 있는가?
Q14. 가장 자주 고함 소리가 나는 때는 언제인가?
Q15. 왜 남들에게 화를 내느라 인생을 낭비하는가?
Q16. 당신은 몇 살에 은퇴해서 한가하게 살 계획인가?
Q17. 은둔자의 삶은 왜 하찮다고 생각하는가?
Q18. 왜 부 위에 부를 쌓아 하늘을 가리려 하는가?
Q19. 왜 고귀한 인생을 부의 노예로 살아가는가?
Q20. 당신의 스승은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가?
Q21. 당신은 어떤 철학을 가지고 있는가?
Q22. 왜 칼을 휘두르는 법만 배우고 있는가?
Q23. 매일 책을 읽는 사람이 좋은 삶을 산다고 생각하는가?
Q24. 학교에서 대체 무엇을 배우고 있는가?
Q25. 매일 한 가지 일을 한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Q26. 벌레만큼 여가 시간이 많으면 행복한가?
Q27. 당신은 인생의 재앙을 친구로 삼을 수 있는가?
Q28. 당신은 지금 하는 일을 왜 하고 있는가?
Q29. 최악의 리더는 어떤 사람이라 생각하는가?
Q30. 우리가 쏟아부은 시간은 무엇을 남겼는가?
Q31. 당신은 죽기까지 일주일 남았다. 무엇을 할 것인가?
Q32. 돈은 나누지 않으면서, 왜 인생은 나눠주고 있는가?
Q33. 과도한 쾌락은 행복인가, 아니면 불행인가?
Q34. 고통이 두려워 피하는 사람은 왜 결국 불행해질까?
Q35. 이웃이 샀다는 이유로 얼마나 많은 물건을 샀는가?
Q36. 예기치 않은 최악의 불운을 어떻게 맞이할 생각인가?
Q37. 선에 도달한 사람은 왜 불행을 겪지 않는가?
Q38. 당신이 오늘 꼭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Q39. 얼마나 많은 일들이 예상과는 달리 일어나지 않았던가?
Q40. 무엇 때문에 근심하고 있는가?
Q41. 멍에에 눌려 살 거라면, 왜 스스로 당장 목을 베지 않는 것 인가?
Q42. 죽는 법을 왜 배워야 할까?
Q43. 화가 많은 나를 바꿔줄 친구가 곁에 존재하는가?
Q44. 다른 사람의 칭찬과 관심에 너무 목매고 있지는 않은가?
Q45. 당신 곁에 있는 수준 낮은 사람은 누구인가?
Q46. 중요한 사람이 되는 것에 사람들이 왜 집착한다고 생각 하나?
Q47. 왜 자신의 장례식 같은 걸 고민하고 있는가? 죽은 이후의 명예를 대체 왜 생각하는가?
Q48. 현인들이 선함을 왜 사랑하는지 아는가?
Q49. 왜 당신을 부러워하는 사람을 멀리 둬야 할까?
Q50. 불행을 친구로 맞이할 준비가 되었는가?
Q51. 매력적이며 오만한 자는 친구로 둬야 할까?
Q52. 무례한 사람은 어떻게 다뤄야 하는가?
Q53. 위험한 장난으로 죽을 뻔한 사람들이 왜 또 같은 일을 반 복한다고 생각하는가?
Q54. 당신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과 불필요한 것을 구분하는 기준이 있는가?
Q55. 당신은 하루를 되돌아보며 반성할 용기가 있는가?
Q56. 불행은 착시에 불과한 게 아닐까?
Q57. 왜 사람은 화를 낸다고 생각하는가?
Q58. 일 년에 몇 번이나 분노하는가?
Q59. 모욕과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최선의 행동은 무엇인가?
Q60. 분노는 다른 감정과 무엇이 다른가?
Q61. 당신은 최근 어떤 것이 가장 두려웠는가?
Q62. 우리가 테이블을 내려치고 잔을 집어던지고 머리카락을 쥐어뜯을 이유가 무엇인가?
Q63. 오늘을 내버리고 내일을 살고 있지는 않은가?
Q64. 눈물을 흘리는 것은 창피한 일인가?
Q65. 분노의 속성을 알고 있는가?
Q66. 분노와 화는 무슨 차이가 있는가?
Q67. 윗사람에게 분노를 표출하는 게 옳은 일일까?
Q68. 아이를 망치는 최선의 방법을 알고 있는가?
Q69. 왜 사람들을 관찰하지 않는가?
Q70. 과거, 현재, 미래 중에서 우리는 무엇을 붙잡고 살아야 하는가?
