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상과 아카이빙 그리고 새로운 역사쓰기

영상과 아카이빙 그리고 새로운 역사쓰기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역사영상융합팀)

쑨커지, 김려실, 양정심, 서단, 박희태, 쥬시 피자노, 미사와 마미에, 오세미, 츠치야 유카, 박선영, 정지혜 (지은이), 허은 (엮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0원
2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영상과 아카이빙 그리고 새로운 역사쓰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상과 아카이빙 그리고 새로운 역사쓰기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역사영상융합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59339143
· 쪽수 : 355쪽
· 출판일 : 2015-08-31

책 소개

2014년 7월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역사영상융합연구팀이 주관했던 국제학술회의 <영상과 아카이빙 그리고 새로운 역사쓰기>의 결과물. 영상과 역사의 결합을 다각도로 시도하고 있다.

목차

1부 영상자료의 수집과 활용, 현황과 과제
1. 기록영상물의 공공재화와 영상역사 쓰기의 새로운 모색: ‘제국-국민국가’ 서사의 너머 보기와 ‘공중(公衆)의 역사’ 쓰기
2. 사료로 인정받기까지 아카이브의 긴 여정 : 프랑스의 경우
3. 영상역사연구의 쟁점들

2부 영상과 역사 - 식민과 제국
1. 대만 영화사에서의 ‘식민지와 제국, 탈식민지주의’
2. 식민지 조선의 문화영화와 그 기원 : 조선총독부 제작 문화영화를 중심으로
3. 의례, 역사, 사건의 재구성 : 고종 장례와 역사 쓰기

3부 영상과 역사 - 냉전과 동아시아
1. 중국 다큐멘터리와 조선전쟁
2. ‘원자력의 혜택’을 세계로 : 냉전 초기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과 관련한 미국 공보원(USIS) 영화에 대해서
3. 프레임 속의 전쟁 : 국립영화제작소와 국군영화제작소의 베트남전쟁 영화를 중심으로

4부 영상과 역사 - 분단과 ‘지체된 전후’
1. 영상기록물에 담긴 ‘해방공간’과 저항의 시간들
2. 내셔널 히스토리 사이에서 : 전후 일본 텔레비전이 그린 한국인 BC급 전범 문제

저자소개

쑨커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복단대학(復旦大學) 역사학과 교수. 중국 하남대학(河南大?) 역사학부를 졸업하고, 화동사범대학(???范大?)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大韓民國臨時政府在中國》,《上海韓人社會史:1910~1945》(한국판),《上海韓人社會硏究:1910~1945》등과 편저작으로《한국연구논총 8》, 《근대중국간행물과 한국》등이 있으며, “大韓民國臨時政府與法租界”, “近代上海居住韓人的法律地位與韓人社會的司法問題” 등이 있다.
펼치기
김려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일본 교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토대학 인문학연구소, 호주 UNSW 한국연구소(KRI), 미국 UC 샌디에이고(UCSD) 역사학부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과 매체연구’, ‘대중서사론’, ‘영상문학의 이해’, ‘시나리오론’, ‘문학과 영상예술’, ‘동아시아평화인문학’, ‘동아시아평화문화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동아시아 냉전문화에 관한 대표 연구 업적으로는 저서 『문화냉전-미국의 공보선전과 주한미공보원 영화』(현실문화연구, 2019), 공저 『사상계, 냉전 근대 한국의 지식장』(역락, 2020), 역서 『문화냉전과 아시아-냉전연구를 탈중심화하기』(소명출판, 2012), 『냉전의 폐허-미국의 정의와 일본의 전쟁범죄에 대한 태평양횡단 비평』(부산대 출판부, 2023) 등이 있다. 동아시아의 전쟁과 영화 미디어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연구한 저서로 『일본 영화와 내셔널리즘』(책세상, 2005), 『투사하는 제국 투영하는 식민지』(삼인, 2006), 『만주영화협회와 조선영화』(한국영상자료원,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양정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 출신으로 성균관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 대진대, 배재대, 교원대 등에서 강의했고, 현재 이화여재 이화사학연구소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주도세력을 통해서 본 제주4.3항쟁의 배경」 「제주4.3특별법과 양민학살 담론, 그것을 뛰어넘어」 「제주4.3항쟁의 기억투쟁」 「미군정.이승만 정권의 제주4.3항쟁에 대한 인식」 「제주4.3항쟁과 레드콤플렉스」등이 있다.
펼치기
서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푸단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이며 근대중한관계사를 전공한다.
펼치기
박희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폴 발레리 몽펠리에 제3대학에서 영화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에서 코어사업을 담당했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에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10월의 위기’를 기억하는 퀘벡 영화의 재현 형태」 등이, 옮긴 책으로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다큐멘터리와 그 아류들』(공역)이, 지은 책으로 『Les variations Hong Sang-soo』(공저)가 있다.
펼치기
쥬시 피자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루이-뤼미에르 국립 고등영상원 교수.
펼치기
미사와 마미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니혼대학 인문과학대 중문학과 교수
펼치기
오세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 아시아 언어문화대학 조교수
펼치기
츠치야 유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에히메대학(愛媛大?) 국제학 교수
펼치기
박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영화사 연구자.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펼치기
정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토대학교 총합인간학부에서 공부하고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에 교환학생으로 유학한 후, 도쿄대학교 대학원 학제정보학부 박사과정에 재학중에 있다.
펼치기
허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6년 김포에서 태어났다. 6월항쟁을 겪은 뒤 현대사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8년 박사학위논문을 개고한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족주의: 냉전시대(1945-1965) 문화적 경계의 구축과 균열의 동반』을 출간한 뒤, 최근까지 박정희 시대 민주화운동과 분단국가체제, 동아시아 문화냉전에 관한 연구를 해왔다. 영상자료 아카이빙을 통해 역사연구를 확장하는 데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공저로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6월 민주항쟁: 전개와 의의』, 편저로 『냉전분단시대 한반도의 역사 읽기: 분단국가의 수립과 국제관계』 『영상, 역사를 비추다: 한국현대사 영상자료해제집』 『동아시아 냉전의 문화』(공편)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