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기호학
· ISBN : 9788950921200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0-03-15
책 소개
목차
서문 Prelims
우주 The Cosmos
들어가는 말 Introduction
태양 The Sun
달 The Moon
밤하늘 The night sky
지구 The Earth
산 Mountains
불 Fire
물 Water
날씨 The weather
비와 눈 Rain & snow
홍수 Floods
계절 The seasons
보석 Precious stones
황금 Gold
귀금속 Precious matter
자연 세계 Natural World
들어가는 말 Introduction
포유류 Mammals
고양잇과 동물 Cats
조류 Birds
독수리 Eagles
파충류와 양서류 Reptiles & amphibians
뱀 Snakes
바다 생물 Aquatic creatures
곤충류 Creepy crawlies
상상의 동물 Fabulous beasts
용 Dragons
식물 Plants
꽃 Flowers
연꽃 The lotus
허브와 향신료 Herbs & spices
숲 The forest
나무 Trees
신성한 나무 Sacred trees
과일 Fruits of the earth
음식 Foods of the earth
인간의 삶 Human Life
들어가는 말 Introduction
머리 The head
머리 전리품 Head trophies
인체 Human body
손과 발 Hands & feet
풍요와 출산 Fertility & childbirth
성인 입문의식 Initiation rites
사랑과 결혼 Love & marriage
죽음과 애도 Death & mourning
바니타스 Vanitas
신화와 종교 Myths & Religions
들어가는 말 Introduction
이집트의 신 Egyptian deities
그리스 로마의 신 Greek & Roman deities
켈트와 북유럽의 신 Celtic & Nordic deities
중미와 남미의 신Meso-& South American deities
조상 Ancestors
자연 정령 Nature spirits
부족 토템, 영웅 그리고 트릭스터Tribal totems, heroes & tricksters
애보리진의 꿈 The Dreaming
샤머니즘 Shamanism
창조 신화 Creation stories
힌두교 Hinduism
불교 Buddhism
도교와 신도 Taoism & Shinto
유대교 Judaism
카발라 Kabbalah
기독교 Christianity
이슬람교 Islam
시크교 Sikhism
부두교 Voodoo
천사 Angels
사탄과 악마 Satan & demons
마녀와 마법 Witches & wicca
부적 Amulets
점술 Divination
서양 점성술 Western astrology
중국 점성술 Chinese horoscope
수비학 Numerology
성배 The Holy Grail
연금술 Alchemy
사회와 문화 Society & Culture
들어가는 말 Introduction
왕권 Royalty
왕의 장신구 Trappings of royalty
대관식 Coronations
국적 Nationality
도구와 무기 Tools & weapons
건축 Architecture
종교 건축 Religious architecture
성지 Sacred places
건물 Buildings
천국으로 가는 계단 Steps to Heaven
집 The home
배 Ships & boats
정원 Gardens
의복과 전통 의상 Clothing & costume
모자와 머리 장식물 Headwear
제복 Uniforms
장신구 Jewellery
신체 장식 Body adornment
소속 단체 Group affiliation
프리메이슨 Freemasonry
미술 Art
춤과 연극 Dance & theatre
가면 Masks
동화 Fairy tales
악기 Musical instruments
상징체계 Symbol Systems
들어가는 말 Introduction
색깔 Colours
형태 Shapes
패턴 Patterns
숫자 Numbers
상형문자 Picture writing
알파벳 Alphabets
국제기호 International signs
직업 상징 Professional signs
브랜드와 로고 Brands & logos
문장 Heraldic emblems
국기 Flags
수화와 신호 Sign languages & signals
제스처 언어 Symbolic gestures
용어 해설 Glossary
더 읽을거리 Further reading
찾아보기 Index
감사의 말 Acknowledgments
리뷰
책속에서
우주 The Cosmos
태양과 달, 별과 행성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계절의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인류는 점차 우주의 자연 리듬에 대한 견해를 발전시켜왔다. 지난 수천 년 동안 이런 관찰 내용을 설명하고, 인류 스스로 그 자연 질서에 순응시키는 일종의 우주론을 구성해왔다. 또한 우리가 숭배하는 여러 신들에게 자연의 힘을 통제하는 권한을 부여했다. 이로써 다음과 같은 보편적인 믿음이 생겼다. 그것은 바로 신들이 마구 풀어 놓는 공포에서 살아남으려면, 인간과 신이 서로 협력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인간은 황폐한 가뭄과 지진, 또는 홍수와 같은 자연 재앙을 신들이 내리는 징벌이라 여기고 곡식이 잘 크도록 단비를 내려달라거나 뱃사람들이 안전하게 조업을 마치도록 순한 바람을 비는 등 우주의 조화를 기원하기 위해 희생물과 제물을 바쳤다. 그 결과, 우주적 상징성은 종교와 깊은 연관을 맺게 된다. 가령, 태양은 신의 권능을 가리키는 보편적인 우주의 상징이다. 불교도들에게 불은 절대 무지를 태워 없애는 지혜로 인식되며, 기독교도들과 힌두교도들에게 물은 정화를 상징한다. 그리고 거대 종교는 한결같이 천국을 신의 성소라고 여긴다. 실제로 하늘과 그 안의 달과 별, 천둥과 번개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은 상징적으로 신의 세상과 관련이 있다. 높은 산들도 천국 가까이 있기 때문에 역시 신성한 지위를 갖는다. 이들 천체와 산에는 각각 그들만의 신과 여신, 초자연적 대리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각 문화에 따라 다양하다.
