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사 기행

한국사 기행

(고고학자 조유전과 이기환의)

이기환, 조유전 (지은이)
책문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400원 -10% 720원 12,240원 >

책 이미지

한국사 기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사 기행 (고고학자 조유전과 이기환의)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31574821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0-08-16

책 소개

역사적 지식에 기행이라는 테마와 엮어 우리 역사를 누구나 즐겁고 흥미 있게 접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 문헌이 남아 있는 역사시대는 물론이고 우리 역사의 시원이 담긴 선사시대의 흔적까지 '발굴과 기행'을 통해 추적한다. 이 책의 저자들은 '우리나라 고고학의 살아있는 증인' 조유전 경기문화재연구원장과 오랫동안 문화재 전문 기자로 일해 온「경향신문」의 이기환 부국장이다.

목차

들어가면서1|발굴로 보는 우리 역사 답사기 6
들어가면서2|미래를 위해 과거의 흔적을 찾아가는 행복한 여정 9

제1부 충청|하늘이 내려준 고대사의 흔적

1장_마한의 비밀을 간직한 공주 장선리 유적 14
2장_무령왕릉 이후 최대 발굴, 공주 수촌리 고분 24
3장_철강 강국 백제의 위용을 보여 준 청주 신봉동 유적 42
4장_나·당 국제회담이 열린 철옹성, 보은 삼년산성 60
5장_발 끝에 걸려 머리를 내민 단양 적성비 72
6장_어느 향토사학회가 발견한, 중원 고구려비 82
7장_위덕왕의 뼈저린 반성이 담긴 부여 왕흥사 96

제2부 호남·제주|고고학, 동북아의 중심에서 역사를 만나다

8장_서동과 선화의 파란만장한 사랑이야기가 깃든 익산 미륵사지 118
9장_고대사의 블랙박스가 열린 나주 복암리 유적 138
10장_고철에서 국보로 운명이 뒤바뀐 화순 대곡리 청동예기 164
11장_2,000년 전의 무역항, 해남 군곡리 유적 174
12장_또 다른 역사, 탐라의 흔적을 간직한 제주 고산리 유적 184

제3부 영남|역사가 바뀐 곳, 역사가 이루어진 곳

13장 _ 한국 고고학의 출발지가 된 영도 동삼동 패총 202
14장 _ 임나일본부설을 폐기해 버린 동래 복천동 고분군 218
15장 _ 전쟁고고학의 성과를 담아낸 동래읍성 234
16장 _ 주인을 따라 순장된 창녕 송현동 소녀 250
17장 _ 태풍을 타고 떠오른 8,000년 전의 배, 창녕 비봉리 유적 274
18장 _ 구국의 일념이 절절이 배인 경주 사천왕사터 290
19장 _ 농부가 찾아낸 신라 최고 고비, 포항 중성리비 306
20장 _ 일연선사의 체취가 묻은 군위 인각사 324
21장 _ 세계를 눈물로 적신 사랑이야기, 안동 원이 엄마의 편지 348
22장 _ 고구려와 신라가 지하에서 만나는 영풍 읍내리 벽화고분 362

제4부 강원|문명을 낳은 땅, 국난을 이기다

23장 _ 국난의 아픔을 온몸으로 껴안은 원주 법천사 380
24장 _ 전설과 역사가 어우러진 정선 아우라지 청동기 마을 392
25장 _ 신석기인들의 도시, 강릉 초당동 유적 404
26장 _ 3,000년 전의 청동기 마을, 화천 용암리·위라리 유적 416

제5부 서울·경기|학문과 거래, 일상이 담긴 곳

27장 _ 한성백제인들의 논어책이 나온 인천 계양산성 428
28장 _ ‘조선의 부활’을 알린 서울 청진동 유적 436
29장 _ 출산 직전에 사망한 산모, 파주 파평 윤씨 미라 446
30장 _ 2,000년 전 백제의 대장간 마을, 연천 삼곶리 유적 474

