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37833687
· 쪽수 : 498쪽
· 출판일 : 2012-05-15
책 소개
목차
감수의 글
Part 1. 지식의 탄생 : 질문
이 책의 집필 목적에 대하여 _ 노벨 경제학상은 경제학계 최고 권위의 상이다. 노벨 경제학상의 탄생과 선정 과정을 살펴보고, 위대한 학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경제학의 역사와 나아갈 방향을 알아본다.
Part 2. 지식의 탄생 : 인터뷰
01 폴 새뮤얼슨 _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
02 케네스 애로 _ 다수결의 선택이 옳다는 믿음을 깨버린 사회적 선택 이론 연구자
03 제임스 뷰캐넌 _ 정치와 경제 상호 관계에 근거한 공공 선택 이론을 개척
04 로버트 솔로 _ 기술의 향상이 생산성 강화로 이어진다는 경제성장이론을 주장
05 게리 베커 _ 사회 문화적 접근으로 인적 자본의 형성을 이론으로 발전
06 더글러스 노스 _ 경제 성장과 쇠퇴를 이해하는 계량 경제 역사가
07 라인하르트 젤텐 _ 게임 이론의 선구자
08 조지 애컬로프 _ 정보 비대칭 이론의 창시자
09 버넌 스미스 _ 심리학과 실험 방법을 이용한 실험 경제학의 창시자
10 에드먼드 펠프스 _ 미시적 관점을 접목하여 거시 경제학의 이론적 틀을 다진 학자
인터뷰 설문과 답변들
Part 3. 지식의 탄생 : 해답
경제학의 프레임을 바꾼 혁신적인 이론은 어디에서 왔는가? _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위대한 학자들의 성장 과정과 시대적 배경이 담긴 인터뷰를 종합한다. 인터뷰라는 미시적 접근 결과를 통해 경제학의 진보의 방향을 추론하는 거시적 수준으로 나아간다. 무엇이 우리를 지혜롭게 하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통찰을 얻는다.
찾아보기
감사의 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는 항상 경제학에 관심을 두게 된 계기와 어린 시절 가정환경이나 가정교육에서 그런 관심을 불러일으킨 요소가 있었는지 묻는 질문으로 인터뷰를 시작했다. 다음 단계로는 학창 시절, 석사 과정과 박사 과정, 학자로서 잡은 첫 직장과 군대 경험을 살펴보았다. 이 단계에서는 스승과 동료, 팀원이나 친구 등 중요한 인적 영향과 당시의 정치 경제적 상황에 초점을 맞추었다. 다음으로는 선구적인 아이디어와 중요한 논문들을 하나씩 짚고 넘어갔다. 내가 찾아내고자 하는 것은 탁월함의 원천이므로 이러한 접근 방식이 적합했다.
- Part 1. <그들의 가정환경, 학창 시절, 학자로서의 삶을 묻다> 중에서
경제학자들 사이에는 두 가지 이상형이 있습니다. 제라르 드브뢰처럼 시스템 구축자라고 부를 수 있는 사람과 문제 해결사라 부를 수 있는 사람입니다. 나는 문제 해결사 쪽입니다. 시스템 구축자 쪽 경제학자들이 경제학 진보를 어떻게 정의할지 모르겠지만 내겐 간단합니다. 문제를 더 많이 해결하는 것입니다. 이상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면 이해하려고 노력하겠지요. 그렇게 문제를 풀어 해결책들이 쌓이면 그것이 진보입니다. 때로 문제에 대한 올바른 답이 변하기도 합니다. 상황, 제도, 사람들의 태도가 바뀌기 때문이죠. 그러나 풀어야 할 문제가 고갈되는 법은 없습니다. 이렇듯 내가 생각하는 경제학의 진보는 소박합니다.
- Part 2. <로버트 솔로> 중에서
물론 내게도 토론은 필요합니다. 다른 학자의 의견은 중요하죠. 하지만 의견은 학회에서 자기 논문을 발표할 때에도 들을 수 있어요. 게다가 가장 많은 상호 작용을 교환하는 학자들끼리는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같은 대학에서 일하는 사람과 깊이 있게 토론하기는 쉽지 않아요. 같은 학교 동료와 이야기할 때는 늘 학과나 행정 문제, 다른 업무 약속 등에 방해를 받기 마련입니다. 오히려 연구보다는 대학 내 정치에 관해 이야기하게 되죠. 그래서 멀리 떨어져 있는 학자들에게서 더 긴밀한 공동 작업이 나오는 겁니다. 우연의 일치가 아니죠.
- Part 2. <라인하르트 젤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