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공물의 진화

인공물의 진화

이정동, 장대익, 김홍기, 윤주현, 주시형, 천종식, 홍유석, 온병원, 문병로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0,000원 -10% 1500원 25,500원 >

책 이미지

인공물의 진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공물의 진화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과학일반
· ISBN : 9788952118318
· 쪽수 : 382쪽
· 출판일 : 2017-08-25

책 소개

서울대학교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브레인퓨전(Brain Fusion) 연구사업에 “인공물은 진화하는가”라는 주제로 아홉 명의 교수들이 참여하여 하나의 질문을 공유하고, 지식을 나누고, 서로 다른 관점을 살펴보면서 만들어 낸 결과물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인공물은 진화하는가? -이정동

1. 질문의 초를 잡다
1.1 인공물은 다양하다
1.2 인공물은 ‘진화하는 것처럼’ 보인다
1.3 연구팀의 구성
2. 어렵지만 흥미진진한 탐색의 여정
2.1 생각 맞추기
2.2 공부하기와 진도 나가기
2.3 총괄워크숍 및 향후 발전방향 토의
3. 지금까지 한 일

제2장 인공물의 진화와 혁신: 비유를 넘어서 -장대익

1. 들어가며
2. 인공물에 대한 진화론적 관점
2.1 기술지능진화론
2.2 유비진화론과 일반진화론
2.3 인공물의 혁신과 변이 메커니즘
3. 진화력: 새로운 변이의 논리
4. 인공물 진화에 대한 일반진화론의 핵심 논리: 모듈성의 증가
5. 인공물 진화의 척도
5.1 복제력
5.2 적응력
5.3 맥락성
6. 마무리하며

제3장 인공물과 생물 진화 간의 시스템적 은유 -김홍기

1. 들어가며
2. 진화생물학에서의 ‘기능’ 개념
3. 온톨로지에서의 ‘기능’ 개념
4. 기능에 대한 규범적 설명
5. 전체와 부분의 관계
6. 구조와 기능의 모듈성
7. 기능설계 최적화에 대한 인지과학적 설명
8. 마무리하며

제4장 DEPST의 트렌드 분석을 통해 본 모바일폰의 진화 -윤주현

1. 들어가며
2. 연구 관점
3. 연구방법론: 트렌드 분석법
3.1 트렌드 분석법이란
3.2 연구 범위
4. 모바일폰 디자인의 발전과 동향
4.1 물리적 사용자 환경(PUI)
4.2 그래픽 사용자 환경(GUI)
5. 융합적 관점에서 바라본 모바일폰 시장의 진화적 양상
5.1 DEPST의 범위와 현황
5.2 DEPST에 따른 모바일폰의 진화
6. 다른 연구와의 관련성
6.1 스마트 제품 아키텍처(SPA)에 따른 모바일폰 분석
6.2 트렌드 분석과 비교한 모바일폰의 진화 양상
7. 마무리하며
7.1 기간별 키워드
7.2 모바일폰 진화 양상에 대한 고찰

제5장 생물학적 계통분석 방법을 활용한 인공물 진화의 연구 -천종식

1. 진화론의 발견과 그 발전의 역사
2. 생물 다양성 및 진화의 분자적 메커니즘과 인공물의 비교
3. 생물학적 계통분석 방법 적용의 어려움과 극복해야 할 사항
4. 생물학적 계통분석 방법의 소개와 탐구
5. 생물학적 계통분석 방법의 적용과 결과
6. 인공물 진화 연구에 대한 논의와 문제점 및 전망

제6장 전기 광원의 진화: 특허 인용정보 분석을 활용한 사례 연구 -주시형

1. 광원: 인공물 진화를 푸는 열쇠
2. 기술 및 지식 차원에서의 인공물 진화 연구의 의의_
3. 특허 및 특허인용 정보의 유용성
4. 광원의 진화: 빛, 불 그리고 전등
4.1 태양: 태초에 빛이 있었다
4.2 불, 프로메테우스의 선물
4.3 전기 조명, 태양의 유일한 경쟁자
5. 광원 기술의 변화
5.1 전기 광원의 발광 원리
5.2 전기 광원 기술의 변화
5.3 전기 광원 기술의 변화에 대한 진화적 해석 가능성
6. 주경로 분석과 전기 광원 특허 분석
6.1 주경로 분석 개념
6.2 주경로 분석 방법론
6.3 전기 광원 특허의 주경로 분석: 자료와 분석 내용
7. 광원 특허에 대한 주경로 분석 결과
7.1 1950년대
7.2 1960년대
7.3 1970년대
7.4 1980년대
7.5 1990년대
7.6 2000년대
7.7 주경로 분석 결과의 시사점
8. 마무리하며
[부록] 주경로 분석 세부 기법

