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법의 정신 1

법의 정신 1

샤를 드 몽테스키외 (지은이), 진인혜 (옮긴이)
  |  
나남출판
2023-06-15
  |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5,200원 -10% 0원 280원 24,9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법의 정신 1

책 정보

· 제목 : 법의 정신 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근대철학 일반
· ISBN : 9788930041386
· 쪽수 : 424쪽

책 소개

프랑스 대혁명과 미국 연방주의 헌법의 사상적 기반이 된 정치학과 법학의 기념비적 고전이다. 정치적 자유를 실현하기 위해 국가의 ‘입법’, ‘행정’, ‘사법’ 기능을 분리하는 삼권분립을 최초로 제시함으로써 서양 민주주의 원칙을 규정하는 데 중요한 나침반 역할을 수행했다.

목차

옮긴이 머리말 7
저자의 일러두기 13
저자 머리말 15

제1부


제1편 법 일반
제1장 다양한 존재와 맺고 있는 관계 속에서의 법 35
제2장 자연법 39
제3장 실정법 41

제2편 정체의 본질에서 직접 유래하는 법
제1장 세 가지 정체의 본질 45
제2장 공화정체 및 민주정체에 관한 법 46
제3장 귀족정체의 본질에 관한 법 53
제4장 군주정체의 본질에 관한 법 56
제5장 전제국가의 본질에 관한 법 59

제3편 세 가지 정체의 원리
제1장 정체의 본질과 원리의 차이 63
제2장 다양한 정체의 원리 64
제3장 민주정체의 원리 64
제4장 귀족정체의 원리 68
제5장 덕성은 군주정체의 원리가 아니다 69
제6장 군주정체에서 덕성의 부족은 어떻게 보완되는가 71
제7장 군주정체의 원리 72
제8장 명예는 전제국가의 원리가 아니다 73
제9장 전제정체의 원리 74
제10장 제한된 정체와 전제정체에서 복종의 차이 75
제11장 전체적인 고찰 77

제4편 교육에 관한 법은 정체의 원리와 관계가 있어야 한다
제1장 교육에 관한 법 79
제2장 군주정체에서의 교육 80
제3장 전제정체에서의 교육 84
제4장 고대인과 우리에게 있어서 교육 효과의 차이 86
제5장 공화정체에서의 교육 86
제6장 그리스인의 몇 가지 제도 87
제7장 이 특이한 제도는 어떤 경우에 좋은가 91
제8장 풍습에 관한 고대인의 역설에 대한 설명 92

제5편 입법자가 제정하는 법은 정체의 원리와 관계가 있어야 한다
제1장 개요 97
제2장 정치적 국가에서의 덕성 98
제3장 민주정체에서의 공화국에 대한 사랑 98
제4장 평등과 검소함에 대한 사랑을 어떻게 고취시키나 100
제5장 민주정체에서 법은 어떻게 평등을 확립하는가 101
제6장 민주정체에서 법은 어떻게 검소함을 유지해야 하나 105
제7장 민주정체의 원리를 옹호하는 또 다른 방법들 107
제8장 귀족정체에서 법은 정체의 원리와 어떻게 관계되어야 하는가 111
제9장 군주정체에서 법은 그 원리와 어떻게 관련되는가 117
제10장 군주정체에서 집행의 신속성 119
제11장 군주정체의 우수성 120
제12장 같은 주제 계속 122
제13장 전제정체의 관념 122
제14장 법은 전제정체의 원리와 어떻게 관련되는가 123
제15장 같은 주제 계속 130
제16장 권력의 전달 132
제17장 선물 134
제18장 최고 주권자의 포상 135
제19장 세 가지 정체의 원리에 대한 새로운 귀결 136

