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의 문헌 교류 (16~18세기 한.중.일 서적의 전파와 수용)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56269931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14-05-25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56269931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14-05-25
책 소개
중세시대 동아시아에서 책이 국경을 넘는 과정과 그 양상, 그리고 그렇게 전파된 책이 동아시아 각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선택한 키워드는 바로 ‘서책의 형태’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조선 후기 중국서책의 수용과 형태 인식/조계영
머리말
1. 책지(冊紙)의 크기와 도침(搗砧)
2. 서책의 장황(粧?)과 능화문(菱花紋)
3. 서책의 취급과 보관
맺음말
16세기 말 17세기 초 명대 서적 수입의 배경/장유승
머리말-왜 수입하였는가?
1. 임진왜란과 문헌교류
2. 종계변무와 문헌교류
맺음말
<당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와 <당송팔가문독본(唐宋八家文讀本)>의 동아시아에서의 유통과 수용/당윤희
머리말
1. 중국 명대와 청대 당송팔대가 고문 선집의 성행
2. <당송팔대가문초>의 조선에서의 유통과 수용
3. <당송팔가문독본>의 일본에서의 유통과 수용
맺음말
동아시아 <문헌통고(文獻通考)>의 전파와 유통 /이유리
<막부서물방일기(幕府書物方日記)>에 나타난 16세기 조선본 <문헌통고>
머리말
1. 18세기 막부와 출판문화
2. 막부 소장본이 된 조선본
3. 모미지야마 문고 소장 <문헌통고>
4. <문헌통고>에 대한 기록과 실재
맺음말
조선 후기 <세설신어> 간행과 유전(流傳)의 문화사적 의미/노경희
머리말
1. 중국의 <세설신어> 간행과 중국본의 조선 유입
2. <세설신어>의 조선 간행본
3. <세설신어> 간행과 유전의 문화사적 의미
연구진 소개
간행사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