제7장 스마트 제품 아키텍처(SPA)와 진화 논리 -홍유석

1. 스마트 시대의 대두
2. 왜 아키텍처인가?
3. SPA의 구성
4. SPA 차원 1: 스마트 특성
4.1 스마트 특성 1: 사용성
4.2 스마트 특성 2: 맞춤성
4.3 스마트 특성 3: 연결성
4.4 스마트 특성 4: 지능성
5. SPA 차원 2: 제품요소
5.1 제품요소 1: 하드웨어
5.2 제품요소 2: 소프트웨어
5.3 제품요소 3: 네트워크
5.4 제품요소 4: 인간
6. SPA를 통해 바라본 스마트자동차의 진화 양상
6.1 사용성의 향상: 인간친화적인 인터페이스의 등장 _
6.2 연결성의 향상: ‘커넥티드 카’로의 진화
6.3 맞춤성의 향상: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개방화
6.4 지능성의 향상: 무인자동차를 향하여
7. 마무리하며 _

제8장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인공물 진화 패턴 규명에 관한 연구 -온병원
1. 사용자 후기를 통한 휴대폰 진화계통도
2. 연구 방법 및 내용
2.1 원자료 전처리
2.2 사용자 후기 텍스트 요약
2.3 휴대폰의 주요 특징 추출
2.4 주요 특징을 휴대폰에 매칭
2.5 진화 그래프 생성
3. 사례 연구
3.1 데이터 수집과 구현
3.2 휴대폰의 진화 패턴 분석
3.3 연도별 휴대폰의 특징 분석
4. 마무리하며

제9장 진화경제학의 시각으로 바라본 인공물 진화의 논리 -이정동

1. 들어가며
2. 진화경제학과 행위자 기반 모형의 관점
2.1 진화경제학적 방법론에서 바라본 인공물 진화
2.2 행위자 기반 모형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공물 진화
2.3 인공물 진화 환경에서 생산자와 소비자의 의사 결정 구조
3. 인공물 진화모형의 구조: 행위자 기반 모형을 중심으로
3.1 제품 진화 규칙
3.2 모형의 가정
3.3 시뮬레이션 과정
3.4 시뮬레이션 조건
4. 결과
4.1 제품진화 형태
4.2 판매량
5. 시사점