참고문헌 500
찾아보기 522

저자소개

이기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히스토리텔러. 고고역사학자. 우리 역사 속 다양한 유물과 유적, 인물과 사건에 얽힌 에피소드를 깊이 있는 분석과 흥미진진한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소개하며 ‘역사 저널리즘’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에 입학한 뒤 기자로서의 꿈을 좇아 1986년 〈경향신문〉에 입사했다. 여러 부서를 거친 후 2000년부터 문화부에서 문화유산 담당 기자로 일했다. 단순한 스트레이트 기사보다 기획기사로 독자들과 호흡하자는 생각으로 고고학 발굴과 역사를 접목한 다양한 칼럼을 기획했다. ‘한국사 미스터리’, ‘한국사 기행’, ‘코리안루트를 찾아서’, ‘분단의 섬 민통선’ 등 대중의 큰 관심과 화제를 모았던 글들이 이때 탄생했다. 이즈음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으면서 문화유산 전문기자가 되었다. 2011년부터 〈경향신문〉에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를 연재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400편 넘게 이어오고 있다. 2021년부터는 3년간 〈주간경향〉에서 ‘이기환의 하이스토리(Hi-Story)’도 연재했다. 신문 외에도 팟캐스트, 블로그, 유튜브(이기환의 하이스토리), KBS, MBC, 국군방송 등 여러 매체를 통해 대중과 소통해왔다. 지은 책으로 《흔적의 역사》 《성산 장기려》 《한국사 기행》 《분단의 섬 민통선》 《코리안루트를 찾아서》(공저) 《한국사 미스터리》(공저) 등이 있다. 팟캐스트: http://www.podbbang.com/ch/8383 블로그: http://leekihwan.khan.kr (2015 파워블로거)
펼치기
조유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고고인류학과를 졸업한 뒤에, 오로지 우리나라 고고학 발굴조사에 평생을 바쳐 온 “한국고고학의 살아있는 증인”이다. 1971년 공주의 백제 무령왕릉, 경주 지역의 황룡사, 월성, 감은사, 익산의 미륵사지 발굴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굴조사를 비롯해, 러시아와 공동으로 수추섬의 신석기시대 유물을 발굴하는 등 40년 동안 고고학 발굴을 이끌어 왔다.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공예실장, 유적조사실장, 경주고적발굴조사단장, 국립민속박물관장을 역임했고, 1998년부터는 국립문화재연구소장으로 있다가 2002년에 정년퇴임했다. 2006년부터 2009년 3월까지는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장을 지냈으며, 지금은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장과 남한산성운영위원장, 경기도 박물관장을 겸임하고 있다. 저서로는 『백제고분 발굴이야기』,『한국사 미스터리』(공저),『발굴이야기』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1월 3일. 연구실에서 서류정리를 하고 있던 이훈 실장에게 한 통의 전화가 울렸다. 2지역, 즉 수촌리 현장에서 발굴을 담당하던 이창호 연구원의 다급한 목소리였다.
“이 실장님, 지금 1호 토광묘에서 이상한 것이 잡혔어요. 금동관하고 환두대도(둥근 고리 칼)가 나왔어요.”
“금동관?”
머리가 띵했다. 이게 무슨 조화인가? 며칠 전에 본 청동기 세트도 처음인데, 이번에는 금동관이라니. 급거 현장으로 달려간 이훈 실장의 앞에 희미한 금동관 같은 범상치 않은 흔적과 환두대도가 보였다.
(중략)
이훈 실장은 그날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뒤척였다. 낮에 보았던 1호분의 장면이 파노마라처럼 스쳤다. 그러고 보니 한 가지 이상한 점이 있었다. 왜 머리에 쓰는 금동관이 환두대도의 칼끝에 있을까? 칼이 거꾸로 놓였단 말인가? 순간 이훈 실장이 벌떡 일어났다. ‘그래, 왜 금동관이라고만 생각했을까? 금동신발……. 맞다! 금동신발이다!’ 백제 금동신발은 무령왕릉, 즉 왕의 무덤에서 발견된 최상격의 유물이 아닌가?
- 1부 2장 ‘무령왕릉 이후 최대 발굴, 공주 수촌리 고분’ 중에서


크레인으로 들어올린 2단 심주석과 1단 심주석 사이의 틈은 석회로 밀봉된 흔적이 있었으므로 조성된 그대로, 즉 백제인들이 만든 그대로 노출된 것이었다. 조사단원들의 가슴이 쿵쿵 뛰었다. 조심스레 사리공(25×25센티미터, 깊이 27센티미터) 뚜껑을 열어 보았다.
“주체할 수 없는 흥분에 현장에는 정적이 흘렀습니다. 뚜껑을 열자 사리공 중앙에 금동제사리외호가 안치되어 있었고, 남측 벽면에 먼지를 머금은 금판이 보였습니다.”(배병선 실장)
금판을 꺼내 먼지를 닦자 눈으로도 식별할 수 있는 글자가 보였다.
“‘法王’, ‘百濟王后’같은 명문이 아로새겨져 있었습니다.”(김봉건 소장)
(중략)
명문에는 미륵사를 창건한 백제왕후(百濟王后)가『삼국유사』에 나오는 신라 진평왕의 따님인 선화공주가 아니라 “우리 백제왕후(我百濟王后), 즉 좌평(백제 16관등 가운데 최고벼슬) 벼슬인 사택적덕의 따님(佐平沙宅積德女)”이라고 못 박고 있지 않은가.
“엄청난 파장이 일어났어요. 명문대로라면『삼국유사』의 사료적 가치가 크게 훼손될 수밖에 없었죠. 이렇게 되면 선화공주가 미륵사를 지었다는 것과, 서동요를 포함해 백제 서동왕자와 신라 선화공주의 애틋한 사랑이야기는 모두 허구가 되어버릴 판이었죠.”(조유전 선생)
조유전 선생의 말마따나 충격적인 내용이 전해지면서 각 언론뿐만 아니라 학계가 요동쳤고, 선화공주와 서동이야기를 신주 모시듯 했던 익산 지역은 일순 ‘패닉’상태에 빠졌다.
- 2부 8장 ‘서동과 선화의 파란만장한 사랑이야기가 깃든 익산 미륵사지 석탑’ 중에서


“‘원이 엄마의 애끓는 사랑편지’야말로 조선판 ‘사랑과 영혼’이라 할 수 있어요.”(조유전 선생)
사람들을 감동의 도가니로 빠뜨린 또 하나의 유물은 이응태의 부인, 즉 원이 엄마가 남편을 위해 만든 미투리(삼이나 모시 등으로 삼은 신)였다. 미투리는 미라의 오른쪽 부분에서 발견됐다.
“기막힌 것은 원이 엄마가 이 미투리를 자신의 머리카락과 삼(麻)을 섞어 만들었다는 겁니다. 이 미투리(가로 27센티미터×세로 26센티미터)는 한지에 싸여 있었는데요.”
연구팀을 더‘짠’하게 만든 것은 띄엄띄엄 읽을 수 있는 편지 내용이었다.
“워낙 훼손이 심해 몇 군데만 읽을 수 있었는데 내용은‘이 신 시너못……’이라는 내용이었어요. 즉‘당신을 위해 내 머리카락으로 정성스레 삼은 신이었는데 이 신을 신지 못하게 됐다.’는 소리니 얼마나 기막힌 일인지…….”
- 3부 21장 ‘세계를 눈물로 적신 사랑이야기, 안동 원이 엄마의 편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31576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