제6편 시민법과 형법의 단순성, 재판 절차, 형벌의 결정에 관한 여러 정체의 원리에서 나오는 결과
제1장 여러 정체에서 시민법의 단순성 143
제2장 여러 정체에서 형법의 단순성 146
제3장 어떤 정체에서, 어떤 경우에 정확히 법조문에 따라 재판해야 하나 148
제4장 판결을 내리는 방법 149
제5장 어떤 정체에서 주권자가 재판관이 될 수 있나 151
제6장 군주정체에서 대신은 재판하면 안 된다 155
제7장 단독사법관 156
제8장 다양한 정체에서의 고발 157
제9장 다양한 정체에서 형벌의 가혹함 158
제10장 프랑스의 옛 법 160
제11장 인민에게 덕이 있을 때는 형벌이 별로 필요하지 않다 160
제12장 형벌의 힘 161
제13장 일본법의 무력함 164
제14장 로마 원로원의 정신 167
제15장 형벌에 관한 로마인의 법 168
제16장 죄와 형벌의 올바른 균형 171
제17장 죄인에 대한 고문 또는 고신 173
제18장 금전형과 체형 174
제19장 탈리온 법 175
제20장 자식의 범죄에 대한 아버지의 처벌 176
제21장 군주의 관용 176

제7편 사치 단속법, 사치, 여자의 지위에 관한 세 정체의 상이한 원리의 귀결
제1장 사치 179
제2장 민주정체에서의 사치 단속법 182
제3장 귀족정체에서의 사치 단속법 183
제4장 군주정체에서의 사치 단속법 184
제5장 어떤 경우에 군주정체에서 사치 단속법이 유익한가 186
제6장 중국에서의 사치 188
제7장 중국에서 사치의 치명적 결과 190
제8장 대중의 정숙함 191
제9장 여러 정체에서 여자의 지위 191
제10장 로마의 가정 법정 193
제11장 로마에서는 어떻게 제도가 정체와 함께 변화했나 194
제12장 로마에서 여자에 대한 후견 196
제13장 여자의 방탕에 대해 황제들이 정한 형벌 196
제14장 로마인의 사치 단속법 199
제15장 여러 정체에서 혼인의 이점과 지참 재산 200
제16장 삼니움족의 훌륭한 관습 201
제17장 여자들의 행정부 202

제8편 세 정체의 원리의 부패
제1장 개요 203
제2장 민주정체의 원리의 부패 203
제3장 극도의 평등 정신 207
제4장 인민이 부패하는 특별한 원인 207
제5장 귀족정체의 원리의 부패 208
제6장 군주정체의 원리의 부패 210
제7장 같은 주제 계속 211
제8장 군주정체의 원리 부패의 위험 212
제9장 귀족은 왕권을 지키려는 경향이 얼마나 있나 213
제10장 전제정체 원리의 부패 213
제11장 원리의 양호함과 부패에서 생기는 자연적 결과 214
제12장 같은 주제 계속 217
제13장 덕성스러운 인민에게 선서의 효과 218
제14장 국가 구조의 사소한 변화가 어떻게 원리의 붕괴를 초래하는가 219
제15장 세 가지 원리의 보존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 220
제16장 공화정체의 특성 220
제17장 군주정체의 특성 222
제18장 특수한 경우인 스페인 군주정체 223
제19장 전제정체의 특성 224
제20장 앞선 장들의 결론 224
제21장 중국 제국 224

제2부

제9편 법과 방어력의 관계
제1장 공화국은 안전을 위해 어떻게 대비하는가 231
제2장 연방의 구조는 동질의 국가들, 특히 공화국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233
제3장 그 밖에 연방 공화정체에 필요한 것들 234
제4장 전제국가는 안전을 위해 어떻게 대비하는가 235
제5장 군주국가는 안전을 위해 어떻게 대비하는가 236
제6장 국가의 방어력 일반 236
제7장 성찰 238
제8장 한 나라의 방어력이 공격력보다 떨어지는 경우 239
제9장 국가의 상대적인 힘 240
제10장 이웃 나라의 쇠약 240

