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53140615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1-08-25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_ 삶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프롤로그 _ 어떤 순간에도 ‘기도 먼저’의 삶
PART 1
우리가 기도하지 않는 이유
기도 없는 삶,
나를 의지하는 삶
1 솔직히, 기도에 능력이 있을까?
2 왜 내 기도에는 응답하시지 않을까?
3 어차피 모든 일이 정해져 있다면, 힘들게 기도해야 할까?
PART 2
예수님의 기도법
기도의 모델을 배우다
4 잘못된 기도 습관들
기도를 수단으로 삼지 말라
5 기도의 시작
모든 것을 거저 주시는 “아버지”의 이름을 부르라
6 오늘을 위한 기도
숨김없이, 남김없이 모든 필요를 아뢰라
7 내일을 위한 기도
기도하면, 삶의 파도에도 내적 고요함을 유지할 수 있다
에필로그 _ 당신을 기다리시는 아버지께 구하라!
감사의 말
참고문헌
주
리뷰
책속에서
프롤로그
어떤 순간에도 '기도 먼저'의 삶
솔직히 말해 보자. 우리 중에 건강하고 행복한 기도 생활을 영위하는 사람은 손에 꼽는다. 당신을 정죄하려고 하 는 말이 아니다(심지어 나는 당신을 알지도 못한다). 이는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이다. 나뿐만은 아닐 것이다. 우리는 기도 생활을 잘하지 못한다. 신학자 D. A. 카슨(Carson)은 평범한 크리스천에게 개인적인 기도 생활에 대하여 꼬치꼬치 물어 보면 안 된다는 말을 했다. 이 물음이 상대를 부끄럽게 만들 기 때문이다. 그의 말이 틀렸으면 좋겠지만 맞는 말이다. '성숙한' 크리스천들은 성경을 손바닥 보듯이 꿰뚫고 있다. 남들에게 전할 만한 놀라운 간증거리도 가지고 있다. 자신을 희생하며 사역에 힘을 쏟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헌금과 구제에 누구보다 열심인 이들도 있다. 하지만 우리의 기도 생활은 어떠한가? 별로 자랑할 만하지 못하다.
한 연구에 따르면 목회를 준비하는 신학생들도 보통 하루에 6분 이상을 기도하지 않는다고 한다. 겨우 6분이라 니! 이런 형편없는 기도 생활이 큰 문제인 이유가 있다. 예수님께서는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이 라"라고 말씀하셨다(요 15:5). 그리고 그분께 연결되는 유일 한 방법은 '거함'이라고 말씀하셨다(15:4). 그런데 거함은 곧 기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기도 없이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아무것도'는 매우 포괄적인 의미의 단어이며, 예수님 은 일부러 이 단어를 선택하셨다. 기도하는 법을 알지 못 하는 사람들은 삶 속에서 영원한 의미가 있는 일들을 경험 하지 못한다. 18세기 영국의 위대한 전도자 존 웨슬리(John Wesley)는 이런 유명한 말을 했다.
"나는 하나님이 이 땅에서 기도 응답 외에 아무것도 하시지 않는다고 확신한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너희는 기도할 때"라고 말씀하셨다. 이는 기도가 신앙이 고도로 높은 사람들을 위한 추가적 인 권장사항이 아니라 모든 크리스천이 당연히 해야 하는 일임을 알려 준다(눅 11:2). 야고보는 여러 문제가 많았던 교 인들에게 그들이 얻지 못한 것은 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약 4:2). 구하지 않으면 큰 것을 놓친다. 아니, 모든 것을 놓칠지도 모른다.
기도로 채워진 예수님의 삶
사람들은 기도할 필요가 전혀 없는 분이 있다면 바로 예수님일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만약 당신이 성자 하나 님이라면 세상 근심 걱정이 하나도 없어야 하지 않는가. 하 지만 복음서들을 보면 예수님의 삶은 기도로 가득했다.
인간으로서 예수님은 하나님과의 교제에서 힘을 얻고 성령의 충만함에서 능력을 얻으셨다. 예수님께 기도는 그 분에게는 불필요하지만, 단순히 우리에게 '옳은 습관'의 본을 보여 주기 위해서 행하신 선택사항 정도가 아니었다. 예수님께도 기도는 인생에서 반드시 필요한 일이었다. 먹고 자는 것보다도 더 필수적인 일이었다. 이것은 결코 가벼운 진술이 아니기 때문에 잠시 누가복음을 통해 확인해 보자.
예수님은 세례를 받기 전에 기도하셨다(눅 3:21). 누가는 사역 규모가 커지고 인기가 높아질수록 예수님이 더 자주 한적한 곳으로 가서 기도하셨다고 기록한다(눅 5:16). 제자 들을 선택하기 전에는 밤새 기도 하셨다(눅 6:12). 제자들에 게 궁극적인 질문("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을 하기 전에 기 도부터 하셨다(눅 9:18-20). 제자들이 그리스도요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고백한 뒤에는 그중 세 명을 데리고 산으로 올 라가셨다. 물론 기도를 하기 위해서였다(눅 9:28). 죽음의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 괴로울 때도 기도하셨다(눅 22:39-46). 체포되기 몇 시간 전에는 곧 베드로가 자신을 부인할 줄 알 고서 그를 위해 기도하셨다(눅 22:31-34). 십자가에 못 박히는 순간에도 망치를 든 자들을 위해 기도하셨다(눅 23:33- 34). 마지막 숨을 내쉬면서는 무엇을 하셨을까? "아버지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라고 기도하셨다(눅 23:46). 제자들은 예수님께 가르침을 받기 원할 때 "요한이 자 기 제자들에게 기도를 가르친 것과 같이 우리에게도 가르쳐 주옵소서"라고 요청했다(눅 11:1). 생각해 보라. 그들은 예수님의 놀라운 설교들을 들었다. 예수님이 행하신 위대한 기적들도 보았다. 하지만 그들은 "주님처럼 설교하는 법 을 가르쳐 주십시오" 혹은 "주님처럼 기적을 행하는 법을 가르쳐 주십시오"라고 말하지 않았다. 그들은 "주님처럼 기 도하는 법을 가르쳐 주십시오"라고 말했다. 그들은 기도야 말로 예수님 능력의 근원이라는 사실을 알았던 것이 분명하다. 그들은 예수님처럼 기도할 수 있다면 그분과 같은 능력을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누가가 자신의 복음서 곳곳에서 전하고 있는 요지는 이 것이다. 인간으로서 육신 안에 거하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 님이 스스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것처럼 아버지의 도우심, 능력, 인도하심을 필요로 하셨는데 왜 우리는 그렇지 않은가? 예수님은 세상을 구원하고 교회를 세워야 하는 시급한 일을 앞두고서도 아버지께 필요한 것을 구할 시간을 내셨는데 왜 우리는 기도할 시간이 없을 정도로 바쁘다거나 기도하지 않아도 충분하다고 생각하는가? 왜 우리는 기도를 게을리 하면서 살아가는가? 정말로 우리가 예수님보다도 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