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37883088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6-11-29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01 사람은 왜 사랑을 하는가
사랑은 에너지가 된다
삶을 긍정하는 연애 | 일편단심 나폴레옹 | 사랑 받는 느낌 | 존재 그 자체가 사랑 | 사랑은 보살핌
질투라는 감정의 불가사의
보답을 바라는 사랑 | 받는 사랑이 낳는 질투 | 질투의 화신, 오셀로 | 질투심 조절하기
욕망은 욕망을 모방한다
욕망의 기본은 삼자관계 | ‘인기 에너지’의 중심, 아이돌
시련을 피하고 싶은 현대인
피하고 싶은 성숙 | 엘리트가 되고 싶지 않아요 | 사회 실험실
누가 뭐라 해도 사랑을 하자
가벼운 만남, 깔끔한 헤어짐 | 누가 뭐라 해도 사랑을 하자
사랑의 승화
보편적인 사랑을 향해 | 상처도 반복하면 익숙해진다 | 그래도 상처가 두렵다면
잡담력을 기르자
잡담으로 신호를 읽자 | 물 흐르듯 잡담하는 요령 | 잡담력이 필요한 남자
받는 사랑에서 주는 사랑으로
사랑은 일방통행이 아니다 | 존재 자체를 사랑하자
사랑은 습관이다
습관은 사랑의 모체 | 흥분을 애착과 습관으로 | 습관 체계를 만들자
02 연애, 그 다양한 형태
보편적인 사랑, 가족애
가족애의 역사 | 가족은 사랑을 교환하는 장소 | 가족은 ‘운명공동체’ | 헤어지는 것도 사랑이다
그 밖의 사랑
사랑을 배우는 직업 | 교육애가 동성애로 | 신에게 드리는 무상의 사랑 | 아미타불과 ‘절대 타력’
‘편애 지도’로 보는 사랑
집착의 대상을 늘리자 | 편애 동료 | 고령화 사회와 편애
03 현대판 남녀의 연애 풍경
안정된 연애는 왜 어려울까
‘나 이제 다른 남자 만날래’ | 사랑의 기본형 배우기 | 마약 같은 고양감
남녀 사이에는 연애 격차가 있다
여자는 연애 이야기를 좋아한다 | 여자는 먹이를 뿌린다 | 꾸미는 남자와 연애의 상관관계 | 여자, 연애의 주도권을 쥐다 | 남자가 역전할 수 있는 기회
인기와 결혼은 별개의 문제
인기 욕망을 지렛대로 삼자 | 남자의 인기는 어디서 오는가 | 착각남녀의 탄생| 진정한 의미의 인기란?
두 손 들고 환영해야 할 ‘성숙녀 붐’
나이로부터 해방되자 | 사회 전체에 활기를!
결혼에서 멀어지는 남자와 여자
매달리지 않는 남녀 | 에도시대의 부부처럼
04 우리도 사랑할 수 있을까
예술작품 속에 꽃 핀 사랑 에너지
동서양의 연애 역사 | 예술 작품의 카타르시스 | 마음의 정화 | 사랑 안의 고독 | 도스토옙스키 세계의 사랑 | 죄와 벌? 죄와 사랑! | 존재를 걸고 사랑하다 | 1『Q84』가 말하는 사랑의 직감 | 아름다움의 에센스 | 극적인 삶의 간접체험
최고의 사랑
40년간의 연애 기록 | 천 편에 이르는 시 | 결혼과 가족은 갠지스 강처럼
우리도 사랑을 할 수 있다
유사연애에 눈 뜬 남자들 | 나머지 커플의 탄생 |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는 마음으로
마무리
리뷰
책속에서
연애는 처음 한 번 분출하면 끝난다. 비유하자면 로켓의 1단, 2단이다. 중력을 이겨내고 정상 궤도로 들어가면 추진력을 잃는다. 그래서 연애 초반 에너지가 강할 때 두 사람 사이에 습관을 만들어놓아야 한다.
사람은 사랑을 하고 있다는 자각이 있을 때 자신의 ‘삶’을 긍정한다. 내가 아닌 다른 존재 없이 삶을 긍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는 모두 타인과의 차이를 인정하고 사랑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는다. 타인과 맨몸으로 얽히는 관계에 놓이면, 누구라도 자신이 모든 상황을 통제하지 못할 것 같은 초조함과 심오함에 사로잡힌다. 이렇게 감정에 불을 붙이고 에너지가 외부로 퍼져나갈 때 자신이 살아 있다는 사실을 온몸으로 느낀다. 사랑하고 있을 때에는 에너지가 외부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그 느낌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황홀하다. 우리는 그 느낌을 통해서 삶에 더욱 충실할 수 있다.
‘사람은 왜 사랑을 하는가?’라는 질문에 이렇게 답할 수 있다. ‘강력한 동기를 가지고 살아가는 일은 혼자서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 이처럼 사랑은 인간의 근원에 가까운 욕구다. 사랑을 받게 되면 인생을 살아갈 힘, 열심히 일할 힘, 공부에 매진할 힘 등 여러 가지 에너지가 솟아난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중학교 입학 시험을 앞두고 있는 초등학생은 공부를 열심히 한다. 부모님과 선생님이 나를 사랑해주기 때문에 그 기대에 부응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