제10편 법과 공격력의 관계
제1장 공격력 241
제2장 전쟁 241
제3장 정복의 권리 243
제4장 피정복 민족의 몇 가지 이점 246
제5장 시라쿠사의 왕 겔론 247
제6장 정복하는 공화국 248
제7장 같은 주제 계속 250
제8장 같은 주제 계속 250
제9장 주변을 정복하는 군주국 251
제10장 다른 군주국을 정복하는 군주국 252
제11장 피정복 민족의 풍속 253
제12장 키루스 법 253
제13장 카를 12세 254
제14장 알렉산드로스 256
제15장 정복을 보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 261
제16장 정복하는 전제국가 262
제17장 같은 주제 계속 263

제11편 국가 구조와의 관계에서 정치적 자유를 구성하는 법
제1장 개요 265
제2장 자유라는 말에 주어진 여러 가지 의미 265
제3장 자유란 무엇인가 267
제4장 같은 주제 계속 267
제5장 여러 국가의 목적 268
제6장 영국의 국가 구조 269
제7장 우리가 아는 군주정체 284
제8장 왜 고대인은 군주정체에 관해 명확한 관념을 갖지 못했나 284
제9장 아리스토텔레스의 사고방식 286
제10장 다른 정치가들의 사고방식 287
제11장 그리스 영웅적 시대의 왕들 287
제12장 로마 왕정과 삼권 분배의 방식 289
제13장 국왕 추방 후의 로마의 상태에 관한 일반적 고찰 292
제14장 국왕 추방 후 삼권의 분배가 어떻게 변하기 시작했나 294
제15장 어떻게 로마는 공화정체가 번영하는 상태에서 갑자기 자유를 잃었나 297
제16장 로마 공화정의 입법권 298
제17장 로마 공화정의 집행권 300
제18장 로마 정체의 재판권 302
제19장 로마 주들의 정체 311
제20장 맺는말 314

제12편 시민과의 관계에서 정치적 자유를 구성하는 법
제1장 개요 315
제2장 시민의 자유 316
제3장 같은 주제 계속 317
제4장 자유는 형벌의 성질과 비례에 의해 촉진된다 318
제5장 특히 절제와 신중이 필요한 몇몇 고발 322
제6장 자연에 반하는 죄 324
제7장 불경죄 325
제8장 신성모독죄와 불경죄라는 명칭의 잘못된 적용 326
제9장 같은 주제 계속 328
제10장 같은 주제 계속 330
제11장 생각 330
제12장 경솔한 말 331
제13장 글 333
제14장 범죄 처벌에서 수치심의 침해 335
제15장 주인을 고발하기 위한 노예해방 336
제16장 불경죄에서의 비방 337
제17장 음모의 폭로 337
제18장 공화정체에서 불경죄를 지나치게 벌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가 338
제19장 공화정체에서 자유의 행사는 어떻게 정지되는가 340
제20장 공화정체에서 시민의 자유에 유리한 법 342
제21장 공화정체에서 채무자에 대한 법의 가혹함 342
제22장 군주정체에서 자유를 해치는 것 345
제23장 군주정체에서의 밀정 346
제24장 익명의 편지 347
제25장 군주정체에서 통치하는 방법 348
제26장 군주정체에서 군주는 접근하기 쉬운 존재여야 한다 349
제27장 군주의 품행 349
제28장 신민에 대해 군주가 가져야 할 존중 350
제29장 전제정체에서 약간의 자유를 부여하기에 적합한 시민법 351
제30장 같은 주제 계속 352

제13편 조세 징수와 공공 수입의 규모가 자유에 대해 갖는 관계
제1장 국가의 수입 355
제2장 조세가 많아야 좋다고 말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356
제3장 인민의 일부가 농노인 나라의 조세 357
제4장 같은 경우의 공화정체 357
제5장 같은 경우의 군주정체 358
제6장 같은 경우의 전제국가 358
제7장 농노제가 확립되지 않은 나라의 조세 359
제8장 어떻게 착각을 유지하는가 362
제9장 나쁜 종류의 세금 363
제10장 조세의 규모는 정체의 본질에 달려 있다 363
제11장 세무 관련 형벌 364
제12장 조세의 규모와 자유의 관계 365
제13장 어떤 정체에서 조세가 증가할 수 있나 366
제14장 조세의 성질은 정체와 관련된다 367
제15장 자유의 남용 368
제16장 이슬람교도의 정복 369
제17장 군대의 증강 370
제18장 조세의 감면 371
제19장 징세 청부제와 직접 징세 중 어느 것이 군주와 인민에게 더 적당한가? 372
제20장 징세 청부인 374

