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존재와 무

존재와 무

장 폴 사르트르 (지은이), 정소성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2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존재와 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존재와 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장 폴 사르트르
· ISBN : 9788949705255
· 쪽수 : 1113쪽
· 출판일 : 2009-05-20

책 소개

우리들은 어떤 존재의 본연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일까? 이 문제에 몰두하는 사르트르는 하이데거의 물음을 계승하면서도, 하이데거를 극복하려고 진력했다. 박학하고 다재다능했던 사르트르는 존재론과 우리들의 현실, 즉 자기기만, 수치, 욕망, 무관심, 유혹, 연애 등의 문제를 돌파하고, 우리들에게 존재에 대한 물음을 던지고 있다.

목차

머리글 존재의 탐구 … 11
1. 현상이라는 관념 … 11
2. 존재현상과 현상의 존재 … 16
3. 반성 이전 코기토와 지각의 존재 … 18
4. 지각되는 것(percipi)의 존재 … 28
5. 존재론적 증명 … 33
6. 즉자존재(卽自存在) … 37

제1부 무의 문제
제1장 부정의 기원 … 47
1. 질문 … 47
2. 부정(否定) … 52
3. 무(無)에 대한 변증법적 사고방식 … 61
4. 무(無)에 대한 현상학적인 사고방식 … 67
5. 무(無)의 기원 … 76
제2장 자기기만 … 111
1. 자기기만과 허위 … 111
2. 자기기만 행위 … 123
3. 자기기만 ‘신앙’ … 143

제2부 대자존재
제1장 대자의 직접적 구조 … 153
1. 자기에의 현전(現前) … 153
2. 대자(對自)의 사실성 … 162
3. 대자(對自)와 가치 존재 … 170
4. 대자(對自)와 여러 가능 존재 … 187
5. 자아와 자기성(自己性)의 회로 … 198
제2장 시간성 … 202
1. 시간적인 삼차원의 현상학 … 202
2. 시간성 존재론 … 239
3. 근원적 시간성과 심적 시간성-반성 … 269
제3장 초월 … 302
1. 대자와 즉자 사이 전형적인 관계로서 인식 … 304
2. 부정으로서의 규정에 대하여 … 315
3. 질과 양, 잠재성, 도구성 … 325
4. 세계의 시간 … 352
5. 인식 … 370

제3부 대타존재
제1장 타자의 존재 … 377
1. 문제 … 377
2. 유아론(唯我論)의 암초 … 379
3. 후설, 헤겔, 하이데거 … 394
4. 시선 … 424
제2장 몸 … 501
1. 대자존재로서의 몸-사실성 … 505
2. 대타-몸 … 556
3. 몸의 제3의 존재론적 차원 … 575
제3장 타자와의 구체적인 관계 … 588
1. 타자에 대한 첫 번째 태도-사랑.언어.마조히즘 … 592
2. 타자에 대한 두 번째 태도-무관심, 욕망, 증오, 사디즘 … 617
3. ‘함께 있는 존재’(공동존재)와 ‘우리’ … 668

제4부 ‘가짐’, ‘함’, ‘있음’
머리글 … 699
제1장 ‘있음’과 ‘함’-자유 … 701
1. 행동의 첫 번째 조건은 자유 … 701
2. 자유와 사실성-상황 … 774
3. 자유와 책임 … 882
제2장 함과 가짐 … 889
1. 실존적 정신분석 … 889
2. 함과 가짐-소유 … 915
3. 존재를 드러내 보이는 것으로서의 성질에 대하여 … 953

