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2014098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24-01-03
목차
저자 머리말
제1장 일본제국의 매춘 연계계약: 상업적 매춘 시장에서의 신뢰할 만한 약속
1. 개요
2. 학자들과 매춘부들
3. 매춘 관련 법규
4. 연계계약
5. 공창제의 종결
6. 결론
제2장 위안부들, 그리고 학자들
I. 여성 본인들
II. 전쟁 이전 일본과 조선의 매춘
III. 주장의 기원과 정치
IV. 정대협 문제
V. 결론
제3장 태평양전쟁에서의 매춘 계약
1. 개요
2. 전쟁 이전 일본과 조선의 매춘
3. 위안소
4. 결론
제4장 태평양전쟁에서의 매춘 계약: 비판에 대한 반론
전시 매춘 연구에 관하여: 앤드루 고든과 카터 에커트 및 석지영에 대한 반론
A. 단서
B. 경제학적 오해
C. 예비적인 예시
D. 앤드루 고든과 카터 에커트
E. 석지영
F. 의심스러운 “합의”
<제4장 부록 I>
에이미 스탠리, 한나 셰퍼드, 사야카 차타니, 데이비드 앰버러스 및 첼시 센디 샤이더, ‘“태평양전쟁에서의 매춘 계약”: 학술적 부정행위를 근거로 한 철회의 사례’에 대한 반론
A. 서언
B. 논박
C. 세부 사항
<제4장 부록 Ⅱ>
요시미 요시아키의 ‘태평양전쟁에서의 매춘 계약’ 논평(Yoshimi 2021a)에 대한 반론
A. 서론
B. 요시미 요시아키에 대한 반론
<제4장 부록 III>
위안부 계약에 관한 정보
제5장 위안부 문제: 북한과의 커넥션(존 마크 램자이어 ‧ 아리마 테츠오 공저)
I. 일본과 조선에서의 매춘 관련 규정
II. 위안소
III. 성노예설의 기원
IV.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의기억연대)
V. 학문
VI. 북한과의 커넥션
<제5장 부록> 위안부 계약에 관한 정보
부록A 램자이어-아리마-모건 3자 대담
부록B 한국 지식인들의 램자이어 교수 옹호 성명
부록C 램자이어 교수의 한국인에 대한 감사 인사
참고문헌
도표색인
인명/용어색인
언론/저작색인
리뷰
책속에서
매춘업소들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에 비해서 매춘부들을 덜 착취했다는 데 대해 놀랄 필요는 없다. 결국, 매춘업소들은 경쟁 시장에 있는 지속적인 플레이어였다. 매춘부들을 비교적 공정하게 대한다는 평판을 쌓은 매춘업소들은 매춘부를 더 적은 비용으로 채용할 수 있었을 것이다. 심지어 일부 매춘업소는 신규 매춘부를 안심시키기 위해 지역 경찰서에서 승인한 표준 계약의 양식을 사용하기도 했다.
_<제1장 일본제국의 매춘 연계계약: 상업적 매춘 시장에서의 신뢰할 만한 약속> 중에서
미국 위스콘신 주의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는 일본군이 “인간사냥식으로” “14세에서 20세 사이의 여성 20만 명”을 끌고 갔다고 서술하고 있다(관련해서 중국 쪽 소식통은 이를 40만 명으로 부풀리고 있다. 당시 조선의 인구 규모를 감안하면, 상당히 많은 수의 10대 소녀들이다. 자료에 따르면, 1935년 당시 조선에 살고 있던 15세에서 19세 사이의 소녀는 1,048,514명이었다. 그렇다면 지금 미국 학자들은 일본군이 조선의 소녀 5명 중 1명을 매춘부로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셈이다.
_<제2장 위안부들, 그리고 학자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