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37838231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6-06-25
책 소개
목차
서문 - 니체의 속물
1부 가면을 쓴 사람들
01. 완벽주의자들의 행태
02. 완벽주의의 이면
03. 완벽주의의 뿌리: 근거 없는 직감
04.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05. 정신의 톱니바퀴
2부 가면의 힘
06. 성과주의 사회의 산물
07. 환상 속의 나
08. 외모에 대한 집착
09. 가족 관계에서의 완벽주의
3부 가면을 벗어던져라
10. 자기 인식에서 직감의 변화까지
11. 자신의 불완전함을 인정하기
12. 완벽주의자의 정신치료
옮긴이의 말 - 성과주의 사회가 낳은 유행성 바이러스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완벽주의자는 성과 지향 시대가 낳은 산물이다. 완벽주의자는 심리적 압박감으로 인해 불만족, 자기 경멸 그리고 불쾌한 기분에 시달린다. 스스로 괴로워하고 주변 사람들까지 그렇게 만든다. 무엇이든 지나치면 좋지 않은 결과를 낳게 마련이므로, 이런 사람들은 지금보다 더 잘할 수 없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완벽주의자는 으레 불평 많은 사람, 지독한 비관론자, 유머 감각이라고는 없는 불만분자가 될 수밖에 없다. 완벽하지 않은 것은 아무 쓸모없다는 흑백논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완벽주의의 특징은 성과에 병적으로 집착하는 것이다. 즉, 대단한 업적과 뛰어난 실적을 올리는 일에만 매달린다. 완벽주의자는 특히 거절당하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한 나머지 남들의 기대를 충족하지 못할까 봐 늘 노심초사한다. 게다가 위신이 떨어질까 봐 불안해한다. 완벽주의자는 불안감으로 인해 무의식적으로 난공불락의 불가침 영역을 구축하려고 애쓴다. 따라서 늘 마음의 거울에 자신의 모습을 비춰보면서, 다른 사람들 앞에서 어떻게 처신할지, 남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고심한다. 완벽주의자에게 완벽이란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일 뿐이다. 자신이 만든 겉모습이자, 자기 본모습을 감추는 가면인 것이다.
건강한 정신을 가진 사람과 달리 완벽주의자는 내면이 자유롭지 못하며, 기계장치처럼 여러 요소들이 맞물려 돌아가면서 원인과 결과를 보여주는 정신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정신 기구’를 작동하는 이유는 실수에 대한 극단적인 두려움 때문이다. 특히 자신의 실수를 다른 사람들이 알아챌까 봐 몹시 두려워한다. 완벽주의자에게 완벽이란 목표를 이루기 위한 도구다. 자신이 마련한 책략이자, 본래의 얼굴을 숨기는 가면이다.
이러한 정신적 기계장치를 움직이는 가장 큰 톱니바퀴가 두려움이다. 한도 끝도 없는 두려움으로 인해 상상의 나래를 점점 더 펼침으로써 현실을 직시하지 못한다. 현실 감각이 떨어지면 의사 표현을 할 수 없고, 그와 더불어 이성적으로 반박하는 능력도 현저히 떨어진다. 이러한 톱니바퀴들은 인간의 발전을 저해하며 경직된 사고를 만들고, 풍요로운 인생을 방해한다. 그리고 결국 인간성을 상실하게 된다. 이것이 오스트리아의 정신분석학자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가 말한 ‘그릇된 마음가짐’이다.
1 . 완벽주의자들의 행태
알프레드 아들러는 이미 1백 년 전에 이렇게 설명했다. “권력과 우월성을 추구하는 인간은 시기심을 자주 드러낸다. 쉽게 도달할 수 없는 목표에 직면했을 때 느끼는 거리감은 열등감이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그리고 그 거리감이 사람을 압박하기 때문에 그 사람의 태도나 생활방식을 보면 목표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다. 불만이 많은 사람은 남들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남들은 무슨 성과를 이루었는지에 늘 촉각을 곤두세우고, 남들보다 못하다고 느끼면 정신적으로 위축된다. 남들보다 더 많은 것을 가진 경우에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언제나 부족하다는 위장된 허영심과 더 많은 것을 갖고 싶은 마음, 모든 것을 갖고 싶어 하는 마음이 드러난다. 이런 사람들은 모든 것을 다 갖고 싶다고 말하지 않는다. 공동체 의식이 그런 생각을 용납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들의 행동을 보면 모든 것을 다 갖고 싶은 속마음이 훤히 드러난다.”
5. 정신의 톱니바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