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태복원의 인문학적 상상력

생태복원의 인문학적 상상력

김동윤, 김성도, 김철규 (지은이)
집문당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900원
29,100원 >
30,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3,00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생태복원의 인문학적 상상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태복원의 인문학적 상상력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30317429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17-02-28

책 소개

기호학과 문화이론의 전공자는 생태복원 담론의 개념적 얼개와 인식론적 토대를 비롯해 생태복원의 미학적 윤리적 토대와 서사성의 차원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문학과 비평사를 전공한 다른 전공자는 생태복원 문명사적 의의와 이데올로기적 차원을 비롯해 심미적 상상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마련했다.

목차

서론-김성도

제1장 생태복원 담론의 개념적 구조-김성도
1. 생태복원의 개념 정의
1) 개념의 발생과 진화
2) 생태복원의 현대적 정의
2. 생태복원 주요 문헌 검토
3. 자연훼손과 생태복원
1) 훼손과 재전용(reaffectation)
2) 훼손의 생태학적 파급 결과들
4. 생태계의 회복
5. 생태복원의 가치론
1) 가치론과 과학론의 논쟁
2) 생태학적 가치들
3) 개인의 심미적․영적 가치들
4) 경제적 가치들
5) 문화적 가치들

제2장 생태복원 담론의 인식론적 토대-김성도
1. 복원의 의미론과 세계관: 어원과 시간적 유추
2. 생태복원의 모델과 은유: 공학에서 예술까지
1) 공학과 사이버네틱스
2) 예술과 미학
3. 생태복원의 인간학적 의의: 기술 중심적 생태복원에서 인문적 생태복원으로

제3장 생태복원의 인문학적 상상력과 문명사적 전환의 모색-김동윤
1. 생태복원과 인문학적 상상력
2. 생태복원과 지속가능성
3. 생태복원과 인간중심주의
4. 아르네 네스와 심층생태학
5. 인본주의(휴머니즘)와 생태학: 뤽 페리의 논의를 중심으로

제4장 생태복원의 미학적 윤리적 토대-김성도
1. 자연 미학과 환경 미학: 예술적 감식력과 심미적 공동체
1) 자연의 문화: 자연의 구성
2) 환경 미학의 개념
3) 예술 감상과 자연 감상
2. 생태예술
1) 생태예술
2) 공적 공간과 공유지(commons)
3) 생태복원과 예술
3. 생태복원의 윤리적 토대
1) 아름다움에서 의무로: 생태복원의 윤리적 토대
2) 생태복원의 의례적 차원과 이타성
3) 생태복원의 진정성에 대한 윤리적 성찰

제5장 개발 이데올로기와 농적 기반의 생태복원-김동윤
1. 개발의 논리와 생태복원
2. 생태복원과 기술문명비판
3. 작은 것이 아름다운 공생사회
4. 소농․생태경관․고향의 시학
5. 흙․토양의 상상력과 외쿠메네

제6장 생태적 마음과 심미적 감수성-김동윤
1. 생태적 언어와 녹색문학
2. 자연과 회화의 풍경
3. 세잔-회화와 생태복원
4. 자연과 시적 세계
5. 생태복원의 문학-지오노의 ‘생태주의’
6. 문학의 언어와 생태적 근원
7. 슈바이처의 생명의 외경
8. 온생명과 누스페어

제7장 생태복원의 시간성과 서사성-김성도
1. 시간, 서사, 집단 기억
2. 과거에 대한 향수와 서사적 연속성
3. 장소의 서사와 시간의 깊이
4. 역사적 진정성과 준거
5. 자연의 진정성

제8장 생태복원의 기호학적 상상력-김성도
1. 생태복원의 기호학적 토대: 자연, 생명, 기호
1) 생태기호학: 이론적 배경과 주요 흐름
2) 생태기호학의 주요 핵심 개념
2. 경관의 생태기호학적 접근
1) 경관의 기호학적 차원
2) 경관의 판독가능성과 기호학적 독법
3. 쓰레기의 생태기호학적 시론

제9장 생태복원의 사회학: 사회와 생태 이론의 재구성-김철규
1. 들어가며
2. 생태복원의 개념
3. 생태복원의 사회적 재구성
1) 발전주의를 넘어 생태주의로
2) 공진화와 신진대사 균열론
3) 생태민주주의
4. 결론

