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계경제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테마로 보는 역사 > 경제사
· ISBN : 978895464488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7-03-27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테마로 보는 역사 > 경제사
· ISBN : 978895464488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7-03-27
책 소개
교유서가 첫단추 시리즈 17권. 지난 500년간 세계 각국의 임금과 생활수준, 주요 산물의 가격 등을 비교하면서 역사의 분기점은 어디에 있는지, 부국의 기회를 잡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무엇인지, 무엇이 현재의 불평등의 기원이 되었는지를 파헤친다.
목차
1. 대분기
2. 서구의 발흥
3. 산업혁명
4. 선진국들의 힘
5. 거대 제국들
6. 아메리카
7. 아프리카
8. 표준 모델과 후기산업화
9. 빅푸시 산업화
감사의 말/ 참고문헌/ 독서안내/ 역자 후기
리뷰
Hea*
★★★★☆(8)
([마이리뷰]세계경제사에 입문하기)
자세히
가*
★★★☆☆(6)
([마이리뷰]세계경제사)
자세히
산만시*
★★★☆☆(6)
([100자평]전반적으로 상당히 어색한 번역투와 한 두가지 명백한 오...)
자세히
nan**
★★★★★(10)
([마이리뷰]세계경제사 / 로버트 C. 앨런)
자세히
맨날잠*
★★★☆☆(6)
([100자평]초벌만 한 듯한 번역을 빼면 내용은 입문용으로 손색이 ...)
자세히
호시우*
★★★★★(10)
([마이리뷰]무엇이 경제 성장을 결정할까?)
자세히
소*
★★★★☆(8)
([마이리뷰][마이리뷰] 세계경제사)
자세히
Eco*****
★★★☆☆(6)
([마이리뷰][마이리뷰] 세계경제사)
자세히
책속에서
최저생계 수준은 한 국가가 경제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경제적 동기를 제거한다. 하루의 노동으로부터 더 많은 산출을 얻어내야 하겠지만, 이 경우 노동이 너무 값싸서 기업들이 굳이 생산성을 높일 기계를 개발하거나 도입할 인센티브가 없기 때문이다. 최저생계 수준은 빈곤의 덫이다. 산업혁명은 바로 높은 임금의 결과였다. 산업혁명은 높은 임금의 원인만이 아니었던 것이다.
세계는 왜 점점 더 불평등하게 되었을까? 지리, 제도, 문화 같은 ‘근본적 요인’과 ‘역사의 우연’ 모두가 역할을 했다.
산업혁명(대략 1760년부터 1850년까지)은 세계사의 전환점이었다. 경제 성장이 지속되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기 때문이다. 산업혁명은 이름에서 느껴지는 급격한 단절이 아니라 앞 장에서 논의한 초기 근대 경제 전환의 결과였다. GDP가 8~10퍼센트씩이나 성장했던 최근의 성장 기적을 기준으로 보면, 1760년 이후 100년간의 경제 성장률(연 1.5퍼센트)은 매우 낮은 것이었다. 그러나 영국은 선도자로서 세계의 첨단기술을 계속 확장해나가고 있었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