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문화유산
· ISBN : 9788928521708
· 쪽수 : 696쪽
· 출판일 : 2025-09-21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서론
제1부 한국의 무형유산 보호 정책
제1장 1962년 「문화재보호법」과 무형문화재 제도
1. 「문화재보호법」의 제정
2. 무형문화재 제도
3. 문화재위원회
4. 무형문화재 제도에 대한 학계의 담론
5. 결론
<읽을거리> 한국의 무형문화재 제도에 공헌하신 분
<읽을거리> 무형문화재위원으로서 필자의 활동과 경험
<전문기고> 무형유산 평가지표 개발의 성과와 과제 / 엄승용
제2장 2015년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과 무형문화재 정책의 변화
1. 2015년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과 무형문화재 제도 개정
<전문기고> 「무형문화재법」 제정 배경 및 추진 경과 / 황권순
2. ‘공동체’와 ‘전형’ 담론
<전문기고> 무형문화유산 공동체에 대한 일고찰 / 함한희
<전문기고> ‘전형’의 전형 구성을 위한 시론 / 허용호
3. ‘공동체’와 ‘전형’ 연구를 위한 제언
제3장 2024년 국가유산청의 출범
1. 조직 구성과 주요 업무
2. 무형문화유산 정책 방향과 기본계획
제2부 유네스코의 무형유산 보호 정책
제1장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정책의 태동
1. 전통문화 및 민속 보호에 관한 권고(Recommendation on the Safeguard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Folklore), 1989년
2. 인간문화재(Living Human Treasures) 제도, 1993
3.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1997년
제2장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003년
1. 협약의 개요와 의미
2. 협약의 조직
3. 협약과 지속가능한 발전, 2015년
제3부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이후
제1장 한국 무형문화유산 지형의 변화
1. 서울세계박물관대회(ICOM 2004 Seoul), 2004년
2.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국제저널 무형유산』), 2006년
<전문기고> 국립민속박물관의 『국제저널 무형유산』 발간에 대하여 / 양종승
3.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무형문화유산 국제 정보 네트워킹 센터(International Information and Networking Centre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Asia-Pacific Region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2011년
<전문기고>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의 설립과 활동 성과 / 박성용
4. 국립무형유산원(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2013년
<전문기고> 국립무형유산원 설립 경과와 현재 / 김용구
5. 무형유산학회(Intangible Heritage Association), 2015년
6. 무형유산학과
7. 무형문화연구원(The Center for Intangible Heritage Culture Studies), 2016년
<전문기고> 무형문화연구원 활동의 회고와 전망 / 함한희
8. 국가유산진흥원(Korea Heritage Agency)
제2장 한국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 과정
1. 유네스코의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제도
2.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정 사례
3.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등재 사례
제3장 아리랑상과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
1. 아리랑상(Arirang Prize)(2001~2005)
2.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Jeonju International Awards for Promot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2019~현재)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