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 기록문화의 역사와 구조 1

조선 기록문화의 역사와 구조 1

(지식에서 기록으로)

정병설, 정긍식, 정호훈, 박현순, 황재문, 조계영, 이영경, 김시덕 (지은이)
소명출판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 기록문화의 역사와 구조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 기록문화의 역사와 구조 1 (지식에서 기록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문화예술사
· ISBN : 9788956269955
· 쪽수 : 305쪽
· 출판일 : 2014-05-25

책 소개

'규장각학술총서' 3, 4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은 2008년부터 '조선의 기록문화와 법고창신의 한국학'이란 아젠다를 내걸고 전근대 한국의 기록문화로부터 21세기 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한국학의 방향과 방법론을 모색하고 있다. 이 책은 바로 그 결과물 중 일부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조선시대 <역대군감>.<역대신감>의 수용 양상과 특징/조계영
머리말
1. <역대군감>.<역대신감>의 수용
2. 현전본 <역대군감>.<역대신감>의 특징과 가치
맺음말

영조대의 교화서 간행과 한글 사용/이영경
머리말
1. 기존 교화서의 개역 및 중간
2. 어제류 훈서의 간행
맺음말

<규장총목(奎章總目)>과 18세기 후반 조선의 외래지식 집성/정호훈
머리말
1. <규장총목>의 성립과 구성
2. <규장총목> 수록 서책과 해제의 태도
맺음말

<수교등록(受敎謄錄)>의 내용과 가치/정긍식
머리말
1. <수교등록>의 체재 및 구성
2. 수교의 행이 과정
3. 사료적 가치
맺음말

조선 후기 양안(量案)의 작성과 활용/박현순
머리말
1. 양안과 행심책(行審冊)
2. 토지 소유주의 양안 활용
맺음말

점책[易書]으로 상통하는 동아시아/김시덕
<당사주>라는 키워드
머리말
1. 선행연구
2. 한국의 <당사주>
3. 중국의 <연금두수삼세상>과 <당사주>
4. 일본의 <대역단례복서원귀>
5. <당사주>와 <대역단례복서원귀>의 도상 비교
맺음말

<만국사물기원역사>의 성립 과정과 지식 체계의 특성/황재문
머리말
1. 지식의 유래에서 본 성립 과정
2. 서술 체제의 특성과 의미
3. 편찬 배경으로서의 문화적 맥락
맺음말

‘도서원부’를 통해 본 경성제국대학 도서관의 한국고서 수집/정병설
머리말
1. 도서원부에 대하여
2. 고서 수집 환경
3. 한국인 고서상
4. 주요 자료
5. 일실 자료
맺음말

초출일람
연구진 소개
간행사

저자소개

정병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문과 교수. 한글소설을 중심으로 주로 조선시대의 주변부 문화를 탐구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동학, 특히 해월 최시형의 사상에 눈을 떴고, 바로 이어진 1년간의 베를린 안식년 체류에서 동학의 시각으로 독일 사회를 바라보면서 민주주의에 이르렀다. 이 책은 한국 사회가 어떻게 하면 시민이 주인되는 진정한 민주주의에 이를 수 있을지 그 길을 고민한 결과물이다. 지은 책으로 국문학자의 시선으로 우리 땅 곳곳의 숨은 역사와 문학을 탐구한 『나의 문학 답사 일지』, 조선시대 소설의 향유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사도세자의 죽음을 입체적으로 해석한 『권력과 인간―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음담에 나타난 저층 문화의 성격을 밝힌 『조선의 음담패설―기이재상담 읽기』, 그림과 소설의 관계를 연구한 『구운몽도―그림으로 읽는 구운몽』, 기생의 삶과 문학을 다룬 『나는 기생이다―소수록 읽기』 등이 있으며, 『한중록』 『구운몽』 『춘향전』 등을 번역했다.
펼치기
정긍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법학박사(서울대학교) 한국법제연구원 선임연구원 한국법사학회 · 한국고문서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원 교수(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장(현) 주요 논저 『조선시대 제사승계의 법제와 현실』, 『한국 가계계승법제의 역사적 탐구』, 『조선의 법 치주의 탐구』, 『조선시대 법령 DB의 구축과 활용』(공저), 『근대법학 120주년』(공저), 「조선 후기 중국 법서의 수용과 활용」, 「조선 전기 ≪唐律疏議≫의 수용과 활용」, 「조선후기 刑曹受敎와 입법경향」, 「1907년 中樞院 <민법 입법요강>」 등.
펼치기
정호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7세기 北人系 南人 學者의 政治思想》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이다. 저서로 《朝鮮後期 政治思想 硏究》, 《조선의 《소학》: 주석과 번역》, 《교화와형벌: 조선의 범죄대책과 《경민편》》이 있고, 역서로 《선각》, 《대학연의》(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황재문 (편역)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부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장지연·신채호·이광수의 문학사상 비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술로는 『안중근 평전』, 『만국사물기원역사』(역주), 『(가람)일기 1』(번역), 「두문동(杜門洞) 72현 일화 연구」, 「A Re-assess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Chang Hon’s Instructional Texts」 등이 있다.
펼치기
조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대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해 석사학위를 받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과에서 「조선왕실 봉안 서책의 장황과 보존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책임연구원을 역임하고, 현재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이다. 의궤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물질문화와 의례를 접목한 책의 문화사를 규명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 「건릉 봉안 서책과 규장각의 역할」, 『적상산사고의 운영과 봉안 자료 연구』(공저), 「영조 연간의 『改修日記』와 일기청 운영의 실상」 등이 있다.
펼치기
김시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0대 시절 강남 3구에 두루 살아보는 경험을 했다. 강남 개발이 한창이던 때였기에, 도시의 변화가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 삶을 어떻게 바꾸는지 똑똑히 볼 수 있었다. 그렇게 ‘도시’라는 평생의 연구 주제를 만났다. 오늘날 전국을 두 발로 누비며 촬영하고 기록하는 도시 답사가이자, 온갖 기록에서 잊힌 기억을 캐내는 도시문헌학자이며, 이로써 한국인의 삶과 한국의 미래를 두루 살피는 인문학자로 활동 중이다.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학부와 석사과정을 거쳐, 일본의 국립 문헌학 연구소인 국문학연구자료관(총합연구대학원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HK연구교수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를 역임했다. 2011년 제4회 일본고전문학학술상을, 2015년 제5회 석헌학술상을, 2021년 제70회 서울특별시 문화상(학술 부문)을 받았다. 주요 저서로 ‘한국 도시 아카이브 시리즈’를 비롯해 《우리는 어디서 살아야 하는가》 《한국 도시의 미래》 《철거되는 기억》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일본인 이야기 1, 2》 《전쟁의 문헌학》 《일본의 대외 전쟁》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