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홉스/로크
· ISBN : 9788949718026
· 쪽수 : 705쪽
· 출판일 : 2021-02-20
책 소개
목차
나의 가장 존경하는 벗
고돌핀 가문 프랜시스 고돌핀 님에게…13
머리말…16
1부 인간에 대하여
1 감각…21
2 상상…24
3 심상의 연속 또는 계열…32
4 언어…39
5 추론과 학문…50
6 정념의 내적 발단과 그것이 표현되는 언어…58
7 담론의 결론…71
8 덕과 그 결함…75
9 지식의 주제…89
10 힘・가치・위계・명예・적임성…91
11 생활태도…102
12 종교…111
13 인간의 자연상태…127
14 제1 자연법, 제2 자연법과 그 계약…133
15 그 밖의 자연법…147
16 인격, 본인, 인격화된 것…163
2부 코먼웰스에 대하여
17 코먼웰스의 목적, 생성, 정의…171
18 주권자의 권리…177
19 코먼웰스의 종류와 주권의 승계…188
20 부권적 지배와 전제적 지배…200
21 국민의 자유…211
22 국민의 정치적 단체 사적 단체…224
23 주권의 공적 대행자…239
24 코먼웰스의 영양과 생식…245
25 조언…252
26 시민법…260
27 범죄, 면죄 및 죄의 경감…283
28 형벌과 보상…299
29 코먼웰스의 약화와 해체를 촉진하는 요인들…308
30 주권을 지닌 대표자의 직무…321
31 자연에 의한 하느님의 나라…340
3부 그리스도교 코먼웰스에 대하여
32 그리스도교의 정치원리…355
33 《성경》의 편수, 저작시기, 의도, 권위 및 해석자들…362
34 《성경》에서 성령, 천사 및 성령감응의 의의…376
35 《성경》에서 하느님의 나라, 거룩함, 봉헌 및 성례의 의미…391
36 하느님의 말씀과 예언자…401
37 기적 그 효용…419
38 《성경》에서 말하는 영원한 생명 지옥, 구원, 내세, 속죄의 의미…428
39 《성경》에 나오는 교회라는 말의 의미…446
40 아브라함, 모세, 대제사장들, 그리고…449
유대 왕들과 하느님 나라에서의 권리…449
41 축복받은 구세주의 직무…462
42 교권…471
43 인간이 하늘나라에 들어가는 데 필요한 것…550
4부 어둠의 나라에 대하여
44 《성경》의 그릇된 해석에서 오는 영적 어둠…569
45 귀신론 및 그 밖의 이방종교의 유물…599
46 공허한 철학과 허구의 전설에서 나타나는 어둠…623
47 그러한 어둠에서 생기는 이익과 그 수익자들…645
총괄과 결론 … 656
토머스 홉스의 생애와 사상
토머스 홉스의 생애와 사상…669
토머스 홉스 연보…699
책속에서
그러나 그 가운데 가장 고귀하고 유익한 것은 ‘이름’ 또는 ‘명칭’, 그것의 결합인 언어(speech)의 발명이었다. 이 언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생각을 기록하고, 지나간 사고를 회상하며, 서로의 이익과 교제를 위해 자신의 의사를 나타낼 수 있다. 만일 언어가 없었다면 사람들 사이에는 사자나 곰, 이리의 세계와 마찬가지로 코먼웰스도 사회도 계약도 평화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힘이 있다는 평판은 힘이다. 보호를 요구하는 사람들을 끌어들이기 때문이다. 또한 조국을 사랑하고 있다는 평판(인기라고 한다)은, 같은 이유에서 힘이다. 마찬가지로 성질이 어떠하든 많은 사람들이 자기를 사랑하게 하거나 두려워하게 만드는 것 또는 그런 성질을 지녔다는 평판도 힘이다. 많은 사람들의 지원과 봉사를 얻을 수 있는 도구이기 때문이다. 성공은 힘이다. 지혜나 행운을 지닌 사람이라는 평판을 얻고, 사람들에게 두려워하거나 의지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미 힘을 지닌 자의 상냥함은 그의 힘을 증가시킨다. 왜냐하면 사랑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행복은 욕망이 하나의 대상에서 다른 대상으로 끊임없이 나아가는 것이며, 전자의 획득은 후자로 가는 경로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인간의 욕망은 그 목적이 단 한 번의 또는 순간의 향락에 있지 않고 장래의 욕망으로 가는 길을 영원히 확보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인간의 자발적 행위 및 자연적 경향은 만족스러운 생활을 단순히 획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을 확보하는 것에 있다. 다만 그 목적을 이룩하는 방법이 다를 뿐이다. 방법의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부분적으로는 사람들마다 정념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고, 기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원인에 대한 사람들의 지식이나 의견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