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56606026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16-09-09
책 소개
목차
서문
서곡 미로 속에서
1부 조건적 자유
1장│무엇을 행하기, 무엇을 원하기
어떻게 시작할까?
무엇을 하다: 행위의 개념
의지: 이것은 무엇인가?
2장│하고 싶은 것을 하기, 하지 않고 놔두기
행위의 자유: 기본 개념
여유 공간: 세계에서 나 자신에게로
어떤 의지를 품을 수 있는가: 의지의 특정성으로서의 한계성
3장│결정의 자유
도구적 결정
억지로 하는 행동의 패러독스
본질적 결정
상상의 힘
간격과 개입
미래가 가진 열린 가능성
“나는 다른 것을 원할 수도 있다”
4장│부자유의 경험
표류자
숙고의 과정이 생략된다면
생각의 들러리
강박적 의지
통제하지 못하는 자
강요된 의지
“이렇게 할 수밖에 없어!”? 부자유의 증표
5장│부자유를 재는 척도로서의 시간 경험
밋밋하게 흐르는 표류자의 시간
예속된 자의 낯선 시간
생각의 들러리의 스치듯 흐르는 지루한 시간
강박 의지의 소유자의 유예된 시간
협박당하는 자의 건너뛴 시간
첫 번째 간주 개념 이해하기, 경험 이해하기
2부 무조건적 자유
6장│무조건적 자유: 동기
자유만으로 충분한가?
무조건적으로 자유로운 의지: 막연한 개념에 대한 첫 번째 지식
두 개의 고찰
무능력으로서의 조건성
돈키호테적 숙고
부자유스러운 의지로서의 결단적 의지
주체 됨이 무너질 때
줏대 없는 개념으로서의 책임
무의미한 고문으로서의 도덕적 감정
그냥 원하고 그냥 행하는 것
내적 소실점
이제 그 다음은?
7장│무조건적 자유: 신기루
분리되어 나간 의지: 악몽
무조건적 의지의 개념적 붕괴
풀어야 할 과제
감금하는 언어
숨은 난쟁이
8장│안으로부터의 자유, 밖으로부터의 자유
상상: 효과적 가능성
핵심에 집중하기
색깔 없는 자유
투명한 자유
숙명론자가 망각한 것
9장│삶의 이야기와 책임 ? 라스콜리니코프와 재판관
재판의 개시
말꼬투리 잡고 싸우지 않기
만들어진 책임
변명
난제
빗나간 한 수
올바른 공격
후회란 무엇인가?
두 번째 간주 개념 오해하기, 경험 오해하기
3부 습득된 자유
10장│의지의 습득
개념
표현된 의지로서의 자유의지
이해된 의지로서의 자유의지
허락된 의지로서의 자유의지
흐르는 자아의 변동하는 자유
11장│자기 결정의 단면들
의지의 독립성과 타자
열정적 자유
통속적 의지
고집
후주곡 철학적 놀라움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철학적 정확성을 꾀하는 정확한 책을 만들고 싶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전문 서적의 전쟁터 한가운데로 독자를 끌고 가는 힘든 책, 즉 학술 서적이 되게 하고 싶지는 않았다. 다른 저자들의 글에 대해 왈가왈부하지 않고 그저 현상과 사상에 대해서만 논하는 책을 쓰고 싶었다는 뜻이다. (중략) 주제가 포기하고 싶을 정도로 복잡한 만큼 불필요한 외래어나 철학적 전문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막힘없이 흐르는 단순한 언어로 쓰고 싶었다. 그리고 그 시도가 성공한 것 같아 속 시원하다! _〈서문〉 중에서
노파를 제거하려는 마음을 먹게 했던 원인이 물론 한 가지는 아닐 것이다. 그의 행위에는 수긍되는 면이 분명 존재한다. 그렇지만 그는 자기가 정말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르기 위해 여러 가능성들을 서로 비교하며 저울질할 수도 있었다. 자신이 처한 처지에서 다른 출구를 찾아 나갈 수도 있었을 것이다. 가정교사 자리를 그만두어야 했을 때 끈질기게 다른 일거리를 찾아 나설 수도 있었고 그 아무리 굴욕적이고 자존심이 상한다 하더라도 여동생의 혼인이 어떻게 진행돼가는지 일단 지켜볼 수도 있었을 것이다. 아니면 아무리 형편이 어려워도 절대 사람은 죽이지 않겠다고 다짐할 수도 있었다. 그는 이렇듯 여러 다른 방향으로 행동할 수 있었다. 그도 또한 자기 행동의 장본인이자 주체였기 때문이다. _ 〈서곡 미로 속에서〉 중에서
자신의 의지에 관해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은 고통이다. 나는 이 고통이 어디에 근거한 것인지를 알고 싶었다. 특정한 상황에 처한 등장인물을 소개하면서 나는 여러분이 최면을 걸듯 스스로 그 상황 속의 인물이 되는 상상을 통해 내적 인식이 여러분 각자에게 드러내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기회를 마련했다. 그다음에는 이러한 경험의 세분화를 어떻게 개념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제안을 내놓았다. “맞아! 나라고 해도 이럴 것 같아!” 이런 정도의 반응을 기대하면서 말이다. _ 〈첫 번째 간주 개념 이해하기, 경험 이해하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