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징용공 문제, 일본의 역사인식을 말한다

징용공 문제, 일본의 역사인식을 말한다

니시오카 쓰토무, 나가타니 료스케, 카츠오카 칸지, 와다 마모루, 오카지마 미노루 (지은이), 이우연, 박재이, 요시다 켄지 (옮긴이)
미디어워치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징용공 문제, 일본의 역사인식을 말한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징용공 문제, 일본의 역사인식을 말한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92014111
· 쪽수 : 474쪽
· 출판일 : 2024-04-22

책 소개

2018년 한국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징용’ 과거사 문제로 일본 측에 손해배상을 선고했다. 이로 인해 한국과 일본 양국 관계는 1965년 국교 이후 최악의 위기 상황에 빠지게 됐다. 이참에 고민해보자.

목차

추천사 … 5
발간의 말 _ 시리즈 구 조선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를 생각하다 … 10
시작하며 _ 이 책의 주제와 내용 [한국어판]… 13

총론總論
조선인 강제연행 프로파간다 _ 니시오카 쓰토무


문제의 소재 … 32
1_ ‘조선인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란 무엇인가 … 35
2_ 당시 전시 동원은 합법 … 40
3_ 일본의 연구와 운동이 한국으로 번졌다 … 43
4_ 일본과 한국에서 진실 세력의 반격이 시작되다 … 46
5_ 진정한 일한日韓 우호를 실현하기 위하여 … 48

1부 조선인 전시戰時 노동의 실태

1장_ 통계로 살펴본 전시戰時 노동의 실태 _ 니시오카 쓰토무


1_ 전시 동원 정책은 실패 … 55
2_ 동원 계획 전의 상황, 도항 억제 정책 … 60
3_ 동원 1기(1939-1941년) - ‘모집’ … 75
4_ 동원 2기(1942-1945년) - ‘관 알선’, ‘징용’ … 79

2장_ 조선인 전시戰時 노동자의 노동 현장 실태 ‐ ‘강제연행’과 ‘노예노동’은 역사적 사실인가? _ 나가타니 료스케

들어가며 … 94
1_ ‘강제연행’과 ‘노예노동’은 사실이 아니다 … 96
2_ 잘못된 자료 인용이 오해를 키웠다 … 107
3_ 「특고월보」에서 보이는 조선인 노동자의 실태 … 115
4_ 조선인 노동자의 도망 … 122
5_ 1차 자료가 보여주는 조선인 노동자의 대우 … 128
결론에 대신하여 … 135

2부 전쟁 후의 전개(1) - 일본

3장_ 조선인 · 중국인 ‘강제연행’ 운동사 _ 카츠오카 칸지


들어가며 … 141
1_ 중국인 · 조선인 ‘강제연행’ 문제의 기원 … 141
2_ 조선인 · 중국인 ‘강제연행’에 관한 문헌 목록과 분류 카테고리의 문제 … 146
3_ ‘강제연행’을 널리 퍼뜨린 사람들 … 149
4_ 박경식의 후계자들 - ① 김영달, ② 야마다 소지, 도노무라 마사루 … 157
5_ 전후 보상 문제와 ‘강제연행’ - 다카기 겐이치 변호사가 수행한 역할 … 164
6_ ‘통치 불법론’과 2018년의 한국 대법원 판결 … 170
7_ 박경식의 후계자들 - ③ 다케우치 야스토 … 172
8_ 『반일 종족주의』, 『반일 종족주의와의 투쟁』의 출현이 제기한 의문 … 178
9_ ‘증언’에 관한 문제 – 중국인 ‘강제연행’으로 보는 ‘노동자 사냥 ’ … 181

4장_ 일본에서의 징용공 재판과 한국 대법원 판결 _ 와다 마모루

들어가며 … 191
1_ 일본에서의 강제연행 등 재판의 흐름에 관하여 … 195
2_ 조선인 강제연행 · 강제노동 소송에 관한 일본에서의 재판 … 200
3_ 한국 대법원 판결에 관하여 … 215
4_ 일한청구권협정에 관하여 … 223

3부 전쟁 후의 전개(2) - 한국

5장_ 일한조약에서의 외교 해결, 한국 정부의 보상, 한국에서의 재판 _ 니시오카 쓰토무


1_ 1965년의 조약, 협정에 따른 외교적 해결 … 237
2_ 한국 정부가 실시한 보상 … 258
3_ 한국에서의 전시 노동자 재판 … 265

6장_ 한국 대법원 ‘징용공’ 판결 ‐ 한국 사법의 역사적 오점 _ 오카지마 미노루

들어가며 … 286
1_ 한국 대법원 판결이 야기한, 심각하고 중대한 문제 … 287
2_ 한국 대법원 판결에 이르는 일본에서의 움직임 … 293
3_ 한국 대법원 판결에 이르는 한국에서의 움직임 … 307
4_ 판결 후의 움직임과 앞으로의 과제 … 310