제10장 공간탐색 관점에서 본 물건의 진화 -문병로

1. 진화라는 공간
2. 유전 알고리즘
3. 구현과 장애

찾아보기
Abstract

저자소개

문병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계산통계학과, KAIST 전산학과,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서 각각 학사 ·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LG전자 중앙연구소 연구원, UCLA VLSI CAD Lab 박사후연구원, LG반도체 책임연구원을 거쳤다. 이론 연구의 현장 적용에 관심이 많아 2000년 초부터 연구실 벤처를 창업하여 알고리즘과 최적화 이론의 현장 접목을 시도해왔으며, 현재 문제 해결 분야와 유전 알고리즘 등의 공간 탐색 이론 및 응용을 연구하는 “최적화 및 금융공학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난제의 속성, 이러한 문제들이 이루는 공간의 특성, 알고리즘의 설계 · 분석, 알고리즘의 기업적 응용, 유전 알고리즘, AI 혁명을 이끌고 있는 트랜스포머의 내부 해킹과 응용이다. 전공 저서로는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 with 파이썬/자바』, 『쉽게 배우는 알고리 즘』, 『쉽게 배우는 유전 알고리즘』이 있다. 교양 부문 저서로는 계량적 주식 투자에 관한 『문병로 교수의 메트릭 스튜디오』가 있다. 국제 저널과 학술대회에 1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홍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석사학위(인공지능)와 박사학위(인공지능과 인지과학)를 받았다. 조지아대학교 인공지능센터의 펠로우와 단국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조교수 및 부교수를 거쳐 2017년 현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경영정보학교실 주임교수를 맡고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에서 의료정보학협동과정, 인지과학협동과정, 컴퓨터공학부, 인문대학 기록학 전공, 융합과학기술대학원의 겸무교수로도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온톨로지공학, 기계학습, 의생명정보학이며, 컴퓨터공학, 의학, 치의학, 생물학, 인지과학, 경영학, 법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200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하였다. 의생명지식공학연구실(Biomedical Knowledge Engineering Laboratory; BiKE)을 운영하며, 매우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원들과 함께 데이터 중심의 융합과학(Data Intensive Converging Science)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드는 데 노력하고 있다.
펼치기
장대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간 본성과 기술의 진화를 탐구해온 과학철학자이자 진화학자. 기계공학도로 출발했으나 진화생물학에 매료되어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대학원에서 진화학과 생물철학을 공부했다. 이후 서울대학교 행동생태연구실에서 인간팀을 이끌었고 영국 런던정경대학의 과학철학센터와 다윈세미나에서 진화심리학을 공부했다. 교토대학교 영장류연구소에서 침팬지의 인지와 행동을 공부하기도 했다. 박사 학위는 융합생물학의 정점인 진화인지와 진화발생생물학, 이른바 ‘이보디보Evo-Devo’의 역사와 철학으로 받았다. 《다윈의 식탁》, 《다윈의 서재》, 《다윈의 정원》으로 이어지는 ‘다윈 삼부작’과 윈의 《울트라 소셜》 등을 썼으며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에드워드 윌슨의 《통섭》 등을 번역했다. 다양한 지적 전통을 거치며 이질적인 학문을 아우르려 했던 경험이 자연스럽게 인간 정신의 독특성인 공감에 대한 초학제적 연구로 이어졌다. 역설적이게도 오늘날 문명의 위기는 공감이 다양성을 배척하기에 발생했다고 본다. 인간은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면서도 나와 다른 사람과는 했다고 선을 긋는 모순적인 존재다. 왜 인간은 선택적으로 공감할까? 다름을 포용하는 공감이 있을까? 공감을 가르칠 수 있을까? 공감이 왜 극심한 사회 갈등의 뿌리인가? 이런 질문에 답하며 공감의 어두운 면을 드러내지만 또한 이를 물리치는 빛을 제시하고자 한다. “질문에는 국경이 없다”는 믿음으로 공학, 자연과학, 그리고 인문사회학의 경계들을 광폭으로 넘나든 학자인 만큼 그 이력도 종횡무진이다. 십여 년 동안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를 지내며 학부 교육의 혁신 모형을 실험했고, 그 과정에서 “왜 학생들에게만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라고 훈계하는가”라는 자문에 답하기 위해 차세대 실시간 화상 교육 플랫폼 스타트업 회사를 창업했다. 최근 몇 년 전부터는 이런 교육자와 창업가의 길에서 새롭게 만난 가천대학교의 미래 비전에 큰 감동과 영감을 받아, 가천대학교 스타트업칼리지(가천코코네스쿨)(가천코코네스쿨)로 이직하여 초대 학장로 학장(석좌교수)으로서 스타트업 교육과 미래 대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있다. 이 책은 이곳에서 ‘인생의 첫 번째 기업가적 전환을 배우고 경하고 경험하는 창업가 커뮤니티를 만들기’ 위한 작은 시도의 산물이기도 하다.
펼치기
이정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및 대학원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2020~),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2018~)이며 한국생산성학회 회장(2011)과 한국기업경영학회 회장(2017)을 역임했다. 2018년부터는 기술혁신 분야를 대표하는 국제 학술지 《Science and Public Policy》(옥스퍼드대학 출판부)의 공동 편집장으로 있으며, 대통령 비서실 경제과학특별보좌관(2019~2021)으로 국가정책의 수립에 기여했다. 《축적의 시간》(2015), 《축적의 길》(2017), 《최초의 질문》(2022)을 펴내면서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2023년 1월 KBS 다큐멘터리 〈최초의 질문〉을 통해 혁신을 위한 도전적 질문의 중요성에 대한 통찰을 전한 바 있다. ‘그랜드 퀘스트’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전 과정을 총괄하고 있다.
펼치기
윤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에서 디자인을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고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시도하는 미디어아트 프로그램인 뉴욕대학교의 인터랙티브 텔레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Interactive Telecommunication Programs; ITP)에서 MPS(1997)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교수로서 정보디자인과 인터랙션/UX 디자인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대우전자, 뉴욕 타임워너 등에서의 디자인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디자인+공학+경영을 아우르는 융합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트렌드 관련 책으로는 『디지털시대의 비쥬얼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역사적 조명』, 『한중일 모바일폰 비교분석을 통한 디자인 동향과 사용문화 연구』(공저) 등이 있다. 마르퀴스 후즈 후(Marquis Who’s Who) 2014에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펼치기
주시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산업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기술정책)를 받았다. 2011년부터 전남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특허 인용 정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기술의 진화와 기업 간의 기술추격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홍유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장으로 최초의 산업공학과 출신 학장이다. 대우그룹에서 일하다 학자로 변신한 독특한 이력으로 융복합 시대에 공과대학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산학연 협력의 새로운 생태계를 지향하며 4자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공학교육을 고민하고 있다. 테크 스타트업 창업 라이프사이클의 총체적 지원을 위한 각종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펼치기
온병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안양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석사학위(전산학)를,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컴퓨터공학)를 받았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거쳤으며, 일리노이대학교(Urbana-Champaign) 차세대디지털과학센터와 서울대학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서 각각 선임연구원과 연구교수로 재직하였다. 2014년부터 군산대학교 통계컴퓨터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세부 전공분야는 데이터 마이닝, 기계학습, 인공지능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으로, 텍스트 문서 요약, 지식베이스 구축, 빅데이터를 위한 메타데이터 관리 및 프로비넌스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22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