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27808480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7-04-1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창조력은 ‘생존’이다
0장 생존을 위한 몇 가지 질문
제4차 산업혁명의 경고
인류와 일자리의 미래
1장 잃어버린 창조력의 고리를 찾아서
한 인간이 창조적 성장을 이루려면
창조력을 자극하는 환경과 경험
창조적 성과로 이어지는 질문의 힘
창조적 인간은 무엇을 가졌는가
2장 창조력은 어떻게 자라나는가
사소한 불만이 혁신을 만든다
인생의 골든 링크, 불완전을 인정할 것
서로 다른 영역의 접점을 확보하라
건설적인 불만족이 필요하다
아이디어를 현실화하는 구체적 지침
3장 창조력을 가로막는 적들
무엇이 창조력을 키우는가
조직의 창조력이 유지되려면
창조력을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 장치
작은 원형 테이블에 숨겨진 힘
위기를 극복하는 열쇠
4장 질문이 사라진 사회
각기 다른 견해를 펼치는 이스라엘 아이들
아이가 왜냐고 묻자 세상이 멈춰 섰다
창조력을 키우는 교육 vs. 창조력을 가로막는 교육
창조력은 시험에 의해 창출되지 않는다
‘사일로’를 없애려면
5장 실패와 회복탄력성
첫 번째 실패와 세 번의 기회
누구나 인생의 어떤 지점에서는 실패한다
회복탄력성과 창조력의 비밀
문제를 푸는 사람, 문제를 구성하는 사람
6장 혁신으로 나아가는 길
누구나 아는 상식은 상식이 아니다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창조하는 것
어떤 미래를 창조할 것인가
7장 인류, 창조적 모험을 권장하다
우연성과 필요성의 동거
창조력, 동맥경화증에 걸리다
경쟁력을 갖추려면
충격이 필요한 사회
8장 창조력의 지정학적인 미래
압박감과 성공의 상관관계
창조성과 ‘시간’의 딜레마
화성 여행을 꿈꾸지 않는 사람들의 생존법
에필로그 우리에게 남은 과제들
리뷰
책속에서
우선 창조력이란 개념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이야기를 이어나가 보죠. 한 예로 지금까지 어떤 트렌드를 파악하는 데 인간의 창조력이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빅데이터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죠. 즉, 인간의 사고와 분석이 필요했던 작업들을 기계가 대신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런 변화 속에서, 앞으로 인간의 역할은 결과를 만들어내기보다는 필요한 질문을 던지는 쪽이 될 겁니다.
- p16, 제4차 산업혁명의 경고
경영 분야에서는 최상의 관리란 근로자들이 최대한 자유롭게 일할 수 있게 내버려두는 것이라고들 합니다. 만약 그런 환경을 방해하는 걸림돌이 있다면 제거하는 게 조직 경영을 위해 해야 할 일이라는 거죠. 그런 면에서 팀이 꾸려지면 팀원들을 세부적으로 관리하지 말아야 합니다. 사람들은 조직이 창조력을 갖길 원하죠. 그러면 먼저 팀원들을 창조적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 pp50~51, 창조적 인간은 무엇을 가졌는가
창조력을 정의할 때 첫 번째 전제는 ‘필요성(니즈)를 파악하는(느끼는) 능력’입니다. 기존 이론에 어떤 허점이 있는지, 또는 기존 제품이나 아이디어에 어떤 결함이 있는지를 알아내는 과정에서 니즈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파악한 니즈에 대해 고민을 시작하는 바로 그 지점에서 창조력이 활발히 발휘되기 시작합니다. 자신이 현재 살아가는 방식에 대해 모든 면에서 만족하는 사람은 결코 창조적일 리 없습니다.
- pp57~58, 사소한 불만이 혁신을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