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59339112
· 쪽수 : 263쪽
· 출판일 : 2015-07-30
책 소개
목차
Q&A_01 강제동원이란?
Q&A_02 강제동원된 한국인 피해자의 수는?
Q&A_03 노무동원이란?
Q&A_04 징용이란?
Q&A_05 징병제도란?
Q&A_06 아시아태평양전쟁이란?
Q&A_07 공탁금은 무엇인가요?
Q&A_08 황민화정책이란 무엇인가요?
Q&A_09 창씨개명은 언제 어떻게 실시되었나요?
Q&A_10 노무자로 동원되는 과정은?
Q&A_11 노무동원의 동원 경로(할당모집, 국민징용, 관알선)란?
Q&A_12 노무동원을 담당한 행정 주체는?
Q&A_13 조선여자근로정신대란?
Q&A_14 여성들도 노무자로 동원되었나요?
Q&A_15 일본군‘위안부’란?
Q&A_16 ‘정신대艇身隊’와 ‘종군위안부從軍慰安婦’가 일본군‘위안부’피해자에 대한 적절한 명칭인가?
Q&A_17 일본군‘위안부’의 동원형태는?
Q&A_18 일본군‘위안부’로 강제 동원 당시 수송과정은?
Q&A_19 군속인가 군무원인가?
Q&A_20 지원병이란?
Q&A_21 육군특별지원병·해군특별지원병 제도란?
Q&A_22 학도지원병이란?
Q&A_23 학도지원병을 거부하고 ‘응징학도(또는 학도응징)’이 된 청년들
Q&A_24 자살특공대로 동원된 조선인 학도지원병이란?
Q&A_25 본토결전이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Q&A_26 조선인들이 해방 후 시베리아에 억류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Q&A_27 조선인 포로감시원이란 누구인가요?
Q&A_28 조선에도 연합군 포로수용소가 있었다는 게 사실인가요?
Q&A_29 남양군도로 동원된 조선인노무자란?
Q&A_30 조선인이 남양군도로 동원되는 과정은?
Q&A_31 남양군도 조선인 노무자들의 현지 생활 실태는?
Q&A_32 동토의 땅, 악마의 섬, 사할린이란?
Q&A_33 남사할린에 동원된 조선인노무자란?
Q&A_34 남사할린지역 노무동원 작업장 실태는?
Q&A_35 일본지역 노무동원 작업장 실태는?
Q&A_36 일본에 돈 벌러 갔다가 징용되는 경우도 있나요?
Q&A_37 한반도로 강제동원 된 피해자들은 무슨 일을 하였나?
Q&A_38 한반도지역 노무동원 작업장 실태는?
Q&A_39 한반도로 동원된 피해자들도 한국 정부 보상을 받았나요?
Q&A_40 강제동원피해와 관련해 한국정부가 작성한 명부가 있나요?
Q&A_41 강제동원된 조선인이 현지에서 가족과 함께 사는 경우도 있었나요?
Q&A_42 한국인 원자폭탄 피폭자가 있나요?
Q&A_43 ‘야스쿠니 신사靖國神社’, 무엇이 문제인가요?
Q&A_44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이란?
Q&A_45 유해와 유골은 어떻게 다르고, 위位, 주柱, 기基의 차이는 무엇인가?
Q&A_46 국가총동원법이란?
Q&A_47 국민징용령이란?
Q&A_48 노무조정령이란?
Q&A_49 국민노무수첩이란?
Q&A_50 국민근로동원령이란?
Q&A_51 노무자의 ‘전환배치’란?
Q&A_52 우편저금제도란
Q&A_53 후생연금제도란?
Q&A_54 ‘군수회사법’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