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바라기 노리코의 한글로의 여행

이바라기 노리코의 한글로의 여행

이바라기 노리코 (지은이), 박선영 (옮긴이)
뜨인돌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바라기 노리코의 한글로의 여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바라기 노리코의 한글로의 여행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외국인이 본 한국
· ISBN : 9788958073222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0-10-05

책 소개

공선옥 소설의 모티브가 되기도 한 ‘내가 가장 예뻤을 때’라는 시로 전후 일본 문단을 사로잡은 여성 시인, 이바라기 노리코. 그녀의 눈에 비친 한국인, 한국문화, 한국어 이야기. 근대와 현대의 풍경이 상존하던 한국의 70년대, 다듬어지지 않은 한국인 특유의 풍취와 멋, 다감한 모습들이 시인의 섬세한 감성으로 그려진다.

목차

1. 한글과의 행복한 씨름
왜 하필 한국어냐고요?
‘조선이냐 한국이냐’, 나라 명칭에 대한 인식 차이
내 인생 최고의 스승, 김유홍 선생님
한국어 학당의 1세대 개척자들
한국어를 배우는 ‘유별난’ 일본인

2. 일본어와 한글 사이
한글의 독특한 매력과 저력
한국어는 일본어에 비해 억양이 단조롭다?
삼국 삼색, 한자 독음의 삼국지
‘밥’과 ‘진지’의 차이
일본어는 명사의 천국
한국어는 의성어와 의태어의 천국
일본 사투리와의 묘한 앙상블
‘이모’, 연인의 다른 이름
‘당신’일까 ‘선생님’일까

3. 일상 속 한국어 염탐기
“북두칠성이 앵돌아졌다?”
깜찍하고 기발한 생활 속 일상어들
가을날의 언어 축제, 한글날

4. 여행길에 마주친 풍경
대전에서 만난 한 군
부여의 참새
“지금 몇 시예요?”
스트레스 해소에도 남녀유별!
식사는 ‘푸짐하게, 절도 있게, 신명나게’!
마늘과 김치, 잡채의 비밀

5. 역사에 깃든 한국문화의 표상들
그칠 줄 모르는 스테미나의 꽃, ‘무궁화’
칠석의 전설, ‘까치’
생활에 스민 미학 정신, ‘멋’
8.15와 6.25
한국의 흙이 된 일본인, 아사카와 다쿠미
비운의 청년 시인, 윤동주