결론
결론 … 981
1. 즉자와 대자-형이상학적 개관 … 981
2. 도덕적 전망 … 993

사르트르 생애와 사상
사르트르 생애 … 999
사르트르 사상 … 1008
사르트르 연보 … 1108

저자소개

장 폴 사르트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05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두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외조부모와 편모 슬하에서 성장했다. 프랑스 고등사범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했으며 1929년에는 교수자격시험에 수석으로 합격했다. 1939년 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참전해 포로가 되었다가 1941년 수용소에서 석방되었다. 1945년 《현대》를 창간해 참여문학을 주창하고 실존주의를 대표하는 지식인으로 명성을 날렸다. 후설 현상학의 영향 아래 쓴 『자아의 초월성』(1936)을 시작으로 『존재와 무』(1943), 『변증법적 이성 비판』(1960) 등을 저술한 철학자이자 소설 『구토』(1938), 『자유의 길』(1945~1949)의 저자이며, 『문학이란 무엇인가』(1947), 『집안의 천치』(1970) 등으로 문학비평에서도 한 획을 그은 20세기를 대표하는 사상가이다. 다양한 정치평론은 물론 열 편의 희곡도 남겼으며 자서전 『말』을 집필했다. 1964년에 노벨 문학상 수상을 거절했다. 1980년 사망하여 몽파르나스 묘지에 안장되었다.
펼치기
정소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4 2월 11일,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 하눌리에서 아버지 정연철鄭然喆과 어머니 장우련張又蓮의 8남매 중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957 대구 삼덕국민학교를 졸업했으나, 영천군 자천국민학교, 금호국민학교, 신영국민학교, 영천국민학교, 금천국민학교 등을 두루 전학 다닌 후였다. 아버지가 경찰공무원이라 자주 전근을 다니셨기 때문이다. 아버지가 지서장이 된 것은 내가 국민학교에 입학하기 전 6?25가 발발하기 전인데, 영주군 부석지서에서였다. 출몰하는 공비들의 기습에 대항하기 위해 지서는 하늘을 찌르는 높이의 토담으로 둘러싸여져 있었다. 부석의 추억은 부석사와 함께 나에게 영원한 신비로움으로 남아 있다. 1963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학교 건물이 옛 대구사범이라 붉은 벽돌 건물이 담쟁이덩굴로 덮여 있어 고색창연한 운치가 있었다. 고교를 졸업했으나 진학을 포기하고 고향 봉화로 내려갔다. 사춘기의 ‘허무’병에 빠진데다가, 아버지가 중풍으로 쓰러져 자리에 눕게 되었기 때문이다. 외대 불어과에 입학하여 잠시 다녔으나, 학교 분위기 등이 맞지 않는데다 등록금이 없어 낙향하였다. 중?고교 시절 전혀 문학도가 아니었던 나는 낙향하여 소설책을 읽기 시작했다. 카뮈와 동인의 소설에서 어떤 충격을 느끼고 막연하나마 작가로서의 꿈을 꾸기 시작했다. 1964 서울대 문리대 불문과 입학. 불문과 입학생 20명 중 남학생은 7명이었고, 시골 출신은 나밖에 없었다. 고교 때 불어를 배우지 않고 독학으로 불문과에 들어온 나는 불어 실력에서 고전하였다. 1969 서울대 졸업. 학교를 완전히 고학으로 다녔다. 가정교사로 떠돌며 촌놈이 서울을 배워 갔으나, 견디질 못하고 두 학기나 휴학하였다. 휴학기간 중 봉화로 돌아가, 세계명작들과 한국문학전집을 독파하였다. 1966년도 서울대학교 대학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불빛」을 투고하여 당선작 없는 가작 입선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시력이 나빠 세 번이나 무종을 받은 끝에 병종을 받아 병역 면제가 되었으나, 취직할 데가 없어서 대구로 내려가 허송세월했다. 그러던 중 과 동기동창 이동렬(서울대), 홍재성(연세대)의 전보를 받고 상경, 유네스코에 취직했다. 1971 유네스코에서 물러나 서울 통상주식회사에 입사했으나 결국 견디지 못하고 자퇴했다. 자신이 매일 출근하여 도장 찍는 직장생활을 할 수 없는 성격의 소유자임을 깨닫게 되었다. 동숭동 하숙방에 들어앉아 생각을 거듭했으나 묘안이 떠오르지 않아 거리를 방황하였다. 1972 서울대학교 대학원 불문과에 입학. 대학 졸업 후 3년간 사회 실습을 하고 다시 학문의 세계로 돌아왔다. 서울 중앙고등학교에 불어 강사 자리를 얻게 되었다. 시간수가 모자란데다 교사 자격증이 없어서 강사의 신분이었다. 1974 대학원 졸업. 석사학위 논문은 「생텍쥐페리에 있어서 생명과 생성」. 1975 석사학위를 받았으나 별수가 없어서 1년을 놀았다. 