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16 대한민국 트렌드

2016 대한민국 트렌드

(마크로밀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2016 전망)

최인수, 윤덕환, 채선애, 송으뜸 (지은이)
한국경제신문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0원
16,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6개 27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800원 -10% 640원 10,880원 >

책 이미지

2016 대한민국 트렌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16 대한민국 트렌드 (마크로밀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2016 전망)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47540575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5-11-09

책 소개

온라인리서치 기업 마크로밀엠브레인이 110만 명의 소비자 패널들에게 리서치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면밀한 조사와 연구를 통해 변화의 흐름을 읽어낸 트렌드 전망서다.

목차

서문 집: 불안, 정서적 허기, 저렴한 욕구 해결이 향하는 곳

Part 1. 시간: 당신이 ‘시간이 없다’고 느끼는 이유
1. 일상적 불안감과 소비
2. 나만의 시간
3. 가치를 소비하다
4. 선택이 쉬워지는 맞춤 추천
5. 지갑 대신 스마트폰
6. 치열한 스펙 쌓기
7. 착한 소비로 따뜻하게
8. 쉬고 싶다, 휴가 가자
9. 점점 익숙해지는 해외여행

Part 2. 집: ‘저렴하게’ 모든 경험을 대체할 수 있는 공간
1. 높은 집값, 어찌하나
2. 편하게, 그럴듯하게 공간 꾸미기
3. 내 쉴 곳은 내 집 뿐이네
4. 집에서 TV보며 대리만족

Part 3. 콘텐츠: 광고에 스토리를 밀어 넣는 이유
1. 손 안의 TV
2. 혼자, 심심할 때, 찾아보기
3. 집 TV 시대의 종말
4. 갈수록 힘 빠지는 TV.신문.라디오
5. 달라진 위상, 웹툰의 힘
6. 책값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

Part 4. 정서적 허기: 집 밖에서 집밥을 찾다
1. 고르지 말고 그냥 뷔페
2. 마음으로 먹는 집밥
3. 먹방.쿡방 전성시대
4. 나에게 집밥이란
5. 배달 음식의 민족
6. 도시락? 가성비 괜찮은데?
7. 용량 선택의 폭이 넓어지다
8. 가볍고 즐겁게, 맛있는 맥주 한 잔
9. 달달한 과일 소주의 유혹

Part 5. 욕구: 집에서도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완벽한 방법
1. 날 피곤하게 하는 SNS
2. 응사, 응팔… 그땐 그랬지
3. 새로운 현상, 키덜트족
4. 내 SNS에 비친 내 모습
5. 전에 없던 재미, 먹방과 직캠
6. 조건과 욕망 사이, 오늘의 남녀관계
7. 혼자를 선택한 사람들

Part 6. 불안: 우울한 재테크, 희망은 없다
1. 불태우다 못해 가루가 된 직장인
2. 저녁이 있는 삶을 원하다
3. 스트레스를 도로에서 풀다
4. 일단 돈을 지키는데 집중
5. 세금, 왜 나만 털리는 기분인가

Part 7. 불신: 살벌한 세상에서 살아남기
1. 불신의 바로미터, 블랙박스
2. 저신뢰 사회로 진입하다
3. 청춘은 여전히 아프다
4. 세대 간 비극의 제로섬 게임
5. 상류층의 품격
6. 평범하기가 가장 어렵다
7. 이민을 생각하다
8. 포기할 수 없는 사교육
9. 살벌한 취업 스펙 전쟁
10. 결혼은 미친 짓인가?
11. 카 셰어링, 통할까?