옮긴이 해제: 자유를 위한 초석, 몽테스키외와 《법의 정신》 375
옮긴이 주 391
찾아보기 417
지은이 · 옮긴이 소개 421

저자소개

샤를 루이 드 스콩다 몽테스키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689년 보르도 근처의 라 브레드에서 태어났다. 유서 깊은 무관 가문 출신으로 유복하게 자랐으며 어려서부터 계몽적이고 근대적인 교육을 받았다. 1708년 보르도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변호사가 되었다. 법률 실무를 쌓기 위해 파리에 머무르다 1713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보르도로 돌아왔다. 1716년에는 후손 없이 죽은 작은아버지에게서 재산과 고등법원장 지위를 상속받았고 보르도 한림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721년에는 《페르시아인의 편지》를 익명으로 출판했다. 두 명의 페르시아 여행자의 눈을 통해 프랑스 문명을 날카롭게 풍자한 이 작품은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 작품의 저자가 밝혀지자 몽테스키외는 파리 사교계의 유명 인사가 되었으며, 영국의 정치가 볼링브룩 자작 등과 교류하게 되었다. 1728년에 프랑스 한림원 회원으로 선출된 몽테스키외는 그해 4월부터 3년간 오스트리아, 독일, 이탈리아, 헝가리, 영국 등 유럽 각국을 여행했다. 그는 다양한 제도와 문화를 체험하며 정치가들과 교류했으며, 특히 영국의 의회 정치를 이상적인 국가 정체의 모델로 파악했다. 몽테스키외는 재산을 거의 탕진하고 귀향한 후 그의 필생의 작품이 될 《법의 정신》 저술에 착수했다. 1734년에는 그 일부로 《로마인의 위대함과 그 쇠락의 원인에 관한 고찰》을 발표했고, 1748년 마침내 《법의 정신》을 발표했다. 《법의 정신》에서 몽테스키외는 정부 형태를 분류하고 각각의 원리를 밝혀냈으며, 정치권력을 입법권·행정권·사법권으로 나누어 세 권력이 견제와 균형을 추구할 때 최대의 정치적 자유가 획득된다고 보았다. 또한 여러 학설과 경험, 실험 등에 기초해서 기후 조건이 개인의 신체구조와 사회의 지적 풍토에 미치는 효과를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나 모든 국가에 적합한 정치나 법이란 없다는 이 책의 주장과 그리스도교를 여러 민족의 종교와 동격으로 다루는 시각은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1750년 《법의 정신에 관한 변론》이 출간되기도 했으나, 그 이듬해 로마 가톨릭 교회는 《법의 정신》을 금서로 지정했다. 과로 때문에 거의 실명 상태였던 몽테스키외는 1755년 파리에서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진인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플로베르 연구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파리 4대학에서 D.E.A.를 취득했다. 연세대, 충남대, 배재대에서 강의를 했고, 목원대에서 재직한 후 퇴직하였다. 저서로 《프랑스 리얼리즘》(단독) 및 《축제와 문화적 본질》, 《축제 정책과 지역현황》, 《프랑스 문학에서 만난 여성들》, 《프랑스 작가, 그리고 그들의 편지》, 《문자, 매체, 도시》(공저) 등이 있다. 역서로 《부바르와 페퀴셰》, 《통상관념사전》, 《감정교육》, 《플로베르》, 《마담 보바리》, 《티아니 이야기》, 《잉카》, 《말로센 말로센》, 《미소》, 《루소, 장 자크를 심판하다: 대화》,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 말제르브에게 보내는 편지 외》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