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비평
· ISBN : 9788957690604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07-06-07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1장 대이주
1. 기원의 땅
2. 선구자적 문학가들-헤세와 만
3. 친화력
2장 영국의 철학 : 대이주의 서곡
1. 영국의 특수성
2. 비트겐슈타인 : 빈 시절
3. 비트겐슈타인 : 케임브리지 시절
3장 파시즘 비판
1. 최초의 시각 : 보르게세, 만하임, 프롬
2. 살베미니 : 학문과 논쟁 사이에서
3. 노이만 : 마르크스주의와 자유민주주의 사이에서
4. 아렌트와 '전체주의'의 위협
5. 우익급진주의
4장 대중사회 비판
1. 헤겔로의 귀환
2.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 미국 시절
3.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 전후의 논쟁
4. 마르쿠제의 행복관
5. 마르크스에서 프로이트로, 프로이트에서 마르크스로
5장 자아심리학의 출현
1. 프로이트 좌파, 우파, 중도파
2. 하르트만과 '갈등 없는' 영역
3. 에릭슨과 <정체성>의 의미
4. 가지 않은 길
6장 결론 : 대변혁
1. 망명과 냉전
2. 악마적인 것에서 평범한 것으로 : 파우스트와 아이히만
3. 100주년 기념제들
4. 전형으로서의 틸리히 : 융합, 오해, 변형
개역판 역자 후기
역자 후기
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역사와 계급 의식>은 지하에서 계속 명성을 더해가고 있었다. 그리고 인간사회에 관한 자신의 독창적인 개념을 정식화하려는 청년 마르크스의 모색을 담고 있는 <1844년의 경제-철학 수고>가 1930년대 초에 출판됨으로써 루카치의 주장은 사후에나마 정당성을 확인받게 되었다.
사랑스런 셸링과 키에르케고르를 결혼시킨다는, 특이하고도 남들이 생각지 못하던 일을 틸리히는 자신의 천재적인 능력으로 해냈다. 비슷한 방식으로 그는 완전히 이색적이고 불안한 존재였던 니체를 진정한 미국적 전통에 결합시키는 데 성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