제10장 하천복원과 한국의 4대강 사업: 사례 연구-김철규
1. 들어가며
2. 하천복원의 개념과 역사
3. 한국의 개발주의와 하천의 변형
4. 4대강 사업: 개발인가 복원인가?
1) 4대강 사업 개요 및 현황
2) 4대강 사업에 대한 평가
3) 4대강 사업과 팔당 유기농 공동체
5. 외국의 하천복원 사례들
6. 결론

결론을 대신하여: 절제와 균형의 사회를 향하여-김동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동윤 (옮긴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프로방스대학교 문학박사로서 현재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또한 한국영상문화학회 명예회장이면서 ‘4차산업혁명 관련 국가정책과제’(2017-2019) 책임연구자를 맡고 있다. 저서로는 『프루스트』, 『생태복원의 인문학적 상상력』(2017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누스페어』(공역), 『트랜스휴먼 혁명』(2019년 하반기 출간예정) 등이 있다. 폴 리쾨르, 메를로 퐁티, 미셀 마페졸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펼치기
김성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생으로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파리10대학교에서 언어학과 기호학으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및 영상문화학 협동과정 참여교수이다. LG연암재단 교수 해외 연수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옥스퍼드대학교 미술사학과 및 언어학 연구소 방문교수, 풀브라이트 펠로 자격으로 하버드대학교 방문교수, 케임브리지대학교 방문교수, 프랑스국립과학연구소CNRS 및 파리대학 공동 초청으로 방문교수를 지냈으며, 현재는 로마교황청립 그레고리안대학교의 초청을 받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기호학회 및 한국영상문화학회 회장, 국제인문언어학회 편집위원장, 세계기호학회 집행위원과 기호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지인 「세미오티카」 편집위원, 세계기호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현 세계아시아기호학회 회장이다. 「세미오티카」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드그레」 「랑가쥬」 「코디카스」 「시그나타」 「기호시스템 연구」 등 국제 기호학, 매체학, 언어학 분야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데리다, 그레마스, 소쉬르, 아리베, 에코, 퍼스, 플로슈 등의 저서를 번역했으며, 1996년 한국일보 출판문화상(번역 부문)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 읽기』『구조에서 감성으로』『도시 인간학』『호모 모빌리쿠스』『기호, 리듬, 우주』『디지털 언어와 인문학의 변형』『로고스에서 뮈토스까지』『현대 기호학 강의』 등 다수가 있다. 2024년 벨기에 인문학 전문 출판사 아카데미아Editions Academia에서 운영하는 유럽 최고의 언어 이론 총서에 동양인 최초로 프랑스어 단독 저서 『비교 그라마톨로지 시론: 상호매체성의 인류 기호학Essais de grammatologie comparee: Pour une anthroposemiotique de l’ intermedialite 』을 출간했다.
펼치기
김철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중구에서 태어난 서울 토박이다. 농업의 ‘농’ 자도 모르다가 농업?농촌?농민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유학 중 미국의 대외 정책과 농지개혁 관련 석사학위 논문을 쓰면서부터다. 계속해서 남한 자본주의 발전과 농업에 관한 박사학위 논문을 쓰고, 거시적 시각에서 농업 문제를 연구해왔다. 최근에는 보다 미시적인 먹거리 문제로 관심을 넓혀가고 있다. 한국인의 먹거리 소비 변화가 세계 식량체제 및 남한 개발주의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사회사적으로 풀어가는 중이다. 앞으로 한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의 먹거리 소비 변화를 사회변동의 틀에서 비교하는 작업을 계획하고 있다. 우리가 무엇을 먹는가가 전체 먹거리체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으며, 강의를 통해서 ‘생각하며 먹기’와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공부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코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8년 현재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다. 한국농촌사회학회 회장, 한국사회학회 감사, 아시아농촌사회학회 이사 등을 맡고 있다. 주요 저술로 《생태복원의 인문학적 상상력》(공저, 2017), 《석유식량의 종언》(공역, 2016),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2015, 공저), 《환경사회학: 자연과 사회의 만남》(공저, 2015), 《새로운 농촌사회학》(공저,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