자연 세계 Natural World
태초에 인류가 동굴에서 살았을 때부터, 공중으로 날아오르는 독수리와 어두침침한 늪에 이르기까지 자연 세계는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해왔다. 즉자적으로든, 상징적으로든 식물과 동물은 근본적으로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에 영향을 끼쳤다. 인류는 지속적인 생존을 위해서 동식물에 의존했고, 또한 식량뿐 아니라 의복, 노동, 보호, 심지어 도구가 필요했기 때문에 항상 동물과 공존해왔다. 결과적으로 동식물의 모든 양상, 예를 들어 뱀이 허물을 벗는 것(부활)과 새들의 수변 서식지(생명과 풍요)까지 어느 것 하나 상징적 의미가 아닌 게 없다.
동물들, 심지어 일부 식물들도 조상격의 존재로서 창조 이야기에 주인공으로 등장하거나 신들과 관련을 맺는다. 한편 지상의 지배자인 인간들은 자신들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해 사자와 같은 위엄 있고 당당한 동물을 이용했다. 고대인들의 공통된 믿음에 의하면 자연에 잘 조화된 동물들의 신체적, 감각적 능력은 초자연적 힘과 관련이 있었고, 인간은 주술 의식을 통해 이 힘을 전해 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새들이 하늘의 전령이나 영혼이라는 믿음처럼 일부 강력한 신앙은 이후 주요 종교 안에 편입되기도 했다.
인간의 삶 Human Life
(…) 고대 사회에서 인간의 몸은 흔히 소우주로 간주되었다. 그래서 중국인들은 건강한 몸은 음양의 완벽한 균형과 조화라고 믿었고, 많은 종교에서도 건강한 몸을 신의 권능과 연결시킨다. 따라서 신은 인간의 형태로 등장했다. 인간 몸의 각 부분은 각각의 상징성이 있으며 이는 그 부위의 기능이나 외양에서 유래한다. 가령, 머리는 생명력, 이성의 중심, 영성 등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권위나 권력을 가진 사람들을 가리켜 ‘우두머리heads’라 부르고, 왕의 머리에 관을 씌우는 사실 등에서 머리의 중요성이 드러난다. 눈은 세상을 바라보는 ‘영혼의 창’이며, 코는 대개 남근을 상징하며, 머리카락은 강인함의 표시이다. 상징적으로 남성은 불, 남근과 동일시되고, 여성은 물과 수용적인 성격으로 풀이된다. 이 둘이 함께 모이면 전체를 형성하며, 따라서 태양과 바다처럼 창조성을 상징한다.
고대 사회는 인간 삶의 주기, 특히 여성의 주기가 계절의 변화 리듬에 대응한다는 사실을 알아챘다. 여러 신과 그 상징성은 땅의 비옥함, 성장, 죽음, 부활이라는 계절적 패턴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가령, 황금빛 밀은 풍요와 풍부함을 상징한다. 많은 문화는 풍요에 있어서 남성적 원칙을 강조하여 남성적 풍요의 전능한 상징으로 남근을 숭배하게 되었는데, 이것은 건축물의 기둥, 오벨리스크, 메이폴 등에 재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