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 구법승과 인도의 불교 유적

동아시아 구법승과 인도의 불교 유적

(인도로 떠난 순례자들의 발자취를 따라)

주경미, 강희정, 이태승, 이주형, 남동신, 김혜원, 이영종, 하정민 (지은이)
사회평론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아시아 구법승과 인도의 불교 유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 구법승과 인도의 불교 유적 (인도로 떠난 순례자들의 발자취를 따라)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56029566
· 쪽수 : 585쪽
· 출판일 : 2009-02-28

책 소개

구법승들이 남긴 기록, 구법승들에 대한 기록 등의 문헌자료를 분석해 실제 인도의 유물/유적을 답사 연구한 결과를 담은 책이다.

목차

머리말 / 6

1부 동아시아 승려의 인도 구법행
I. 인도로 간 구법승 / 13
II. 구법승과 동아시아 불교(1) / 43
III. 구법승과 동아시아 불교(2): 현장 / 57
IV. 구법승 왕래기의 인도 불교(1): 소승과 대승 / 87
V. 구법승 왕래기의 인도 불교(2): 부파불교와 정량부 / 99
VI. 구법승 왕래기의 인도 불교(3): 구법승 기록의 인도 불교가 / 119

2부 구법승과 인도의 불교 유적
I. 마투라 / 141
II. 사르나트 / 169
III. 보드가야(1): 불교 유적 / 201
IV. 보드가야(2): 마하보리사 출토 한자 비문 / 239
V. 날란다 / 265
VI. 중인도의 불교 성지 / 299
VII. 안드라 / 347
VIII. 타밀나두 / 377
IX. 스리랑카(아누라다푸라) / 399

3부 구법승 관련자료
I. 구법행 관련 문헌 / 423
II. 구법인 일람 / 426
III. 문헌별 구법승 행적 / 452
IV. 구법승 기록에 나오는 불교 유적, 유물 / 495

참고문헌 / 534
도판목록 / 557
색인 / 564
지도 / 583

저자소개

주경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강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에서 문학박사를 취득했으며,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과 중앙아시아학회 이사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의 연구>, <대장장>, <동양미술사>(공저), <유라시아로의 시간여행>(공저) 등이 있으며, 그외에도 다수의 논저를 발표하였다.
펼치기
강희정 (감수)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동남아학 협동과정 교수. 어릴 적 어린이잡지에서 유물을 다룬 기사를 보고 매료돼 동양미술이 내 길이라고 생각했다. 30여 개국을 직접 답사하며 미술사가 고리타분하지 않은 학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누구나 쉽게 동양미술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며 동양미술 전도사를 자처한다. 동양미술의 아름다움을 한 사람에게라도 더 알리고 모두가 자신의 눈으로 이 세계를 즐길 수 있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 작업에 뛰어들었다.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서강대 동남아학 교수이자 동아연구소 소장이다. 중국과 한국 미술을 가르치고 연구하다가 한국에서는 좀처럼 발 딛지 않는 인도와 동남아시아 미술로 영역을 넓혔다. 한·중·일을 넘어 아시아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미술사학자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동양미술의 문턱을 낮추고 대중과 소통하는 데 관심이 많아 꾸준히 강연과 저술 활동에 힘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동양미술 이야기』 1~4, 『나라의 정화, 조선의 표상: 일제강점기 석굴암론』, 『동아시아 불교미술 연구의 새로운 모색』, 『클릭, 아시아미술사』, 『해상 실크로드와 문명의 교류』, 『아편과 깡통의 궁전』, 『신이 된 항해자: 21세기 말레이 세계의 정화 숭배』, 『도시로 보는 동남아시아』, 『인물로 읽는 동남아』 외에도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태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성불교연구원 원장. 전 위덕대 불교문화학과 교수. 일본 고마자와(駒澤) 대학에서 불교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시절에 만났던 『반야심경』을 여전히 삶의 일부로 여기고 살아가고 있다. (사)한국불교연구원 원장, 일본인도학불교학회 이사, 인도철학회 학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2022년에 제11회 청송학술상을 수상했다. 『실담자기와 망월사본 진언집 연구』(공저), 『을유불교산책』, 『샨타라크쉬타의 중관사상』, 『폐불훼석과 근대불교학의 성립』 등 다수의 저서와 역서,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주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미국 버클리대학 미술사학과에서 인도미술과 불교미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버클리대학 누마타불교학 초빙교수를 지냈고,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회장, 한국중앙아시아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간다라미술>(2003, 사계절), <아프가니스탄, 잃어버린 문명>(2004, 사회평론), <인도의 불교미술>(2006, 사회평론)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남동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원효의 대중교화와 사상체계’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덕성여대를 거쳐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 고·중세의 불교사 및 문화사를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박물관장과 한국사상사학회장을 지냈다. 역사 전공자로서 전통적인 문자자료, 그중에서도 특히 금석문 자료의 정확한 판독과 역주에 주력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와서는 중세 지성사, 동아시아 불교사, 불교미술사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면서 문자자료와 더불어 시각자료를 활용하기 위한 학제 간 교류와 연구에 힘쓰고 있다. 장기적으로 한국사에 대한 근대적인 인식을 극복하고 한국적 연구 모델을 정립하는 데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 『원효』, 『역주 한국고대금석문』(공역), 『대동금석서 연구』(공저), 『동아시아 구법승과 인도 불교 유적』(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자장의 불교사상과 불교치국책」, 「전환기의 지식인, 최치원」, 「목은 이색과 불교 승려의 詩文 교유」, 「여말선초의 僞經 연구」, 「금석청완 연구」, 「혜초 『往五天竺國傳』의 발견과 8대탑」, 「천궁으로서의 석굴암」, 「삼국유사의 성립사 연구」, 「교감 역주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원각사13층탑에 대한 근대적 인식과 오해」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에서 중국미술사를 공부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사로 재직 중이며, 한국 미술을 포함한 동양 미술의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영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강사.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한국민속촌 박물관장을 지냈다. 불교미술(회화)이 전공이다. ‘조선시대 팔상도의 도상적 연원과 전개’(1995), ‘通度寺 靈山殿의 벽화 편년 再考(2008)’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하정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강사.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불교미술 전공으로 인도 및 중국 불교미술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중국 法界像에 관한 연구’(2003), ‘현장의 당 고종대 활동상과 그 의미’(2006)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