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프랑스소설
· ISBN : 9788932925066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5-05-05
책 소개
목차
미대학판 서문
제 1 부
제 2 부
역자 해설 ─ 정직함 , 또는 죽기로 하는 것
알베르 카뮈 연보
책속에서
그냥 그 자리에서 뒤돌아서기만 하면 모든 게 쉽게 끝나리라는 생각이 내 머리를 스쳤다. 그런데, 태양으로 전율하는 해변 전체가 뒤에서 나를 압박했다. (……)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그 뜨거움 때문에 나는 앞으로 한 발짝 움직였다. 나도 그것이 어리석은 행동임을, 그러니까 한 발짝 자리를 옮긴다고 해서 태양을 벗어날 수는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런데도 나는 한 걸음을, 딱 한 걸음을 내딛고 말았다. (……) 나의 존재 전체가 송두리째 팽팽하게 긴장했다. 나는 경련을 일으키며 권총을 쥔 손에 발작적으로 힘을 주었다. 방아쇠가 굴복하고, 나는 권총 손잡이의 매끈한 배를 건드렸다. 그리고 모든 것이 거기서부터, 무미건조한 동시에 귀를 찢는 듯한 그 소리와 함께 시작되었다. 나는 땀과 태양을 떨쳐 버렸다. 나는 내가 방금 낮의 균형을, 스스로 행복감을 느꼈던 해변의 그 예외적인 고요를 파괴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하여 나는 꼼짝하지 않는 아랍인의 몸에 대고 또다시 네 발을 더 쏘았다. 총알들은 바깥으로 흔적을 드러내는 대신 몸뚱이 깊숙이 박혀 들었다. 그 네 발의 총성이 내게는 불행의 문을 두드리는 네 번의 짧은 노크와도 같았다.
어느 날이었다. 간수가 내게 말을 걸더니 내가 감옥에 들어온 지 다섯 달이 되었다고 했다. 나는 그의 말을 믿기는 했지만 이해할 수는 없었다. 내게는 모든 게 언제나 독방 안에서 펼쳐지는 똑같은 하루, 한결같이 수행해야 하는 똑같은 임무였으니 말이다. 그날 간수가 떠나고 난 뒤, 나는 쇠 밥그릇에 얼굴을 비춰 보았다. 밥그릇에 비친 내 모습은, 심지어 미소를 지어 봐도 여전히 심각함을 잃지 않는 것 같았다. 나는 그릇에 비친 내 영상을 눈앞에서 마구 흔든 뒤 다시 미소를 지어 보았다. 내 얼굴은 여전히 방금 전과 똑같은 엄숙하고 슬픈 표정을 하고 있었다. 날이 저물어 갔다. 이 무렵이야말로 내게는 언급하고 싶지 않은 시간, 감옥의 전층으로부터 저녁의 소리가 침묵의 행렬을 이루며 타고 올라오는 이름 없는 시간이었다. 나는 채광창에 다가가 사그라져 가는 마지막 빛 속에 반사되는 내 얼굴을 한 번 더 바라보았다. 얼굴은 여전히 심각한 빛을 띠고 있었다. 하긴, 뭐가 놀라운 일이겠는가? 그 순간의 나 자신이 그만큼 심각했는데. 동시에, 그리고 몇 달 만에 처음으로 나는 내 음성이 내는 소리를 똑똑히 들었다. 나는 그 목소리가 이미 오래전부터 내 귓가에 들려오던 말소리와 같은 것임을 깨달았다. 그러면서 이 모든 시간 내내 내가 혼자서 말하고 있었다는 데 생각이 미쳤다. 엄마의 장례식 날 간호사가 했던 얘기가 비로소 머릿 속에 떠올랐다. 그렇다. 출구는 없었다. 그리고 감옥에서의 저녁나절이 어떤 것인지 상상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는 것이다.
지금 죽든 20년 후에 죽든, 어쨌든 죽는 것은 항상 나였다. 다만, 추론을 하면서 그 대목에 이르렀을 때 약간 곤란했던 것은, 앞으로 살 수 있을 20년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내 안에 어마어마한 흥분이 차오르는 것이 느껴진다는 점이었다. 나로서는, 그 20년을 살고 어쨌든 다시 이런 상황에 이르렀다 할 때, 그때 내 생각은 과연 어떠할 것인지를 상상하며 흥분을 억누르는 방법밖에 없었다. 사람이 죽는 순간을 놓고 보면, 언제 어떻게 죽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그것은 명확한 사실이다. 따라서…… (난점은 추론에서 이〈따라서〉라는 말이 대변하는 모든 것을 결코 시야에서 놓치지 않는 데 있다) 따라서, 나는 항소를 거부하는 편을 택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