Q71. 진정으로 부유한 사람은 누구인가?
Q72. 흰머리와 주름을 가진 사람을 보라. 그는 지금까지 훌륭한 여행을 해왔을까?
Q73. 당신도 모르는 사이에 얼마나 많은 삶을 빼앗겼는가?
Q74. 조용한 바다는 정말 아무 운동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가?
Q75. 운을 기다리고 있는가?
Q76. 어려워서 못 하는 것인가, 아니면 시도하지 않아서 못 하는 것인가?
Q77. 독립적인 삶은 우리 내면에서 진정한 즐거움을 피워낼 수 있는가?
Q78. 당신은 스스로를 믿는가?
Q79. 주위의 소음 속에서 어떻게 자신의 진정한 감정을 찾을 수 있는가?
Q80. 좋은 지식을 왜 감춰두는가?
Q81. 혼자 지내는 시간을 왜 하찮게 여기는가?
Q82. 이성보다 관습을 따르는 삶에서, 우리는 진정한 길을 찾을 수 있는가?
Q83. 삶의 길이보다 내용을 채우는 것이 왜 더 중요한가?
Q84. 부정한 사건이 왜 꼭 나쁘다고 생각하는가?
Q85. 왜 당신의 몸이 당신 것이라 생각하는가?
Q86. 부를 왜 무겁게 여기는가?
Q87. 왜 타인으로부터 얻는 한가함에만 의존하는가?
Q88. 왜 친구를 도와야 하는가?
Q89. 거짓을 자랑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Q90. 왜 인간은 자연 본성을 지키지 못해 불행해지는가?
Q91. 걱정의 씨앗을 메고 어딜 가는가?
Q92. 악덕한 사람은 왜 그리됐다고 생각하는가?
Q93. 인생의 어느 항구로 가야 할지 스스로 알고 있는가?
Q94. 왜 철학자는 재산을 경멸해야 한다고 말하면서 재산을 갖는가?
Q95. 왜 굳이 바다를 건너는가?
Q96. 부탁할 게 없다는 것이 얼마나 즐거운지 생각해보았는가?
Q97. 은혜를 베풀면 왜 반드시 돌려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Q98. 가장 만나기 어려운 사람은 자기 자신이라는 걸 알고 있는가?
Q99. 살면서 얼마나 많은 재산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Q100. 운명과의 싸움에서 승리하고 싶은가?
Q101. 명성을 얻은 자를 왜 부러워하는가?

에필로그

저자소개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당시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던 스페인의 코르도바 지역에서 부유한 집안의 삼형제 가운데 둘째로 태어났다. 이후 로마로 이주했고, 스토아 철학자인 아탈루스와 스토아주의 사상과 피타고라스주의 사상을 결합한 섹스투스(기원전 50년경 활동) 학파에 속한 소티온(서기 1세기경)과 파비아누스(서기 1세기경)에게서 수사학과 철학을 배웠다. 서기 1년경 식민지 총독으로 부임한 이모부를 따라 이집트로 간 세네카는 그곳에서 행정과 재정에 대한 경험을 쌓았고, 31년에 로마로 돌아와 재무관으로 정계에 발을 들였다. 네로 황제의 가정교사이자 조언자로서 많은 부와 권력을 누렸으며 정치가, 철학자, 작가로서 명성을 쌓았다. 말년에는 은둔하여 평화로운 삶을 살고자 했으나 네로 황제의 암살 사건에 연루되어 자결하라는 명을 받고 죽음을 맞이했다. 주요 저서로는 《마르시아를 위한 위안》, 《어머니 헬비아를 위한 위안》, 《폴리비우스를 위한 위안》 등의 주변 사람들을 위로하는 위안서 ,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 《현명한 사람의 확고함에 관하여》, 《편익에 관하여》, 《행복에 관하여》 등의 수필, 《메데아》, 《파이드라》, 《튜에스테스》, 《휴식에 관하여》 등의 비극이 있다.
펼치기
박정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났다. 외고를 나와 중앙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했다. 현재 출판기획 및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면서 어딘가 허전하고 산만한 기분에 휩싸여 사유의 즐거움을 잃어가던 중, 우연히 해머튼의 저작을 만났다. 150년 전 이미 우리가 맞닥뜨릴 문제를 예견한 그의 통찰을 통해 ‘어제보다 멍청해지기 전에’ 스스로를 일깨울 방법을 찾았다. 더 많은 독자들과 그의 지혜를 나누고 싶은 마음에서 이 책을 번역하게 되었다. 번역서로는 『사형당했지만 이 편지는 주고 싶습니다』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