4부 사도금산에서의 조선인 전시戰時 노동 실태

7장 _ 조선인 전시戰時 노동과 사도금산 _ 니시오카 쓰토무


1_ 조선인 전시 노동의 전체상 … 319
2_ 사도금산의 조선인 전시 노동 … 322
3_ 니가타현과 아이카와마치의 ‘강제연행’ 기술에 대하여 … 332
4_ 히로세 테이조의 ‘강제노동설’에 대한 반론 … 336
5_ 한국의 전문가, 정혜경의 ‘강제노동’설에 대한 반론 … 345
6_ 일시 좌절된 사도금산 유네스코 등록 … 363

8장 _ 사도금산佐渡金山에서의 조선인 전시戰時 노동의 실태 _ 나가타니 료스케

1_ 사도금산에 관한 1차 사료 … 368
2_ 선행 연구의 내용 … 369
3_ 선행 연구의 내용 정리와 1차 사료의 확인 … 371
4_ 갱내 작업에 대한 배치와 규폐 발병률 … 373
5_ 1차 사료에 기재된 조선인 노동자의 모습 … 376

특별게재 – 한국 영화 ‘군함도’의 심각한 사실 날조와 그 무서운 동기 … 379

권말자료 … 400


1. 일본과의 평화조약(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 1951년 9월 8일
2. 1951년 1차 일한회담이 개최되자 한국 정부가 일본 측에 곧바로 제시한 8항목의 ‘대일청구권 요강’(이른바 ‘8항목 요구’) - 1951년 10월
3. 일한 예비 교섭에서 두 수석 대표간에 대략 의견 일치를 본 청구권 문제 해결 방식(이른바 ‘오히라-김’ 요해了解) - 1962년
4. 일본과 대한민국 간의 기본 관계에 관한 조약(일한기본조약) - 1965년 6월 22일
5.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 해결과 경제 협력에 관한 일본과 대한민국 간의 협정(일한청구권협정) - 1965년 6월 22일
6.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의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에 대한 합의의사록(I) - 1965년 6월 22일
7.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일본과 대한민국 간의 협정 2조 실시에 따른 대한민국 등의 재산권에 대한 조치에 관한 법률 - 1965년 12월 17일
8. 한일회담 문서공개 후속대책 관련 민관공동위원회 개최에 관한 국무조정실 보도자료(국무조정실은 국무총리 직속기관이다.) - 2005년 8월 26일
9. 한국 정부가 작성한 ‘전범 기업’ 275개 사 실명 리스트
10. 한국 정부가 동원을 확인하여 작성한 일본 기업 리스트
11. 한국병합 100년에 즈음한 한일 지식인 공동성명 - 2010년 5월 10일
12. [유엔 인권이사회 제출] 전시기 일본으로 동원된 조선인 노동자 문제에 대한 이우연 박사의 의견서 – 2019년 7월 2일
13.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의 존중을 요구하는 한·일 법률가 공동성명 - 2019년 12월 23일
14. 한일/일한 법률가 공동성명 1주년 기념 심포지엄 성명 - 2020년 12월 25일
15. 3.1절 맞이 한국 지식인 공동성명 ‘윤석열 정권은 일본과의 역사분쟁 중단을 선언하라’ - 2023년 3월 1일

