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학이 차린 밥상

문학이 차린 밥상

(소설로 맛보는 음식 인문학 여행)

정혜경 (지은이)
드루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문학이 차린 밥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학이 차린 밥상 (소설로 맛보는 음식 인문학 여행)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72173364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4-06-12

책 소개

현대 문학 대표 소설 《혼불》, 《미망》, 《토지》, 대표 근대 작가 이상과 심훈 작품 그리고 판소리 다섯 마당으로 읽어 보는 문학 속 우리 음식 이야기다. 문학에는 인생이, 철학이, 인간이 들어 있다. 그리고 그 속에는 수천 년의 우리 음식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목차

지은이의 말
들어가며: 문학과 음식

1장. 최명희 《혼불》: 전통이 담긴 전라도 음식 혼(魂)

-한국 음식의 본향 전라도 일상식
정성이 담긴 일상 보양식 죽
생명을 연장시킨 구황 식재료 쑥·송기·콩깻묵
산후 보양식 가물치 고음
천혜의 물맛이 낳은 콩나물과 청포묵
음식의 기본이 되는 장

-전통 놀이 속 세시 풍속 음식
봄의 향기 화전놀이와 꽃지짐
가을의 정취 단풍놀이와 국화주

-삶을 관통하는 통과 의례 음식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삼신상
다복을 축원하는 첫돌상
화합과 번창을 기리는 잔칫상
사자를 기복하고 영접하는 사자상
망자를 위로하고 애도하는 제사상

2장. 박완서 《미망》: 그리운 그곳 잊힌 개성 음식 미(美)

-화려한 음식 문화를 꽃피운 개성
풍부하고 다양한 식재료
일상 음식이자 잔치 음식 돼지고기
개성을 대표하는 귀한 식재 인삼
동네 사람들과 정을 나누는 탕
발효 저장 음식의 발달

-오랜 음식 문화에 담긴 음식 철학
정성껏 마음 들인 정갈함
웃고명 장식의 화려함
음식에 담은 사회적 기능

-음식을 둘러싼 개성의 풍경
개성상인과 개성 인삼
잔치 음식과 공동체 의식
독상 차림과 손님 접대

3장. 박경리 《토지》: 향토 내음 가득한 경상도 음식 향(香)

-지리산과 남해를 품은 하동
여름철 별미이자 보양식 콩국수
속 달래 주는 호박풀떼기
귀한 술과 안주로 제격인 매화주와 어포
사시사철 다양한 나물류

-간도 한인 사회 속 해산물
제사상에는 반드시 탕국
바로 잡아 바로 먹는 생선회
말려 두고 먹는 건청어

-풍성한 식재료가 가득한 진주
선짓국과 함께 먹는 진주비빔밥
각종 경조사에 빠지지 않고 올라간 떡
천혜의 조건이 만들어 낸 과일
여름철 시원하게 즐긴 챗국

-산해진미를 즐긴 음식 문화
아름다운 참꽃술과 흔했던 꿩고기
구수한 맛이 일품인 시래깃국
버릴 것 하나 없는 알짜 생선 대구
제철에 잡은 생선으로 만든 자반 고기

-밥상에 자주 올라간 단골 반찬
시원하면서도 구수한 홍합 된장찌개
군침 돌게 하는 된장 속 콩잎장아찌
그 시대 간편 음식 미역 설치국

4장. 박경리 《토지》: 아픔이 서려 있는 일제 강점기 음식 한(恨)

-구한말 경제난과 구황 작물
꽁보리밥과 싸라기밥마저 귀했던 시기
힘겨운 삶을 지탱한 보리죽, 시래기죽, 강냉이죽
산과 들에서 캐낸 칡뿌리와 고구마

-일제 강점기 속 사라진 우리 음식 문화
농촌 붕괴 그리고 도시화와 매식 문화
전통주 말살과 밀주 제조
일제의 식량 수탈과 소작농 몰락

-활발한 외래문화 유입과 음식 교류
중국에서 건너온 호떡과 배달 요리
일본인들의 상권 확대와 양과자점
동경 유학파의 엘리트 문화와 서양 음식

5장. 이상과 심훈: 문화 대격동 근대 시기 음식 반(反)

이상 작품 속 음식 미학
심훈 《상록수》 속 음식 담론
이상과 심훈이 사랑한 한식

6장. 판소리 다섯 마당: 그 시대 삶을 읽어 내는 민중 음식 정(情)

