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35664306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13-11-15
책 소개
목차
‘자기제한적 민주주의’ 이론으로서의 시민사회 이론|박형신?이혜경 13
감사의 말 57
머리말 61
서론 77
제1부 시민사회 담론
제1장 현대 시민사회의 부활 121
폴란드의 민주적 대항세력 124
프랑스 ‘제2의 좌파’ 이데올로기 132
서독 녹색당의 이론 140
독재정권으로부터 이행과 시민사회: 라틴아메리카의 경우 148
1980년대 말의 동유럽 재고찰 165
몇 가지 비교와 몇 가지 문제들 184
제2장 개념사와 이론적 종합 207
근대 초기의 개념사: 개관 207
헤겔의 종합 220
국가를 통한 통합 240
시민사회를 통한 사회통합 245
제3장 20세기의 이론적 발전 263
파슨스: 전통과 근대성 사이의 시민사회 265
그람시와 사회주의적 시민사회 관념 300
부연설명: 그람시의 계승자들---알튀세, 앤더슨, 보비오 328
제2부 시민사회에 대한 불만
제4장 규범적 비판: 한나 아렌트 355
제5장 역사주의적 비판: 카를 슈미트, 라인하르트 코젤렉 그리고 위르겐 하버마스 395
자유주의적 공론장의 기원: 카를 슈미트와 라인하르트 코젤렉 395
문학적 공론장에서 정치적 공론장으로: 위르겐 하버마스 409
시민사회와 국가의 융합: 카를 슈미트 441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구조변동』에서의 융합 주장 454
제6장 계보학적 비판: 미셸 푸코 473
마르크스, 일반화되다 475
근대 시민사회의 계보학 493
시민사회의 부정성과 사회적인 것의 상실 521
제7장 체계이론적 비판: 니클라스 루만 539
찾아보기 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