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민사회와 정치이론 1

시민사회와 정치이론 1

진 L. 코헨, 앤드루 아라토 (지은이), 박형신, 이혜경 (옮긴이)
한길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250원 -5% 0원
1,750원
3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민사회와 정치이론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민사회와 정치이론 1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35664306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13-11-15

책 소개

한길그레이트북스 127권. 시민사회 이론가 진 L. 코헨과 앤드루 아라토는 이 책에서 서구의 민주주의가 더 민주화될 수 있는 방법은 없는가, 서구 자본주의의 시행착오를 반복하지 않으면서 권위주의에서 민주주의로 이행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목차

‘자기제한적 민주주의’ 이론으로서의 시민사회 이론|박형신?이혜경 13

감사의 말 57
머리말 61

서론 77

제1부 시민사회 담론
제1장 현대 시민사회의 부활 121
폴란드의 민주적 대항세력 124
프랑스 ‘제2의 좌파’ 이데올로기 132
서독 녹색당의 이론 140
독재정권으로부터 이행과 시민사회: 라틴아메리카의 경우 148
1980년대 말의 동유럽 재고찰 165
몇 가지 비교와 몇 가지 문제들 184
제2장 개념사와 이론적 종합 207
근대 초기의 개념사: 개관 207
헤겔의 종합 220
국가를 통한 통합 240
시민사회를 통한 사회통합 245
제3장 20세기의 이론적 발전 263
파슨스: 전통과 근대성 사이의 시민사회 265
그람시와 사회주의적 시민사회 관념 300
부연설명: 그람시의 계승자들---알튀세, 앤더슨, 보비오 328

제2부 시민사회에 대한 불만

제4장 규범적 비판: 한나 아렌트 355
제5장 역사주의적 비판: 카를 슈미트, 라인하르트 코젤렉 그리고 위르겐 하버마스 395
자유주의적 공론장의 기원: 카를 슈미트와 라인하르트 코젤렉 395
문학적 공론장에서 정치적 공론장으로: 위르겐 하버마스 409
시민사회와 국가의 융합: 카를 슈미트 441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구조변동』에서의 융합 주장 454
제6장 계보학적 비판: 미셸 푸코 473
마르크스, 일반화되다 475
근대 시민사회의 계보학 493
시민사회의 부정성과 사회적인 것의 상실 521
제7장 체계이론적 비판: 니클라스 루만 539

찾아보기 607

저자소개

진 L. 코헨 (엮은이)    정보 더보기
뉴스쿨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1979), 현재는 콜롬비아 대학교 정치사상 석좌교수로 있다. 콜롬비아 대학교로 오기 이전에 베닝턴 칼리지(1980-83),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1984)에서 교수를 지냈다. 그녀는 현대의 정치/ 법이론, 대륙 정치사상, 현대 문명, 비판이론, 국제정치이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전공은 시민사회, 주권, 인권, 젠더, 종교, 민주적 입헌주의이다. 현재는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인민주권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2013년 콜롬비아 대학교 우수교수상과 뉴스쿨 대학교 우수동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계급과 시민사회: 마르크스적 비판이론의 한계』(Class and Civil Society: The Limits of Marxian Critical Theory, 1982), 『친밀성의 규제: 새로운 법 패러다임』(Regulating Intimacy: A New Legal Paradigm, 1992), 『시민권 패러다임의 변화와 시민의 배타성』(Changing Paradigms of Citizenship and the Exclusiveness of the Demos, 2009), 『지구화와 주권: 합법성, 정당성, 입헌주의에 대한 재고』(Globalization and Sovereignty: Rethinking Legality and Legitimacy and Constitutionalism,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앤드루 아라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출생하여,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뉴스쿨 대학교 사회학과 정치 / 사회이론 석좌교수로 있다. 콜레주 드 프랑스 초빙교수를 지내기도 했다(2012). 그의 지적 사고는 옛 동유럽 공산주의 국가 대항 지식인들의 사고와 오랜 지적 동료인 진 L. 코헨, 그리고 위르겐 하버마스의 사회학적?철학적 저작에 영향을 받아 틀이 갖추어졌다. 그는 정치사회학, 사회이론, 종교사회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사회?정치사상사, 법?헌법이론, 혁명?급진적 변동의 역사적 문제, 법사회학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청년 루카치와 서구 마르크스주의의 기원』(The Young Lukacs and the Origins of Western Marxism, 공저, 1979), 『네오 마르크스주의에서 민주주의이론으로』(From Neo-Marxism to Democratic Theory, 1993), 『시민사회, 헌법, 정당성』(Civil Society, Constitution, and Legitimacy, 2000), 『점령하의 헌법 만들기: 이라크의 강요된 혁명 정치』(Constitution Making Under Occupation: The Politics of Imposed Revolution Iraq, 2009) 등이 있다.
펼치기
박형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간 고려대학교에서 초빙교수, 연세대학교에서 연구교수 등으로 일하면서 사회이론, 감정사회학, 음식과 먹기의 사회학 분야의 연구를 진행했다. 지금은 고려대학교에서 강의하며,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서 음식 취향의 형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정치위기의 사회학』,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공저), 『에바 일루즈』, 『로맨스 이니그마』(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고전사회학의 이해』, 『은유로 사회 읽기』, 『감정과 사회관계』. 『음식과 먹기의 사회학』, 『어빙 고프먼의 사회이론』, 『지그문트 바우만의 사회이론』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혜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불문학을 전공하고 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 로 활동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불평등과 소수자 문제에 관심이 있으며, 번역과 글쓰기로 모두를 위한 민주주의에 기여하고 싶어 한다. 옮긴 책으로는 『변신의 역사』 『진화하는 언어』 『선거에서 이기는 법』 『민주주의는 실패했는가?』 『우리는 처녀성이 불편합니다』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