색인 … 463

저자소개

니시오카 쓰토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으며 국제기독교대학교를 졸업한 후, 쓰쿠바筑波대학교 대학원 지역연구과 동아시아코스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한국 연세대학교 국제학과에 유학했으며, 1982년부터1984년까지 일본 외무성 전문조사원으로 주한일본대사관에 근무했다. 현재 레이타쿠麗澤대학교 특임교수, 모라로지Moralogy도덕교육재단 도덕과학연구소 교수이자 역사연구실 실장, 역사인식문제연구회 회장, 북조선에 납치된 일본인을 구출하기 위한 전국협의회(구출회) 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일한 오해의 심연日韓誤解の深淵』(아키쇼보亜紀書房), 『일한 ‘역사 문제’의 진실日韓「歴史問題」の真実』(PHP연구소), 『알기쉬운 위안부 문제よくわ か る 慰安婦問題』(소시샤草思社)(한국어판 제목은『한국 정부와 언론이 말하지 않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미디어워치]), 『날조된 징용 공 문제でっちあげの徴用工問題』(소시샤草思社)(한국어판 제목은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미디어워치]) 등이 있다.
펼치기
나가타니 료스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6년 일본 구마모토 현에서 태어났으며 구마모토熊本대학교 문학부 역사학과를 졸업한 후 호세이法政대학교 대학원 정치학연구과 국제일본학 인스티튜트 박사후기과정을 수료했다. 역사인식문제연구회 사무국 차장를 맡고 있다. 석사논문 ‘일본 학계에서의 ‘난징사건’ 연구 고찰’, 박사논문 ‘『전후 역사학戦後歴史学』으로 보는 전후 일본에서의 역사학 변천 – 역사학 연구회를 예로 하여’가 있다.
펼치기
카츠오카 칸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7년 일본 히로시마 현에서 태어났으며 와세다대학교 제1문학부를 졸업한 후 와세다대학교 대학원 문학연구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메이세이明星대학교 전후교육사 연구센터에서 근무하면서 역 사인식문제연구회 사무국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한국·중국 ‘역사교과서’를 철저히 비판한다韓国・中国「歴史教科書」を徹底批判する』(쇼가쿠칸분코小学館文庫), 『아베 담화와 아사히신문安部談話と朝日新聞』(후타바샤双葉社), 『역사의 급소歴史の急所』(HS세이케이주쿠政経塾), 감수한 책으로는 『일본근현대사의 진실 - 50가지 질문에 답하다日本近現代史の真実 - 50の質問に答える』(덴덴샤展転社) 등이 있다.
펼치기
와다 마모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으며 1970년 도쿄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했다. 1973년에 검사로 임명되어 도쿄지검 검사, 일본 법무성 송무국부 검사를 거쳐 1981년에 변호사가 되었다. 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의 법률고문 및 감사역을 담당하며 컴플라이언스(준법감시) 관계 조사 위원회 회원 역할과 판례지 편집에 종사하고 있다. 강제연행·강제노동 문제의 경우 ‘하나오카 사건花岡事件’에서 피고 회사 소송 대리인으로 참여해 중국인 강제연행 소송에서의 첫 화해 해결에 관여했다.
펼치기
오카지마 미노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 일본 아이치 현에서 태어났으며 와세다대학교 제1문학부를 졸업한 후 2001년 변호사로 등록했다(오키나와변호사회). 2003년부터 일본변호사연합회 인권옹호위원,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인권옹호 부위원장을 담당했다. 저서로 『재판원 제도란 무엇인가裁判員制度とは何か』(세이카쓰쇼인生活書院), 『하에바루사건南風原事件』(공저, 겐다이진분샤現代人文社) 등이 있다.
펼치기
이우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에서 조선 후기 이래 산림 소유 제도 연구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 방문연구원, 규슈대 객원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이다.『한국의 산림 소유제도와 정책의 역사, 1600~1987』(일조각, 2010), Commons, Community an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in Asia (Singapore NUP, 2015, 공저), 『반일 종족주의』1·2권(공저, 미래사, 2019~2020)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박재이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 대학에서 일본어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일본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번역을 시작했다. 분야에 구애받지 않고 일본의 많은 책들을 한국에 소개하고 싶은 천생 번역가다.
펼치기
요시다 켄지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94년 3월 29일, 일본 히로시마현 출생. 일본 게이오대학 부속 고등학교를 거쳐 미국 이스턴메노나이트대학 부속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프랑스 파리정치대학(Reims 캠퍼스)에서 유학했고, 미국 윌리엄앤드메리대학을 졸업했다. 현재 일본의 영자지 「재팬포워드JAPAN Forward」에서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조선인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란 무엇인가? 1960년대에 일한日韓 국교정상화에 반대하는 북조선과 연결된 재일조선인 학자 박경식 등은 과거 전쟁 중에 조선인 노동자를 일본 내지內地로 동원한 것에 대하여 ‘강제연행’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 그들은 일본이 공권력을 휘둘러 수많은 조선인을 연행해서 노예노동을 시켰다고 주장하는 캠페인을 벌이기 시작했다. 이런 캠페인을 수많은 일본인과 재일조선인으로 구성된 학자, 기자, 변호사, 활동가가 계속 확대해 펼쳐나갔다. 이 허위를 근거로 하는 캠페인이 바로 ‘조선인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이다.


1945년 8월, 전쟁이 끝나기 직전에 조선인 우두머리의 합숙소에서는 탁주를 마시며 소고기를 먹었다. 말 그대로 목숨 걸고 총력전을 펼친 일본인에 비해서 아무리 내선일체화를 강조해도 상당수 조선인에게 그 전쟁은 어차피 남의 일이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시 동원 계획은 잘 이뤄지지 않았다.
‘관 알선’과 ‘징용’으로 강제력이 매우 강한 동원을 실시한 2기에도 도항 후 4할 가까이 도망을 했던 사실을 미루어 본다면, 수많은 타관벌이 노동자들을 탄광 등으로 보내는 흐름을 만들려고 한 동원 계획은 사실상 실패했다고 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