저자소개

최인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마크로밀 엠브레인 대표이사 산업공학 박사. 한국조사협회(KORA) 회장과 서울시정개발 여론조사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2020년 코스닥 시장에 엠브레인 상장을 성공시켰다. 기업의 내실과 외적 성장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일만 남았다. 방배동으로 사옥 이사 후, 사람들을 회사 1층 카페로 초대해 밥 사고 술 사는 걸 좋아한다.
펼치기
윤덕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심리학자 대중의 욕망과 태도를 읽어내는 결핍 추적자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심리학과에서 문화심리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포털사이트에 연재한 영화 칼럼이 인연이 되어 극장판 애니메이션 PD를 거쳐, 리서치 회사 마크로밀 엠브레인에서 20년 넘게 일했다. 국립 인천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현, 소비자학과)에서 7년 동안 겸임교수로 강의했고, 한국심리학회 사회문제심리학회 학외이사, 소비자광고심리학회 대외협력이사, 한국지능정보화진흥원 자문위원,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심사위원을 지냈다. 《2011 대한민국 소비지도-소비자는 무엇을 원하는가》, 《2016~2019 대한민국 트렌드》, 《2020~2025 트렌드 모니터》, 《불안 권하는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읽는다》 등 17권의 트렌드서를 공저했으며, 《브랜드는 어떻게 아이콘이 되는가》를 번역했다. SERICEO, 삼성인력개발원, 삼성전자, SK텔레콤, KT, 포스코, 현대자동차, 국민은행, NH농협, 서울시청, 문화체육관광부, 유한양행, 풀무원, AIA, 네슬레, 한국능률협회, 한국표준협회, 한국생산성본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촌진흥청, 국립중앙도서관, 양천구청, 동대문구청, 중랑구청, NPO 시민단체 등 500여 곳에서 강의했다. 또한, MBC 라디오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KBS라디오 〈경제쇼〉, 〈성공예감〉, 〈새날마중〉, SBS라디오, YTN 〈생생경제〉 등 다수 방송에 출연했다. 〈엠브레인 트렌드줍줍〉(현, 엠브레인TV)의 이름으로 유튜브를 진행한 경험이 있고, 다양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했다. 지금 시대와는 완전 ‘반-트렌드’적인 습관이 있는데, 책 읽는 것을 너무나 좋아한다. 1년에 책을 300권 정도 사고, 200권 정도 읽는다(완독 기준). 예전에는 책을 많이 읽고 열심히 돈을 벌자는 목표로 살았으나, 이제는 책값이 감당이 안 되는 수준이라 책값을 버는 목표로 책을 써야 한다는 생각을 하며 산다. 트렌드도 늘 책으로 파고들며 공부하는 스타일이라 가족들은 ‘생활 바보’라고 놀린다. 그런데 또 이걸 관심 보여줘서 좋다고 생각한다. 진짜 생활 바보다.
펼치기
채선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마크로밀 엠브레인 컨텐츠사업부 부서장 현재 컨텐츠사업부 총괄 부서장. 문화심리학 석사. YTN을 거쳐 현재 마크로밀 엠브레인에서 ‘뼈묻’ 중. 직급 가리지 않고, 톤 앤 매너 일정한 올곧은(?) 직장인. 라디오를 진행한 적 있고, 강의도 하고, 여기저기 글도 기고한다. 1년에 몇 번 궁서체를 쓸 때가 있는데, 이때만 잘 피하면 사이좋게 지낼 수 있는 왠지 무서운 쎈 언니.
펼치기
송으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에서 방송영상학을 공부했다. 영화와 드라마를 보며 꿈을 키웠으며, 지금은 행복한 ‘보통의 삶’을 위해 티 나지 않게(레알?) 열심히 살고 있다. 아직 한창 젊은(?) 나이라고 스스로를 다독이는 중. 하루빨리 코로나가 종식되어 멀리 길게 여행을 갈 수 있기만을 고대한다. 동아일보와 슬로우뉴스에 칼럼을 썼고, 꾸준히 뭔가를 하려고 노력한다. 분명히 논쟁에서는 설득한 것 같은데, 돌아서면 찜찜하게 ‘진 것’ 같은 느낌을 갖게 하는 마성의 논리 보유자.
펼치기

책속에서



최근 자신이 가치 있게 생각하는 제품은 다소 비싸도 과감하게 투자하는 경향이 주목받고 있다. 바로 소비의 주요한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가치 소비’다. 한정된 돈을 최대한 자신을 위해 투자하려는 심리를 읽을 수 있다. 또한 바쁜 일상에서 지쳐 있는 자신에 대한 보상 행위이기도 하며 자신의 욕망과 기호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다. ‘가치’가 굉장히 주관적인 것이므로 우리 사회가 다양한 개인의 욕망이 표출되려는 지점에 도달했다고도 본다. 이러한 가치 소비는‘나만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려는 노력과도 연관 지어 살펴볼 수 있다. 좀처럼 여유 없는 생활 속에서도 어떻게든 여가 활동과 취미 생활을 통해 삶의 가치를 찾으려는 욕구가 커진 것이다. _36쪽 . <가치를 소비하다> 중에서


최근 집에서 시간을 많이 보내려는 사람이 늘어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다. 그냥 편안히 쉬고 싶다는 욕망과 함께 집에서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것이 많다는 생각도 커지고 있다. 실제 집에서 조립이나 악기 연주 등 다양한 취미 생활을 즐기고 커피, 술, 요리 등을 좀더 갖춰서 먹으려는 사람이 많아졌다. 과거에는 집이 그저 부의 척도이자 기능적인 공간으로만 여겨졌다면 이제는 좀 더 정서적인 공간이자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공간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_92쪽 . <내 쉴 곳은 내 집 뿐이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47592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