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종황제 역사 청문회

고종황제 역사 청문회

이태진, 김재호 (지은이), 교수신문
푸른역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종황제 역사 청문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종황제 역사 청문회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91510036
· 쪽수 : 267쪽
· 출판일 : 2005-05-15

책 소개

우리 기억 속에서 잊혀진 황제, 사라진 제국의 모습을 복구하고 그것을 새롭고, 다양한 시각에서 재평가하기 위해서 기획한 책이다. 고종황제와 대한제국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한국 근대의 형성 과정과 일제 시기의 성격이 크게 달라진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민감하고 중요한 문제인 만큼, 과거를 객관적으로 규명하는 작업 이상의 사회적 의미를 지니는 논쟁들을 담고 있다.

목차

책을 내며
고종황제
논쟁 연표

'고종시대의 재조명', 조명 너무 세다 | 김재호
식민사관의 덫을 경계해야 한다 | 이태진
대한제국에는 황제만 산다 | 김재호

논쟁일지 1

'고종시대' 악센트는 '시대'에 있다 | 이태진
일제 영향력에 관한 연구에 반짝 불을 켜라 | 왕현종
누가 근대화 지상주의자인가? | 김재호

논쟁일지 2

대한제국 근대화 성과, 경제 지표로도 읽힌다 | 이태진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서 | 김기봉
대한제국 재정 정책은 주먹구구식 | 김재호
근대의 그늘에도 관심을 가져라 | 김동택
고종은 여전히 소중화적 세계관에서 헤엄친다 | 이영훈

논쟁일지 3

1896년 이후 반등세, 왜 그냥 넘어가는가? | 이태진
국가 재정 움켜쥐는 게 근대화인가? | 김재호
개명군주이나, 민국이념은 레토릭이다 | 주진오
고종은 조선왕조의 비판적 상속자이다 | 강상규

논쟁일지4

일본도 광무 근대화 성과 예의 주시했다 | 이태진
일제의 폭력과 수탈 잊었는가? | 서영희
대한제국 실상 못 보는가, 안 보는가? | 김재호
개항기 근대화 정책은 소중한 경험 | 이헌창
민국이념은 역사의 새로운 동력 | 이태진
내재적 발전론의 탈구축을 위하여 | 이병천
논쟁을 마무리하며 | 이영훈

대면 논쟁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학부 및 대학원 사학과에서 한국사를 전공하고, 경북대학교 교양학부 및 사학과를 거쳐 1977년에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 부임하여 2009년까지 재임하였다. 조선시대 사회사, 정치사를 연구하다가 1992년부터 근대 한일관계사, 특히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의 불법성에 관한 연구에 종사하였다. 근대사와 한일관계에 관한 저서로 『고종시대의 재조명』,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 연구: 조약 강제와 저항의 역사』, 『끝나지 않은 역사: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인식』 등이 있다. 한편, 『조선왕조실록』에서 자연 이상 현상 기록 2만 5,300여 건을 뽑아 이를 분석하여 1490년부터 1760년까지 270년간이 이른바 소빙기(little ice age)의 재난 현상기란 것을 국제 천문학 저널에 보고하고, 『새 한국사』에서 조선 중기의 역사를 천재지변 극복의 역사로 조명하였다. 진단학회 회장, 역사학회 회장, 학술단체연합회 회장, 한일역사가회의 한국 측 운영위원장, 국사편찬위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06년에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펼치기
김재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jhokim@jnu.ac.kr 「조선왕조 장기지속의 경제적 기원」,『經濟學硏究』, 59(4), 2011. 「朝鮮後期中央財政과 銅錢: 『賦役實摠』을 중심으로」,『경제사학』44, 2008. 「조선후기 중앙재정의 운영: 『六典條例』의 분석을 중심으로」,『경제사학』43, 2007. 「皇室財政と'租稅國家'の成立-韓國と日本との比較」,『社會經濟史學』66(2), 2000.
펼치기
교수신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수사회를 대변할 정론지 발간의 필요성이 대두하던 1992년 창간되었다. 이후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와 대학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며 지성사회의 여론을 대변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를 아우르는 학술 쟁점과 학계 동향의 분석.보도를 통해 깊이와 쟁점이 살아 있는 ‘학술 담론의 장’ 역할을 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런데 우리의 정치사상사를 잘 들여다보면 병들어 망해가는 나라를 구원할 개명군주의 출현을 고대해 마지않았던 위대한 사상가를 찾을 수 있다. 다산 정약용이다. 다산은 상제의 명을 받은, 영명하고 간겅한 군왕이 두세 명의 현명한 대신의 보좌를 받으며 전국을 왕토로 장악한 다음,

강력한 중앙군을 편성해 귀족들을 억누르면서 도로와 수로를 닦고 경지를 합리적으로 구획해 농업 생산을 증진시킴과 더불어 해외무역을 일으켜 국부를 축적하는 이른바 부국강병의 정책을 펼치기를 간절히 꿈꿨다.

그가 꿈꾼 개명군주는 군왕이 제대로 덕을 닦기만 하면 온 세상이 저절로 평안하게 된다는 성리도설 속의 도학군주가 결코 아니었다. 그가 원한 개명군주는 스스로 흥작하고 분발하여 그의 국토를 경영하는 작위의 주체이다. 여러 연구자가 지적하고 잇듯이 다산의 개명군주는 비교정치사에서 서유럽 근세의 절대군주들과 비슷하다. - 본문 100~101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