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옛 그림 속 술의 맛과 멋

[큰글씨책] 옛 그림 속 술의 맛과 멋

정혜경 (지은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750원
1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2,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옛 그림 속 술의 맛과 멋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옛 그림 속 술의 맛과 멋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생활풍속사
· ISBN : 9788955865691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9-11-11

책 소개

세창역사산책 2권. 고단했던 삶과 농사일 속에서 술은 항상 동반자였으며, 에너지의 원천이었다. 술은 한국인의 삶에서 문화 그 자체로 우리와 늘 함께해 왔다. 단원 김홍도, 신윤복, 김준근 등이 즐겨 그린 풍속화 속에는 이런 술의 정겨움과 흥겨움이 담겨 있다.

목차

우리 술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삶을 그리며 _06

1장 풍속화에 담긴 우리 술문화 _11

2장 새참과 술 풍경
새로 거른 막걸리 젖빛처럼 뿌옇고 _21
타작 점심 하오리라 황계 백주 부족할까 _25
호미질을 나갈 때는 술 담을 그릇을 잊지 마라 _29
와준에 거른 술을 박잔에 가득 부어 _32
강가에 둘러앉아 술을 마시다 _36
덜 괸 술 막 걸러 주준에 다마 두고 _39

3장 특별한 날의 술
왕실 혼례의 합환주 _45
민간 혼례에서도 술은 역시 합근주 _49
회갑연에서 자손들이 헌수주를 올리다 _52
회혼례, 술독에 가양주가 넘실댄다 _55
장수를 축하하며 올리는 상수주 _59
죽은 이를 위로하는 술, 상례성복제의 법주 _63
‘조일통상장정’에서 일본 샴페인을 터뜨리다 _67
새해 아침 울분을 달래며 마신 술, 도소주 _71

4장 모임에 빠지지 않는 술
눈 내리는 밤에는 설야멱과 소주 _77
술잔, 젓가락 늘어놓고 이웃 모두 모인 자리 _82
후원에서의 술잔치엔 삼해약주 _85
봄날 남자들의 답청놀이에는 두견주가 제격 _88
야외의 계회에 향기로운 가향주 _92
이원의 노인들 모임에는 보양주가 주인공 _96
중양절 기로연에서 국화주를 올리다 _100
야외의 계회에서 즐긴 솔송주 _104
소박한 모임엔 소박한 막걸리 _108

5장 주막과 술집
정조 때 채제공이 말하는 술집의 모습 _116
이상 사회의 중심에 자리 잡은 『태평성시도』 속 술집 _119
흥겨운 행사에 등장한 잔술 파는 남자 _122
밥과 술을 함께 해결한 조선시대 주막 _125
시골 주막의 한가로운 맛 _129
주막 막걸리 한 사발에 세상 풍문이 나돌고 _133
금주령에도 항아리엔 넘치는 청주 _137
기방은 술을 파는 술집으로 변모한다 _141
구한말의 색주가 술 풍경 _144
번지 없는 주막, 흡사 정처럼 옮아오는 막걸리 맛 _149

책을 덮으며, 우리 민족에게 술은 무엇인가? _155
참고문헌 _160

저자소개

정혜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늘 소설 읽기를 좋아하다 소설 속 음식 이야기를 엮은 이 책으로 꿈을 이루었다고 생각한다. 현재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명예교수이며, 고려대학교 객원교수로 음식 인문학을 강의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식생활문화학회 회장과 대한가정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대학에서 서구 영양학을 공부했지만 한식 요리를 배우면서 한국 음식 문화와 역사 그리고 과학성에 매료되었다. 30년 이상 학생들과 함께 호흡하면서 한국의 밥, 채소, 고기와 생선, 장, 전통주 문화에 관한 연구와 고조리서 연구, 종가음식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음식 연구를 지속해 왔다. 이 밖에도 한식의 과학화를 위해 김치 품질 측정기, 기능성 솔잎 맛김, 한방맥주, 닭발을 이용한 전약 제조 등 제품 특허를 받기도 했다. 《서울의 음식문화》를 시작으로 《한국음식 오디세이》(2007 세종도서 교양부문), 《천년 한식 견문록》, 《정혜경 교수가 들려주는 우리 음식 이야기》, 《조선 왕실의 밥상》(2019 세종도서 교양부문) 등을 썼고, ‘음식 4부작’으로 《밥의 인문학》(2015 세종도서 교양부문), 《채소의 인문학》(2018 국립도서관 사서 추천), 《고기의 인문학》(2020 세종도서 교양부문), 《바다음식의 인문학》을 펴냈다. 이 밖에 《옛 그림 속 술의 맛과 멋》, 《세계의 한식을 맛보다》 등 식문화에 관한 글을 여럿 썼으며 공저로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 《한국인에게 장은 무엇인가》, 《한국인에게 막걸리는 무엇인가》, 《식생활 문화》, 《선비의 멋 규방의 맛》, 《한국 음식문화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