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리학
· ISBN : 9788946050211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08-04-25
책 소개
목차
제1장 인문지리학 개념과 연구주제
제2장 지리학의 발달과 연구 동향
제3장 한국 지리학의 발달사
제4장 인구 성장과 공간 분포
제5장 농업 활동과 공간
제6장 공업 활동과 공간
제7장 신산업과 서비스 공간
제8장 도시 체계와 공간
제9장 도시 내부 공간구성
제10장 지역개발과 국토 발전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리학은 포괄적으로 지표면의 일부로서 지역에서 발생하는 여러 사상들에 관심을 가지고, 이러한 사상들의 공간적 분포와 상호관계를 고찰하며 인간-환경관계로서 인간 삶의 터전인 지역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지리학의 기본사고로서, 지역성, 공간성, 입지성, 그리고 관계성 등이 강조될 수 있다.
지리학의 연구 주제는 연구 대상의 인식 및 연구 방법론의 차이에 따라 크게 3가지 유형, 즉 지표상의 각 지역에 대한 지지적 연구, 지표상에서 인간과 환경 간의 관계를 중시하는 환경생태적 연구, 그리고 지표상에 발생하는 공간적 현상들의 유형과 과정에 관한 공간조직적 연구 등으로 구분된다.
지리학은 전통적으로 지역지리학과 계통지리학으로 크게 양분되며, 계통지리학은 지형, 기후, 토양, 식생 등을 다루는 자연지리학과 경제, 정치, 사회, 문화, 도시, 역사 등을 다루는 인문지리학, 그리고 세부적으로 다양한 연구 분야에 따라 많은 전공분야들로 구분된다.
지리학은 전체적으로 또는 각 전공분야별로 인접한 학문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발달해 왔으며, 앞으로도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발달해 나갈 것이다.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