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상학/해석학/실존철학
· ISBN : 9788935676491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2-03-05
책 소개
목차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현상학과 학문의 기초
제1절 실재성의 서로 다른 영역
1. 물질적 사물, 물질적 지각, 물질적 자연과학물(리학)
2. 신체, 신체파악과 육체론
3. 육체론과 심리학의 경계설정
4. 자연과학적 고찰에서 ‘공동체’
제2절 심리학과 현상학의 관련
5. 학문에 대한 현상학의 관계
6. 경험적 학문의 존재론적 기초
7. 영역적 개념과 ‘유’-개념
8. 이성적 심리학과 현상학-실험심리학
9. 경험분야에 현상학적 기술(記述)의 의미
10. 볼차노, 로체 그리고 브렌타노의 저술과 현상학의 관계
11. 물리학과 심리학이 그 존재론적 기초에서 맺는 관련의 차이. 이 두 학문에서 기술하는 것의 의미
12. 이성적 심리학과 현상학의 관계에 대한 계속된 해명
제3절 현상학과 존재론의 관계
13. 현상학적 탐구의 장(場)
14. 존재론이 현상학에 포함되어 있음
15. 현상학에 대한 존재론적 확정의 의미와 두 학문에서 태도의 차이
17. 심리학에 대한 존재론적 개념의 의미
제4절 해명하는 방법
18. 독단적 학문을 해명할 필요성
19. 개념의 재료를 해명함
20. 판명하게 함과 해명함
부록
1. 1912년 『이념들』 제2권의 초안
2. 인격적 자아와 신체
3. 사물의 동일성과 영혼의 동일성
4. 유형-경험적 분류
『이념들』 제1권에 대한 후기
후설 연보
후설 저서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책속에서
실재성은 자신의 대응요소를 요구하는 원리상 상대적인 것이며, 또 요소와 대응요소가 이렇게 결부됨에서만 각각은 실재적 속성에 관한 ‘실체’다.
우리는 동물적 존재라는 기초지어진 실재성의 구조의 기초로서 신체물질(Leibesmaterie)을 가지며, 이 신체물질에는 물질적 자연의 인과적 연관에 통합되는 그 자체에 대해 완결된 인과적 연관이 포함된다.
영역의 의미에서 아프리오리는 존재론의 원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