저자소개

이바라기 노리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사카 출신의 시인으로 제국여자약전(현 토호東邦대학) 약학부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 제국 극장에서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을 보고 극작가의 길을 걷기로 결심, 희곡·동화 등을 쓰면서 문단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결혼 후, 잡지 등에 시를 투고하면서 시인으로 활동했다. 전후 일본인들의 무력감과 상실감을 담아낸 「내가 가장 예뻤을 때」란 시로 평단과 대중을 사로잡으며 일본을 대표하는 여성 시인으로 자리매김했다(국내에선 공선옥 소설의 표제로 사용되기도 했다). 윤동주 시인에 대한 관심을 계기로 한글을 배우기 시작했고, 한국 문학의 번역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1955년 『대화』를 시작으로 『보이지 않는 배달부』 『진혼가』 등을 발표하고, 1990년에는 『한국현대시선』이란 이름으로 한국의 명시들을 일본에 번역 출간하기도 했다. 관동대지진 때의 한국인 살해사건을 다룬 「장 폴 사르트르에게」, 고대 일본 이주민들의 차별대우를 고발한 「칠석」 등 한국을 소재로 한 시를 여럿 발표했다. 대표시집으로는 『네 감수성 정도는』 『보이지 않는 배달부』 『진혼가』 등이 있으며, 전후 여성 시인 중에서 가장 폭넓은 사회의식과 건전한 비평 정신을 보여 준 시인으로 평가 받고 있다. 특히, 일본의 우경화를 신랄하게 비판한 만년의 시집 『기대지 말고』는 일본 사회의 반민주적인 현실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환기시키며 기록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대표적인 지한파(知韓派) 시인으로 한국의 문학뿐만 아니라 문화와 풍속, 역사에도 깊은 관심을 보인 의식 있는 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펼치기
박선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국어국문과를 졸업했고, 현재 출판 기획 및 번역 활동을 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미래를 바꾸는 습관≫, ≪엄마와 아이를 위한 필라테스≫, ≪이바라기 노리코의 한글로의 기행≫, ≪신개념 공부법≫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젊어 요절한 시인에게는 특권이라고 할 만한 것이 있다. 젊음이나 순결을 그대로 동결시킨 것 같은 맑고 깨끗함이 후세의 독자까지 매료시켜 항상 수선화와 같은 좋은 향기가 풍긴다. 요절이라고 하지만, 윤동주는 사고나 병으로 세상을 떠난 것이 아니다. 1945년, 일본이 패망하기 바로 반 년 전, 만 스물일곱의 젊은 나이에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했다. 처음에는 릿쿄대학 영문과에 유학, 이윽고 도지샤대학 영문과로 적을 옮겼고, 독립 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시모가모 경찰에 붙잡혀 후쿠오카로 보내졌다.
거기서 매일 정체 모를 주사를 맞다가 죽기 직전, 모국어로 어떤 말을 큰 소리로 외친 후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그 말이 무엇인지, 일본인 간수는 알 수 없었다. 하지만 “동주 씨는 무슨 의미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큰 목소리로 외치다가 절명하셨습니다” 라는 증언은 남았다. 말하자면 일본 검찰의 손에 의해 살해당한 것이다. 통한에 대한 이해 없이는 이 시인 가까이에 다가설 수 없을 것이다. 윤동주는 일본인 스스로 그 죽음의 전모를 밝히지 않으면 안 되는 사람이었다. 그의 존재를 알았기 때문에 나도 조금씩 윤동주의 시를 번역하기 시작했는데, 그가 세상을 떠난 지 39년째가 되는 1984년에 이취향 씨에 의해 그의 시 전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완역되었다.
내 의욕은 꺾였지만, 이취향 씨의 훌륭한 번역과 연구에는 경의를 표하지 않을 수 없었다. 사랑스러운 동요까지 일본어로 읽을 수 있게 되어 너무나 기뻤다. 윤동주의 원시를 아는 사람은 예사가 아닌 노작(勞作)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윤동주의 배경을 알기 위해 철저하게 발로 걷고 조사한 그 정열에도 감동하지 않을 수 없다.
저자는 그가 유학했던 도쿄, 교토, 후쿠오카 형무소 등 그 족적을 거슬러 올라가며 80대가 된 전직 특별 고등 형사와도 만나는 등 모든 노력을 동원했지만 끝내 옥사의 진상을 밝혀낼 수 없었다고 적고 있다. 안타깝지만, 전모를 밝히고자 했던 그 실증 정신은 신뢰할 수 있다. 언젠가는 부정할 수 없는 확고한 증거를 찾아 명료해졌으면 하고 바라는 마음도 있다. 이취향 씨가 보았던 곳, 조사하는 과정에서 느낀 일본 검찰의 높은 벽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히 들을 수 있었다. 윤동주의 죽음은 40여 년 전의 일이다. 왜 그렇게 비밀주의, 은폐주의로 일관하는 것일까. 일본인이든 한국인이든 진지한 연구자에게는 자료를 더욱 많이 공개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 5장. 역사에 깃든 한국문화의 표상들, 「비운의 청년 시인, 윤동주」 中에서
- 215~217p


고대어가 남은 것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고대어 그 자체가 이웃 나라 말과 자매어였다고도 할 수 있다. 언제 분리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어, 조몬 시대라고도 야요이 시대라고도 하지만, 지금으로서는 확실히 알 수 없는 모양이다. 그저 쇼나이 지방뿐 아니라 이즈모, 호쿠리쿠, 에치고, 데와, 아키타, 쓰가루 등 동해 부근의 지방은,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이웃 나라와 깊은 인연이 있는 듯하다.
언어는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변모하지만, 의외로 보수적인 측면도 있다. 특히 방언에서 그 보수성을 찾아볼 수 있는데, 도호쿠의 쇼나이 사투리를 벗어나, 다른 지방과 대비한 부분을 살펴보면 흥미롭다.

한글 일본 방언 일본어 의미 사용 지역
-줘 얏테, 쵸 해줘 나고야
벌다 보루, 봇타나 (돈을) 벌다 각지
달리다 타리이, 후다루이 기력이 없다, 따분하다 나가노, 기후, 아이치
마려워 시코마루, 시코마리따이 화장실에 가고 싶다 아이치, 시즈오카, 나가사키, 이와테
안기다 안키다 마음이 편하다 미카와
총각 총가아 젊은 독신남 머리 모양인 ‘총각(?角)’의 음. 방언이 아 닌 공통어인지도 모른다.
바보 아호 바보 각지

