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오끼나와, 구조적 차별과 저항의 현장

오끼나와, 구조적 차별과 저항의 현장

아라사키 모리테루 (지은이), 백영서, 이한결 (옮긴이)
창비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75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오끼나와, 구조적 차별과 저항의 현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오끼나와, 구조적 차별과 저항의 현장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국제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36485825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13-05-31

책 소개

간명하게 정리한 전후부터 2012년까지 오끼나와 투쟁의 보고서. 전 일본 면적 0.6%의 섬에 74%의 미군기지가 집중된 ‘기지의 섬’ 오끼나와. 전후 안정적 미일안보체제 유지를 위해 희생을 강요당해온 오끼나와. 그 문제의 평화적 해결의 접점을 찾는다.

목차

시작하며

제1장 전후 미일관계와 오끼나와
1. 점령정책에서 일본과 오끼나와의 위치
2. 구조적 오끼나와 차별 위에 확립된 전후 미일관계와 복귀운동
3. 안보개정과 구조적 오끼나와 차별
4. 오끼나와 반환과 안보문제의 국지화

제2장 동서냉전 종언 이후 오끼나와의 위치와 민중의 투쟁
1. 일극지배를 지행하는 미국, 안보 '재정의'와 후뗀마문제의 초점화
2. 정권교체의 좌절과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 오끼나와 투쟁

제3장 중국의 대국화와 미일동맹의 공동화, 그리고 동일본대지진
1. 센까꾸제도 문제에서 무엇을 볼 수 있었는가
(1) 미ㆍ중ㆍ일관계의 변화
(2) 국가 교유의 '영토'인가 지역주민의 '생활권'인가
2. 국경지역은 변경인가 평화창조의 장인가
3. 동일본대지진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제4장 구조적 오끼나와 차별 극복의 가능성을 어디서 찾을 것인가
1. 여론조사와 미디어의 논조로 본 미일안보와 오끼나와
2. 야마또의 개입, 야마또와의 연대
3. 국제적인 확산 가운데서

후기를 대신하여

[부록1] 오끼나와와 한국의 연대에 대해
[부록2] 대화: 낮은 국경으로 만들어가는 동아시아 평화_ 아라사끼 모리떼루ㆍ박영서

옮긴이의 말

저자소개

아라사키 모리테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6년 도쿄 출생, 1961년 도쿄대학 문학부 졸업(오키나와현대사, 사회학 전공) 2019년 현재 오키나와대학 명예교수 도쿄도청에 근무하는 동안, 나카노 요시오(中野好夫)의 ‘오키나와센터’에서 주임연구원으로 오키나와전후사의 연구를 시작하였다. 나카노와의 공저 <오키나와 문제 20년>과 <전후오키나와사>로 오키나와 전후사 연구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오키나와 이주 당초부터 오키나와 주민들의 풀뿌리운동을 지원하는 운동을 펼쳐, CTS(석유비축기지) 건설에 반대하는 주민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CTS 저지투쟁을 확대하는 모임’(뒤에 ‘류큐호의 주민운동을 확대하는 모임’)을 조직하고 대표간사를 맡았다. 82년에는 ‘한평반전지주회’를 조직하였으며, 93년부터는 오키나와로부터의 문제제기와 정보교환의 장으로서, 계간지 <け-し風>의 간행에 종사한다. 99년 8월부터 ‘오키나와평화시민연락회’ 대표간사를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오키나와현대사(沖繩戰後史)>(共著, 巖波新書) <오키나와 동시대사 시리즈(沖繩同時代史シリ-ズ)>(全10卷別卷1, 凱風社) <오키나와 수학여행(沖繩修學旅行)>(共著) <신판 오키나와.반전지주(新版 沖繩.反戰地主)>(以上, 高文硏) <현대일본과 오키나와(現代日本と沖繩)>(山川出版) <오키나와의 미래(沖繩のこれから)>(ポプラ社) <오키나와의 풍경(沖繩の素顔)>(テクノマ-ケティングセンタ-) 등이 있음.
펼치기
백영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세교연구소 이사장.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양사학과에서 중국현대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림대학교 교수를 거쳐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학술 활동으로 현대중국학회 회장, 중국근현대사학회 회장을, 사회 활동으로 계간 『창작과비평』 주간을 역임했다. 세계중국학공헌상(2023년)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동아시아 담론의 계보와 미래』(나남출판), 『중국현대사를 만든 세 가지 사건: 1919, 1949, 1989』(창비), 『사회인문학의 길: 제도로서의 학문, 운동으로서의 학문』(창비),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공생사회를 위한 실천과제』(창비), 『동아시아의 귀환: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창비), 『중국현대대학문화연구: 정체성 위기와 사회변혁』(일조각) 등이 있고, 『팬데믹 이후 중국의 길을 묻다』(책과함께), 『생각하고 저항하는 이를 위하여: 리영희 선집』(창비), 『내일을 읽는 한·중 관계사』(알에이치코리아), 『한국의 미美를 읽다』(연립서가), 『한국의 마음心을 읽다』(독개비) 등 다수의 책을 엮었다.
펼치기
이한결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4년 출생,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 문학연구과에서 중국근대사상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5년 현재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강사. 20세기 초반 동아시아의 사상사, 특히 중국과 일본의 지식인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역서로『오끼나와, 구조적 차별과 저항의 현장』(아라사키 모리테루 저, 공역)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