《춘향전》 화려한 음식 잔치
《심청전》 효를 상징하는 음식
《흥보전》 배불리 먹고 싶은 소망
《토끼전》 바다 음식의 향연
《적벽가》 음식은 힘과 권력의 상징

나가는 글
참고문헌

저자소개

정혜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늘 소설 읽기를 좋아하다 소설 속 음식 이야기를 엮은 이 책으로 꿈을 이루었다고 생각한다. 현재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명예교수이며, 고려대학교 객원교수로 음식 인문학을 강의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식생활문화학회 회장과 대한가정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대학에서 서구 영양학을 공부했지만 한식 요리를 배우면서 한국 음식 문화와 역사 그리고 과학성에 매료되었다. 30년 이상 학생들과 함께 호흡하면서 한국의 밥, 채소, 고기와 생선, 장, 전통주 문화에 관한 연구와 고조리서 연구, 종가음식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음식 연구를 지속해 왔다. 이 밖에도 한식의 과학화를 위해 김치 품질 측정기, 기능성 솔잎 맛김, 한방맥주, 닭발을 이용한 전약 제조 등 제품 특허를 받기도 했다. 《서울의 음식문화》를 시작으로 《한국음식 오디세이》(2007 세종도서 교양부문), 《천년 한식 견문록》, 《정혜경 교수가 들려주는 우리 음식 이야기》, 《조선 왕실의 밥상》(2019 세종도서 교양부문) 등을 썼고, ‘음식 4부작’으로 《밥의 인문학》(2015 세종도서 교양부문), 《채소의 인문학》(2018 국립도서관 사서 추천), 《고기의 인문학》(2020 세종도서 교양부문), 《바다음식의 인문학》을 펴냈다. 이 밖에 《옛 그림 속 술의 맛과 멋》, 《세계의 한식을 맛보다》 등 식문화에 관한 글을 여럿 썼으며 공저로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 《한국인에게 장은 무엇인가》, 《한국인에게 막걸리는 무엇인가》, 《식생활 문화》, 《선비의 멋 규방의 맛》, 《한국 음식문화사》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혼불》에는 조선 시대 명문가의 죽 만드는 풍습과 전통이 고스란히 재현되어 그 모습을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소설에는 죽 하나를 두고도 많은 이야기를 전한다. 실제로 밥은 아무나 해도 죽은 아무나 못 쑨다고 하면서 집안 가장인 이기채의 죽과 미음만은 언제나 딸인 효의가 손수 준비한다. 건강한 사람도 밥에 질리면 때로 한 끼는 죽 먹는 것이 입맛에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양갓집에서는 자릿조반이라 하여 조반 대신 맛깔스러운 흰죽을 올리기도 하며, 초례를 갓 치른 신랑 신부가 첫날밤을 새우고 나면 이른 새벽에 잣죽이나 깨죽을 들여 넣어 주는 것이 관습이었다.
- 정성이 담긴 일상 보양식 죽


《미망》 속에서 빈번히 등장하며 개성 음식 문화를 대표하는 음식이 바로 편수다. 변씨만두라고도 불리는 편수는 살찐 늙은 닭을 고아 다져 잣가루를 많이 넣어 밀가루 반죽을 한다. 그리고 얇게 민 밀가루 반죽을 귀나게 썰어 귀로 싼 다음 닭 곤 물에 삶아 초장에 찍어 먹었다고 한다. 얇게 민 만두피와 곱고 어여쁘게 빚은 만두 모양에서 우리는 개성 음식의 정성 들인 정갈함을 엿볼 수 있다.
- 정성껏 마음 들인 정갈함


《토지》에서는 된장에 묻어 둔 콩잎 한 접시를 보고 군침을 삼키며 콩잎 하나를 밥 위에 얹어 먹는다는 표현이 나온다. 이처럼 된장에 묻어 둔 콩잎장아찌는 짭조름한 맛과 향이 입에 군침을 돌게 하여 예로부터 기호도가 높았다. 경상도에서는 콩잎장아찌를 단풍콩잎장아찌라고 부르는데, 이는 단풍이 든 콩잎을 따서 장아찌로 만들기 때문이다. 늦가을 서리가 내린 후 낙엽이 들 때 콩잎을 따서 된장에 파묻는다. 그런 다음 누렇고 부드러워질 때까지 삭혀서 양념에 버무려 먹는 남도 농촌의 별미 반찬이다.
- 군침 돌게 하는 된장 속 콩잎장아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2173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