지도교수인 고故 이휘영李彙榮 교수의 소개로 전북대학교 교양과정부에 주당 9시간을 얻어 대학 강단에 처음 섰다. 1976 전남대학교 사범대학에 전임강사 발령을 받게 되었고, 이해 말에 직장 동료인 김갑영金甲英과 맞선을 봐서 결혼했다. 1977 단편 「질주疾走」 발표. 대학 동기동창이나 나이가 10살이나 많아 동기들이 어려워했던 윤재근尹在根을 혜화동로터리에서 우연히 만났다. 그는 자신이 안수길 선생을 잘 안다고 해서 나를 안 선생 댁으로 데리고 갔다. 내가 소설가가 된 직접적인 동기가 되었다. 단편 「잃어버린 황혼」 「파도」 발표. 안수길 선생이 갑자기 타계하여, 박연희 선생이 추천 완료. 서울대에 신제 박사제도가 처음 생겨 입학하였다. 광주에서 일주일에 한 번씩 올라와 강의를 받았다. 1978 단편 「추락인墜落人」 발표. 쌍둥이 아들 태린泰隣, 재린在隣 출생. 1979 단편 「회색灰色더미」 「부재자不在者」 「흩어진 공간」 발표. 단국대학교 인문대학 불문과로 직장을 옮겼다. 이후 전남대 교수인 아내와 주말부부로 살며 쌍둥이 아들들과도 주말에만 만나는 생활이 시작되었다. 조교수로 승진. 한남동에 방을 얻어 하숙을 했다. 1980 단편 「환상여행」 「검은 줄무늬」 발표. 박사과정 수료. 성북구에 15평짜리 아파트를 샀는데, 서울로 유학 온 지 17년 만의 일이었다. 아내, 공주사대로 직장 옮기다. 1981 단편 「포구의 숲」(발표 당시 제목은 「죽음의 숲」) 발표. 장편 『천년을 내리는 눈』을 『현대문학』에 연재. 『현대문학』 편집장이던 김국태는 나의 투고 장편을 ‘거절하기 위해’ 읽기 시작했다고 후에 술회했다. 프랑스 외무성 초청으로 프랑스에 건너가, 그르노블 문과대학 박사 과정에 등록. 1982 아버지 타계(63세). 프랑스 그르노블3대학에서 「생텍쥐페리의 자연관 연구(L’idee de la nature dans chez antoine de Saint-Exupery)」로 박사학위 취득. 1983 단편 「출근」 「망각의 나라」 「왕릉王陵」, 중편 「슬픈 귀국」 「쌀 안치는 소리」 「밤바다」 발표. 장편소설집 『천년을 내리는 눈』 출간. 문인협회 가입. 김동리 선생을 처음 뵘. 부교수로 승진. 1984 단편 「호수가 있는 마을」 「팔씨름」 「점點」 「백제로 가는 길」 「회색 지도」, 중편 「돌아오지 않는 섬」 발표. 쌍둥이 아들 공주교대 부속초등학교 입학. 소설 동인 『작가』, 펜클럽 가입. 1985 중편 「아테네 가는 배」 「뜨거운 강」, 단편 「묘족苗族을 찾아서」 「부여에 가서 죽다」 「동숭동 시절」 발표. 제1회 ‘윤동주문학상’ 수상(수상작 「뜨거운 강」). 제17회 ‘동인문학상’ 수상(수상작 「아테네 가는 배」). 단국대학교 대학원 교수로 부임. 1986 중편 「혼혈의 땅」, 단편 「나루터 사람들」 「흐르는 성城」 발표. 작품집 『아테네 가는 배』 출간. 단국대 대학원 부교수 부임. 1987 중편 「암야暗夜의 집」 「겨울 강」, 단편 「떠도는 혼」 발표. 1988 제1회 만우 박영준문학상 수상(수상작 중편 「말」). 중단편소설집 『뜨거운 강』(도서출판 동아), 『타인의 시선』(청림출판사) 출간. 1989 장편소설 『악령의 집』(고려원) 출간. (처음 발표 때는 『죽음의 집』이었다. -편집자 주) 1990 중단편소설집 『혼혈의 땅』(친우출판사) 출간, 장편소설 『여자의 城』(세계일보사), 『안개 내리는 江(상하)』(열린책들) 출간. 1991 중단편소설집 『벼랑에 매달린 사내』(동아출판사) 출간, 장편소설 『가르마 탄 여인(상하)』(조선일보사) 출간. 1992 장편소설 『제비꽃』(자유문학사) 출간. 1993 장편소설 『최후의 연인』, 『사랑의 원죄(상하)』(중앙일보사) 출간. 1994 제29회 월탄문학상 수상(수상작 대하소설 『대동여지도(전 4권)』(자유문학사)). 1996 장편소설 『여자의 城』(도서출판 벽서정), 『운명』(도서출판 벽서정) 개정판 출간. 1997 장편소설 『태양인(상하)』(열림원) 출간. 1999 『두 아내(상하)』(찬섬출판사) 출간. 2004 장편소설 『두 아내』 프랑스에서 『Les deux epouses』(프랑스 La maison neuve et la rose사) 불어판으로 출간. 한국문학번역원 지원. 2005 장편소설 『바람의 여인』(실천문학사) 출간. 2006 창작동화 『구파발 할아버지』(자유지성사) 출간. 2009 단국대학교 정년퇴임(명예교수). 2012 제8회 류주현문학상 수상(수상작 장편소설 『설향』(시와 에세이사)). 영어판 『The Fate』(『운명』), 「The ship bound for Athens」(「아테네 가는 배」), The island of no return(「돌아오지 않는 섬」)(Sohaksa) 출간. 아내 김갑영 공주대 정년퇴임(명예교수). 2015 장남 태린과 현정 결혼, 태린 연세대학교 스포츠마케팅 박사학위 취득 2016 차남 재린, 미국 오하이오 주립 켄트대학 지리학 박사학위 취득. 2018 장편소설 『건널 수 없는 강』(실천문학사) 출간. 장남 태린과 현정의 첫아이 손녀 여진 태어남. 차남 재린과 모핀 메리 결혼. 2019 정소성 문학전집 33권 출간 진행(문예바다) 2020 10월 24일 신촌
펼치기

