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중과 전후 사이 1936-1957

전중과 전후 사이 1936-1957

(마루야마 마사오, 정치학의 기원과 사유의 근원을 읽는다)

마루야마 마사오 (지은이), 김석근 (옮긴이)
휴머니스트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전중과 전후 사이 1936-1957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중과 전후 사이 1936-1957 (마루야마 마사오, 정치학의 기원과 사유의 근원을 읽는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8623809
· 쪽수 : 688쪽
· 출판일 : 2011-02-28

책 소개

‘전후 일본 민주주의의 이론적 리더’로 불리는 마루야마 마사오가 1945년 8·15 이전에 쓴 글 25편과 이후에 쓴 글 36편, 총 61편의 글을 담았다. 일본을 대표하는 정치학자의 탄생을 예고하는 학생 논문에서부터 서평, 대화체 글, 신문기고문, 강연 내용 등 다양한 주제와 다채로운 글을 통해 젊은 시절 마루야마의 사상사적 궤적을 훑을 수 있으며, 사유 방식을 추체험할 수 있다.

목차

I. 전중 시기

1936
정치학에서의 국가 개념
1. 머리말 - 정치적 사유의 역사적 성격 | 2. 시민사회와 개인주의적 국가관 | 3. 시민적 국가의 전회 | 4. 파시즘 국가관 | 5. 맺음말

1939
카를 슈미트의 《국가 ? 운동 ? 민족:정치적 통일체의 3분지》
무타이 리사쿠의 《사회존재론》

1940
크로스만의 《치자와 피치자》

1941
하라다 고의 《정치사상사 개설》

1942
《신황정통기》에 나타난 정치관
머리말 | 이 책의 기본적 성격 | 정치의 기초 이념(그 주체적 윤리) | 정치의 객관적 목표 | 정치의 구체적 수단 | 정치 형태론 | 맺음말
후쿠자와 유키치의 유교 비판 104
1. 머리말 | 2. 전반기의 유교 비판 | 3. 후반기의 유교 비판 | 4. 맺음말 - 청일 전쟁과 유교 비판
아소 요시테루의 《근세 일본 철학사》를 읽는다 - 일본 철학은 어떻게 ‘서구화’되었는가

1943
가토 히로유키의 《강자 권리의 경쟁》
후쿠자와 유키치의 질서와 인간
기요하라 사다오의 《근세 국민의 정신생활》

1944~1945
다카하시 유지의 《쑨원》

1938~1939
신간 서평
W. Lippmann, 《The Good Society》(1937)
S. M. Rosen, 《Modern Individualism》(1937)
무타이 리사쿠, 《피히테》(1938)
R. H. S. Crossman, 《Plato To-day》(1937)
H. J. Laski, 《Liberty in the Modern State》(1937)
J. W. Allen, 《English Political Thought, 1603~1666》(Vol. 1. 1603~1644)(1938)
J. A. Leighton, 《Social Philosophy in Conflict》(1937)
나가타 히로시, 《일본 봉건제 이데올로기》(1938)
나가타 히로시, 《일본 철학사상사》(1938)
H. C. Wolfe, 《The German Octopus》(1938)
A. Huxley, 《Ends and Means》(1937)
다바타 시노부, 《가토 히로유키의 국가사상》
W. Glungler, 《Theorie der Politik, Grundlehre einer Wissenschaft von Volk und Staat》(1939)


II. 전후 시기

1945
근대적 사유

1946
니시다 다케토시의 《오시마 사다마스》
메이지국가의 사상
러셀의 《서양철학사》(근세)를 읽는다
무엇을 읽을 것인가

1947
젊은 세대에게 보낸다 - 어떻게 배우야 하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구가 가쓰난의 삶과 사상
1. 머리말 | 2. 가쓰난의 일본주의 | 3. 시사 비판 | 4. 그의 역사적 제약 | 5. 맺음말
일본에서 자유의식의 형성과 특질

1948
자유민권운동사
제1부 | 제2부 | 제3부
나카무라 아키라의 《지식계급의 정치적 입장》
일본인의 정치의식
‘문득 떠오른 감상’
모리아와세 음악회
현대 자유주의론
기차 안에서의 시국 이야기

1949 395
공부와 학문에 대한 두세 가지 조언
존 로크와 근대 정치 원리
1. 머리말 | 2. 사회적 기초 | 3. 사상적 배경 | 4. 정치적 여러 원칙 | 5. 맺음말
정치학 입문(제1판)

1950
해럴드 라스웰의 《권력과 인격》
역사와 전기
해럴드 래스키의 《현대 혁명의 고찰》
공포의 시대

1951
병상으로부터의 감상
자기 마음대로의 유추

1952
다케우치 요시미의 《일본 이데올로기》

1953
파시즘의 현대적 상황
우치무라 간조와 ‘비전’의 논리
후쿠자와 유키치
메이지 시대의 사상
스기우라 민페이의 《노리소다 소동기》
‘진보파’의 정치 감각

1955
한 요양 환자로서의 의견
마쓰다 미치오의 《요양의 설계》

1956
전쟁 책임론의 맹점
단상

1957
E. H. 노먼을 애도함
이름 없는 것들에 대한 애착 | 불관용에 둘러싸인 관용


저자 후기
역자 후기
부록 : 마루야마 마사오 연보

저자소개

마루야마 마사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학자, 사상사가, 일본 정치사상계의 거장. 1937년 도쿄대학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이후 같은 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논문집을 출간한 『일본 정치사상사 연구』는 ‘일본 정치사상사학’이라는 학문 영역의 기틀을 놓으면서 일본 근대성의 생성을 계보학적으로 밝힌 야심작이다. 그는 『‘문명론의 개략’을 읽는다』, 『충성과 반역』 등으로 이어지는 사상사 작업을 본업으로 삼았고, 이와 더불어 겸업했던 ‘야점(夜店)’으로서 「초국가주의의 논리와 심리」를 필두로 『현대정치의 사상과 행동』, 『후위의 위치에서』 등으로 이어진 현상타파적 비평 작업을 행했다. 이른바 ‘영구혁명으로서의 민주주의’ 테제를 종횡으로 직조하는 그 본점과 야점은 전후 민주주의의 진정한 정초와 착근을 위해 더불어 경영되었다. 그 과정에서 ‘지식인의 지식인’이라는 또 하나의 별칭으로 불리며 일본 지성계의 움직임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패전 51년째 되던 해인 1996년 8월 15일 타계했다. 주요 저작으로 『정치의 세계』, 『일본의 사상』, 『전중과 전후 사이 1936~1957』, 『자기 내 대화』, 『마루야마 마사오 [전]집』(전 17권), 『강의록』(전 7권, 그 별책 전 2권), 『화문집(話文集)』(전 4권, 그 속편 전 4권), 『서간집』(전 5권), 『좌담』(전 9권), 『회고담』(전 2권), 일생에 걸친 미완의 프로젝트 『정통과 이단』이 포함된 『마루야마 마사오 [전]집 별집』(전 5권)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석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정치사상연구실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BK21 교수를 지냈다.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해왔으며, 아산서원 부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동양철학사, 한국정치사상, 그리고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한국정치사상사』, 『한국문화대탐사』, 『선비정신과 한국사회』 외 다수가 있다. 아울러 『일본정치사상사연구』, 『「문명론의 개략」을 읽는다』, 『마루야마 마사오: 주체적 작위, 파시즘, 시민사회』 등 일본 사상사 관련 저작을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을 해왔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