언어학의 엄밀한 음운 법칙에 비춰 보면, 일본어와 이웃 나라 말이 대응되는 경우는 거의 200개 정도밖에 없다고 해서, 그 적은 수에 놀라게 되지만, 일본 각지의 방언을 포함한 대비라면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규슈 사투리나 간사이 사투리에서도 많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귀에 익숙한 말이 아니라 아무래도 내 안테나에는 걸리지 않고, 내가 자란 미카와 지방, 어머니 쪽 고향인 도호쿠 사투리만이 삐, 삐, 삐 하고 반응해 왔다. 상당수가 우연의 일치, 내 착각일지도 모르지만, 확실히 같은 뿌리라고 짐작하게 하는 것들도 있다.
초보의 방담을 겁도 없이 적는 것은 내 마음속 어딘가에, 언어는 곧 모두의 공유물이며, 언어학자만이 다룰 자격이 있는 건 아니다, 좀 더 제멋대로 떠들기도 하고 논하기도 해도 된다, 하는 생각이 잠복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웃 나라 말에도 사투리가 있고, 사전에도 실리지 않은 이들을 포함해서 생각하면 아직 발굴되지 않은 에메랄드 광맥을 어렴풋하게나마 발견한 것 같은 두근거림을 느낀다.
-2장. 일본어와 한글 사이,「일본 사투리와의 묘한 앙상블」 中에서
- 93~94p


한국의 여자들은 밥상에 앉을 때, 무릎을 세우고 앉는 것이 정식이기 때문에, 한쪽 무릎을 세운 채 밥을 먹는다. 치마 아래에는 바지 모양의 속옷을 입고 있고, 치마는 풍성하게 펼쳐지기 때문에 조금도 지장이 없지만, 청바지를 입고서도 무릎을 세운 자세로 식사를 한다. 롱스커트를 입고 있는 여성이 많은데, 이것도 평소의 식사 양식과 관계가 있을지 모른다. 치마와 롱스커트는 같은 것이다. 타이트한 스커트라면 어떻게 자세를 잡아도 곤란할 듯싶다.
일본에서는 식사 시에 자세가 밥상이나 테이블 쪽으로 가까이 기울어지는 것은 ‘이누구이(犬食い, 개처럼 고개를 숙여 먹는다는 말)’라고 하여 천히 여기는데, 왼손을 쓰지 않고 오른손만으로 식사하고 몸통이 음식 쪽으로 가까이 가 버리는 한국의 식사법은 일본의 입장에서 보면 ‘이누구이’로 보인다.
여자가 한쪽 무릎을 세우고 먹거나 하면 일본에서는 반드시 “버릇이 없구나!” 하면서 누군가의 꾸짖음이 날아들 것이 분명하다. 오랜 세월 이어진 습관이나 미의식의 차이를 가늠하다 보면, 지리적으로 가까운 나라라 하더라도 습속의 차이가 이렇게 커질 수 있다는 사실이 흥미롭게 느껴진다.
가정에서 손님을 대접할 때, 부인은 객석에 있으면서 술을 따르는 일이 없다. 대접은 오로지 주인의 몫이다. 유녀와 선을 긋는다는 의미인 모양이다. 인사를 하거나, 자리에서 잠시 대화를 나누는 정도가 손님을 대하는 주부의 몸가짐이다.
남성이 상대에게 술을 따를 때, 반드시 왼손을 오른손 팔꿈치 근처에 대는 행동도 독특한 것으로 내게는 이 행동이 굉장히 절도 있고 아름답게 여겨졌다. 옛날, 양반들이 음주를 즐길 적에 왼손으로 긴 소매를 여몄던 게 이 자세의 기원이라고 들은 적이 있다. 아마도 지금까지 남아 있는 양반의 풍속 중 하나일 것이다. 일본에서도 기모노를 입고 술을 따를 때에는 자연스럽게 그러한 모양이 된다. 양복이나 와이셔츠 차림의 남성이 해도 폼이 나는 게 보기 좋다. 거스름돈을 내밀 때 이렇게 행동했던 젊은 아가씨가 있었는데, 이 역시 아름다워 인상에 남았다.
사람에 대한 동작에는, 한손보다는 양손을 쓰는 편이 예의바르고, 게다가 양손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왼손을 살짝 오른쪽 팔꿈치에 대는 그 언밸런스한 선이 아름답다고 느끼고 나서부터는, 나 역시 이 매너를 이따금 흉내 내기도 한다.
- 4장. 여행길에 마주친 풍경, 「식사는 ‘푸짐하게, 절도 있게, 신명나게’!」中에서
- 151~152p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