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54694568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3-08-1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 세책 독서 문화
2 소설의 탄생, 그 달콤한 독서
3 | 한국 | 세책 독서 문화 강국
4 | 일본 | 서적행상과 세책업자가 꽃피운 세책 문화
5 | 중국 | 문명국의 자존심, 간신히 꽃핀 세책 문화
6 |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 유럽 세책 문화의 진원지
7 | 아일랜드 | 종교, 지역에 따른 다양한 세책 독서
8 | 독일 | 인쇄・출판의 요람에서 세책 독서의 메카까지
9 | 프랑스 | 출판 및 독서 문화의 강자
10 | 슬로바키아 | 세책 독서 문화의 선진국
11 | 스웨덴 | 서점을 통한 세책 독서
12 | 미국 | 소비 독서의 천국
13 | 자메이카 | 카리브해 섬나라의 세책 풍경
14 | 브라질 | 대서양 횡단 유럽소설 및 독서 문화의 종착지
15 | 나이지리아 | 아프리카 출판과 독서의 꿈
16 못다 한 이야기
에필로그
미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세책(貰冊)’, 이는 오늘날 ‘도서대여’의 옛 이름이다. 18~19세기에 책을 빌려주고 빌려 읽던 유통 방식을 세책이라 일컫는다. 오늘날 도서대여점과 비디오테이프 가게에서 요금을 미리 내고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빌렸다가 되돌려주던 것과 유사하다.
한편, ‘세책 독서’는 세책점 또는 도서대여 기관에서 돈을 내고 직접 책을 골라 빌려 읽는 독서 행위의 전 과정을 의미한다. 세책 독서의 의의는 소수만이 독서를 즐기던 사회 환경에서 벗어나 신분, 계층, 남녀, 직업에 따른 차별이나 제약 없이 독서할 수 있게 되었다는 데 있다.
이런 세책 독서를 가능케 만든 주역 중 하나가 도서대여점, 곧 세책점이다. 세책점은 기본적으로 세책 영업을 통해 상업적 이윤을 추구했다. 상품 가치를 가진 책을 소장하다가 일정 기간 싼값에 빌려주는 영업을 한 것이다. 고객 입장에서는 이런 세책이 자유롭게 책을 즐길 수 있는 소비 활동이자 여가 활동이었다.
조선 후기에 글을 읽을 줄 알았던 여성들은 양반집 부녀자들과 궁녀 정도였을 것이다. 그런데 채제공에 의하면, 한글을 깨우친 부녀자들이 패설을 경쟁적으로 빌려 읽었다고 했다. 여기서 패설이란 소설을 의미한다. 처음에는 항간에 떠돌던 잡다한 이야기를 패설이라 일컫다가 이내 소설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채제공의 글에 따르면, 이미 18세기 중반에 사대부 집안의 부녀자들이 소설 읽기에 탐닉했으며, 비녀나 팔찌를 파는가 하면 빚을 내고 가산을 탕진할 정도로 세책에 흠뻑 빠져 지냈다. 세책의 종수가 천백 가지를 헤아릴 정도였다니 실로 다양한 작품이 세책의 대상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시 곳곳에 세책점이 들어서자 여성은 물론 글자를 아는 하인들과 젊은이들까지 책대여에 관심을 보였다. 특히 소설책은 나라의 검열이나 관리를 피해 몰래 빌려다 볼 수 있던 대표적인 독서물이었다. 1740년에 영국 최초의 근대소설로 평가받는 새뮤얼 리처드슨의 『파멜라』가 그렇게 인기를 끈 예다. 도덕주의자들은 이런 세책 독서 풍습을 비판했지만, 소설책은 더욱 자극적이고 조작적이며 선동적이라 할 만한 흥미 본위의 서사물로 등장해 세책점을 매개로 독자와 만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