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99133457
· 쪽수 : 505쪽
· 출판일 : 2025-11-12
책 소개
• 사쓰마와 조슈가 주도하여 도쿠가와 막부를 무너뜨렸다는 도식적인 이해는 메이지유신의 주요한 특징을 오랫동안 간과하도록 만들었다. 바로 근세 지배층이었던 사무라이들이 스스로 메이지유신을 통해 신분제를 해체했다는 점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발생한 희생이 근대의 다른 혁명에 비해 현저히 적었다는 점도 유신의 특징이다. 세습신분제의 해체와 상대적으로 적은 희생이라는 기본적 사실이 메이지유신사 이해에서 오랫동안 망각되어 온 것이다.
• 이 책은 유신에서 활약한 특정 번과 개인, 혹은 그 반대 세력이라는 정치 주체 중심의 서술에서 벗어나 당대 일본인의‘과제 인식과 해결 모색’이라는 모델을 제시한다. 막부 말기의 정치과제를 집약하는 상징은‘공의(公議)’·‘공론’ 및 ‘왕정’이었다. 이는 구체제의 수용·변혁이냐, 전면부정이냐를 둘러싼 두 개의 왕정복고안으로 집약되었다. 도쿠가와 지배를 전면부정한 측이 승리한 결과 메이지 신정부는 수립되었다.
• 근세 일본은 천황과 쇼군이라는 두 명의 군주와 이백 수십여의 다이묘 통치영역으로 구성된 쌍두·연방국가였다. 신정부가 맞이한 과제는 정권의 일원화와 중앙집권화, 그리고 탈신분화였다. 신정부는 수립 3년 반만에 그 기본적인 틀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급진적 개혁은 한편으로 무력 반란을 불러왔고 내란이 진압된 이후 반정부 운동은 무력을 버리고 언론에 기댔다. 막말에 등장한 ‘공의’·‘공론’은 정치적 함의를 확대하며 메이지 시대로 이어졌던 것이다.
목차
서문 8
한국어판 서문 8
들어가며 13
서장 : 메이지 유신의 전제 ㅡ 글로벌화의 제4파
1. 글로벌화의 제1파 ㅡ 인류의 이주
2. 제2파 ㅡ 릴레이식 교역과 군사원정
3. 제3 · 4파 ㅡ 서양 기원의 지구일체화
4. 19세기 중반의 교통혁명과 태평양 세계
제 1 장 근세 동아시아의 세계질서
1.1 동아시아의 세계질서
1.2 근세 일본의 세계질서상
제 2 장 근세 일본의 쌍두 ·연방 국가
2.1 다이묘의 ‘국가’
2.2 중심 1 ㅡ ‘공의’
2.3 중심 2 ㅡ ‘금리’
제 3 장 근세 일본 사회 ㅡ 구조 ·동태와 사회결합의 변화
3.1 ‘지게’ 사회 ㅡ 본적에 의한 신분
3.2 신분 동태 ㅡ 직능에 의한 신분
3.3 ‘지게’에서 ‘국민’으로
3.4 지적 네트워크의 형성 ㅡ 신분과 지역을 넘어
제 4 장 19세기 전반의 국제 환경과 대외론의 축적
4.1 동아시아 국제환경의 변화
4.2 쇄국 정책에 대한 실천 의지
4.3 지식인의 세계 인식
제 5 장 막말: 대외정책의 변화
5.1 아편전쟁과 쇄국 유지의 모색
5.2 공의의 정책 전환 ㅡ 한정적 개국에서 적극적 개국으로
5.3 국내 저항과 외교
제 6 장 막말: 정치질서의 붕괴
6.1 외압에의 기술적 대응과 정치적 왜곡의 축적(1853~58)
6.2 안세이 5년 정변(1858)
6.3 어떠한 비극이었는가
제 7 장 막말: 공의 ·존양 ·강병 운동
7.1 공무화해의 시도 및 막부의 강병 개혁과 대다이묘 공의 운동의 교착
7.2 양이운동의 정국 지배
제 8 장 막말: 질서재건의 모색 ㅡ ‘공무합체’ 체제의 성립과 무력 충돌의 출현
8.1 ‘명현후’의 상락과 ‘정체 일신’
8.2 ‘공무합체’ 체제와 외부 세력
8.3 조슈의 교토 진격과 조적화
8.4 ‘합체’와 ‘공의’의 경합 (1) ㅡ 제1차 조슈 정벌을 둘러싼 술수
8.5 ‘합체’와 ‘공의’의 경합 (2) ㅡ 조슈의 ‘대적’체제, 조약칙허 문제
8.6 조슈 최종 처분안과 삿초의 접근
제 9 장 유신: ‘왕정’ · ‘공의’ 정체로 (1) ㅡ 최초의 시도부터 최후의 다이묘 회의까지
9.1 조슈 전쟁 ㅡ ‘어위광’의 실추
9.2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계승과 ‘공의’ 정체 전환의 기회 상실
9.3 마지막 쇼군의 외교와 정체 일신
9.4 공의파 4후와 쇼군 요시노부
제 10 장 유신: ‘왕정’ · ‘공의’ 정체로 (2) ㅡ 무력 동원과 정책 ·제휴 관계의 격변
10.1 사쓰마와 도사의 정책 전환 ㅡ 무력 동원과 신정체 구상
10.2 정권 반납 운동과 거병책의 상승적 전개
제 11 장 유신: ‘왕정’ · ‘공의’정체로 (3) ㅡ 두가지 ‘왕정복고’
11.1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정권 반납
11.2 사쓰마와 이와쿠라 도모미 ㅡ 거병에서 쿠데타로의 전환
11.3 왕정복고 쿠데타로의 길 ㅡ 공의파 친번 도쿠가와 다이묘의 참가
11.4 쿠데타에서 내전으로 ㅡ 요시노부 의정 취임 공작과 좌절
제 12 장 메이지: 정체 변혁의 3년 반 ㅡ ‘공의’ · ‘집권’ · ‘탈신분’
12.1 ‘일신’의 제도 ㅡ 국가기본법 ?정체?의 의미
12.2 무진내란 ㅡ 규모의 한정성 ·부차 효과의 거대함
12.3 지역 간 경쟁과 ‘공의’ ‘집권’ ‘탈신분’
제 13 장 메이지: 급진적 개혁과 무력반란
13.1 탈신분화로 ㅡ 신분해방정책
13.2 ‘국민’ 육성책 ㅡ 교육과 징병
13.3 지역 간 통합 정책 ㅡ 토지 ·인민의 조사와 교통 ·통신 기반의 건설
13.4 재정 통합과 가록 처분
13.5 잔류 정부 쿠데타와 정한론 정변
13.6 서남내란 ㅡ 유신 동란의 종결, 폭력과의 결별
종장 : 비교와 글로벌화에서 본 메이지 유신
1. 변혁 과정의 개요
2. 국내의 구조 변화
3. 희생이 적은 이유 ㅡ 비교 고찰
후기와 부록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연보
에도시대 막부 관직 구조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