책속에서

인간이 자기의 자유를 의식하는 것은 불안에 있어서이다. 또 말하자면, 불안은 존재의식으로서의 자유의 존재방식이다. 불안 속에서야말로 자유는 그 존재 속에 그 자신을 위한 문제가 된다.


두려움은 세계의 존재들에 관한 두려움이고, 불안은 자기 앞에서의 불안이다. 현기증이 불안인 것은, 내가 절벽에서 떨어지지 않을까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스스로 절벽에서 몸을 던지지 않을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어떤 상황은 그것이 밖에서 나의 생명과 나의 존재를 변경할 우려가 있는 한, 두려움을 일으키지만, 내가 이 상황에 대한 나 자신의 반응에 대해 의구심을 품는 한, 이 상황은 불안을 불러일으킨다. 공격에 앞선 준비 사격은 포격을 받는 병사에게 두려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그 사람 속에 불안이 시작되는 것은 그가 포격에 대항하여 취해야 하는 행동을 예상하려고 할 때이며, 그가 이 포격에 ‘버티어 낼’ 수 있을 것인지 자문해 볼 때이다. 마찬가지로 전쟁이 일어났을 때 자기 부대를 찾아가는 징집된 군인은 어떤 경우에는 죽음의 두려움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보통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끼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느낀다. 다시 말하면 그는 자기 자신 앞에서 불안을 느끼는 것이다.


나는 조약돌 위에서 미끄러져 절벽 아래의 심연 속에 떨어질지도 모른다. 오솔길의 무른 흙이 발밑에서 무너질지도 모른다. 이렇게 다양한 예상을 하고 있을 때, 나는 나 자신에게 하나의 사물로서 주어진다. 나는 그런 가능성에 대해 수동적이다. 나 또한 만유인력에 끌리고 있는 이 세계의 하나의 사물인 한, 그 가능성들은 밖에서 나에게 온다. 이것은 ‘나의’ 가능성은 아니다. 이 순간에 ‘두려움’이 나타난다. 두려움은 상황에서 출발하여 나 자신에 관해 파악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