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34950998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3-09-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우리 머릿속의 세상
1부 비합리성
1장 가까우면서도 먼
해킹당한 존 M.의 스마트폰 · 무너져버린 헬렌 S.의 세상 · 노부인 마르가레트 G.의 확신 · 아주 정상적인 망상? · 정상과 비정상 사이의 깊은 고랑 · 제정신이 아니라고? 무슨 뜻이지? · 사회 분열은 어디서 시작되는가
2장 합리성의 환상
대체 어떤 확신을 말하는 거야? · 망상이란 무엇인가? · 절대적 진리라는 마른 샘 · 최소한의 합리성 · ‘정상적’ 확신의 비합리성 · 우리는 얼마나 이성적일까? · 인지적 왜곡
3장 조현병은 왜 생겨날까?
조현병, 진단의 역사 · 조현병은 질병일까? · 조현병 연구 · 악마는 어디에서 오는가: 유전학의 역할 · 조현병의 존재 이유 · 조현병의 진화적 패러독스 · 천재와 광기는 통한다 · 연속성 가설
4장 비합리성의 진화
비합리성과 생존의 상관관계 · 충수 돌기로서의 비합리성 · 오류 관리 · 빠르고 단순하게 · 긍정적 환상의 긍정적 효과 · 사회적 소속감을 형성하는 비합리성 · 확신을 통한 소통 · 자연선택은 진실에 관심이 없다
2부 예측 기계
5장 우리는 세계를 만든다
불확실한 일 · 외계인의 시선 · 거꾸로 된 블랙박스 문제 · 신경과학적 관점 · 대안적 신경과학적 관점 · 예측 기계로서의 뇌 · 뇌과학 엿보기: 예측 처리 · 불확실성, 그리고 정확성 조절하기 · 예측의 위계질서상 정점 · 정확성 높은 예측: 확신 · 비합리적인 예측 처리 · 나는 내 마음에 드는 세계를 만든다
6장 균형을 잃은 사람들
오목한 얼굴을 볼 수 있는 사람들 · 공 높이의 눈 운동 · 규칙성은 모든 예측의 어머니다 · 신경생물학과 주관적 경험 사이 설명의 틈새 · 뇌의 음량 조절기 · 불균형의 결과: 비정상적 현저성과 망상의 발생 · 망상의 ‘교정 불가능성’에 대하여 · 망상의 실용적 해석 · 하향식 위계질서적 예측 처리 · 확증 편향에 대한 새로운 시각 · 지각과 생각에서의 확증 편향 · 점으로 된 구름과 두 가지 환상
7장 여기서 병든 사람은 누구일까?
망상은 적응적일까? · 화재경보기와 전단 볼트로서의 편집증 · 음모론은 정말로 망상적일까? · 음모론에 대한 믿음과 망상의 공통점 · 음모론에 대한 믿음과 망상의 차이점 · 걸려들 수밖에 없는 인식적 비합리성
8장 기회, 위험 그리고 부작용
우리 뇌가 하는 일 · 존재는 당위가 아니다 · 확신은 가설이다 · 탈낙인화, 이해받지 못하고 이해할 수 없는 사이 · 나는 무엇을 확신하는가?
에필로그 팬데믹 시대의 확신
감사의 글
옮긴이의 글
용어 정리
미주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핵심 명제는 바로 이것이다. 어떤 확신이 ‘정상적인’ 것으로 혹은 ‘제정신이 아닌’ 것처럼 보인다 해도, 그것은 언제나 가설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런 가설은 종종 우리에게 커다란 유익이 된다.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예견하게 해주고, 그런 사건에 더 쉽게 대응하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설은 가설일 따름이다. 즉 아직 입증되지 않은 가정이므로, 언제든 잘못된 것으로 드러날 수 있다.
비합리적 확신의 모든 예는 인식적 비합리성이 결코 망상만의 특성이 아니라,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에게서도 만연한 것임을 보여준다. 종교적 믿음이나 미신처럼 인식적 합리성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 확신이든, 이성의 옷을 입었지만 속으로는 굉장히 비이성적인 음모론이든, 인식적 비합리적 확신은 예외라기보다는 규칙에 가깝다. 대부분 병리적인 것이 아니라, 상당히 ‘평범한’ 것들이다.
진화는 뇌를 굉장히 예민한 패턴 인식 기계이자 행위 감지 기계로 만들었다. 그렇게 해야 생존하고 번식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 결과 우리는 비합리적 결론, 확신, 행동으로 이어지는 인식적 오류를 저지른다. 그러나 오류 관리 이론에 따르면 이렇게 현실을 오인하는 것은 적응적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