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DMZ가 내게 말을 걸다

DMZ가 내게 말을 걸다

(평화와 생태의 상징, DMZ의 모든 것)

박은진, 김엘리나(Kim Eleana), 김지욱, 김창환, 서예례, 소병천, 심숙경, 이기환, 장용석, 조도순, 최용환, 함광복 (지은이)
위즈덤하우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DMZ가 내게 말을 걸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DMZ가 내게 말을 걸다 (평화와 생태의 상징, DMZ의 모든 것)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6086637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3-12-14

책 소개

대한민국을 대표할 DMZ 종합 안내서가 한글판, 영문판으로 나왔다. 각 분야의 전문가 12명이 DMZ의 가치와 비전에 대한 다양한 전망과 활용 방안에 대해 모색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목차

1부 DMZ가 내게 말을 걸다
1장 | 민통선, 그곳에 사람이 살고 있었네 _ 함광복
DMZ 통신 #1 DMZ 브랜드마을 ‘통일촌’ _ 김지욱
2장 | DMZ의 어제와 오늘 _ 최용환

2부 DMZ를 따라 걷다
3장 | DMZ 일원의 자연경관 _ 김창환
4장 | DMZ 일원의 생태계 _ 조도순
5장 | DMZ 일원의 문화유산 _ 이기환

3부 DMZ, 경계와 접경 사이에서
6장 | 국제법으로 살펴보는 DMZ의 법적 쟁점들 _ 소병천
7장 | 독일 그뤼네스반트가 DMZ 토지 문제에 주는 교훈 _ 심숙경
DMZ 통신 #2 남북한의 두루미 보호사업과 NGO의 역할 _ 김엘리나

4부 DMZ의 미래를 스케치하다
8장 | DMZ의 위상 변화와 통일을 향한 준비 _ 박은진
9장 | 서해 위 또 하나의 경계, NLL _ 장용석
10장 | 남북 협력을 매개하는 탄력적 공간 디자인 _ 서예례

화보로 보는 DMZ
공간으로 보는 DMZ / 시간으로 보는 DMZ / 민통선지역의 8개 마을 / 추가령구조곡, 강변의 깎아지른 절벽, 주상절리 적벽 / DMZ 일원의 우수 생태계 / DMZ 일원의 역사 유산 / DMZ 일원의 평화안보·생태·역사유적 관광

저자소개

함광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관광공사 DMZ 명예홍보대사, 강원도민일보 논설위원 실장, G1강원민방 대기자, 방송위원 역임. 1985년 한국 언론 최초로 DMZ에 대한 자연 생태를 취재, 기사화했으며, DMZ를 집중 조명한 기사로 두 번의 한국기자상을 받았다. 저서에 『할아버지, 연어를 따라오면 한국입니다』, 『한국 DMZ, 그 자연사적 탐방』, 『DMZ는 국경이 아니다』 등이 있다.
펼치기
이기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히스토리텔러. 고고역사학자. 우리 역사 속 다양한 유물과 유적, 인물과 사건에 얽힌 에피소드를 깊이 있는 분석과 흥미진진한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소개하며 ‘역사 저널리즘’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에 입학한 뒤 기자로서의 꿈을 좇아 1986년 〈경향신문〉에 입사했다. 여러 부서를 거친 후 2000년부터 문화부에서 문화유산 담당 기자로 일했다. 단순한 스트레이트 기사보다 기획기사로 독자들과 호흡하자는 생각으로 고고학 발굴과 역사를 접목한 다양한 칼럼을 기획했다. ‘한국사 미스터리’, ‘한국사 기행’, ‘코리안루트를 찾아서’, ‘분단의 섬 민통선’ 등 대중의 큰 관심과 화제를 모았던 글들이 이때 탄생했다. 이즈음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으면서 문화유산 전문기자가 되었다. 2011년부터 〈경향신문〉에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를 연재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400편 넘게 이어오고 있다. 2021년부터는 3년간 〈주간경향〉에서 ‘이기환의 하이스토리(Hi-Story)’도 연재했다. 신문 외에도 팟캐스트, 블로그, 유튜브(이기환의 하이스토리), KBS, MBC, 국군방송 등 여러 매체를 통해 대중과 소통해왔다. 지은 책으로 《흔적의 역사》 《성산 장기려》 《한국사 기행》 《분단의 섬 민통선》 《코리안루트를 찾아서》(공저) 《한국사 미스터리》(공저) 등이 있다. 팟캐스트: http://www.podbbang.com/ch/8383 블로그: http://leekihwan.khan.kr (2015 파워블로거)
펼치기
최용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 아주대 등에서 국제관계와 북한 문제를 주제로 강의했다.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국가안보실 및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주된 연구 관심사는 북핵 문제, 남북관계 및 한반도 안보 등이며, 최근의 주요 연구 및 공저로 『전환기 동북아질서와 한중관계의 재구성』 『경계에서 분단을 다시 보다』 『한반도 안보환경의 변화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북핵과도기 한국의 안보정책 과제와 쟁점』 등이 있다. 또한 『대타협: 북한 vs 미국, 평화를 위한 로드맵』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소병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Pace University, School of Law(법학박사 S.J.D) American University, Washington College of Law 법학석사(LL.M.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Tulane University, School of Law 법학석사(LL.M. in Energy and Environmental Law) (현)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뉴욕주 변호사국제법평론회 회장한국환경법학회 부회장환경부 규제개혁위원회 위원환경부 화학관리위원회 부위원장환경부 화학물질정보공개심의위원회 위원환경부 통합환경관리정보공개심의위원회 위원 유럽연합 환경법(공저) 고시계사 2016 환경판례백선(공저) 박영사 2019 국제법상 기후변화피해책임-기후변화협상 Loss & Damage 논의를 중심으로 2016(논문) 국외 발생 미세먼지 관련 국제법적 분석 및 대응방안 2017(논문)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환경법, 정책적 소고 2018(논문) 미국 환경법 최근 입법동향 2019(논문) 외 다수
펼치기
박은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수변생태계 질소순환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시간주립대, 경기연구원 연구원을 역임했다. 주연구분야는 생태계보전으로 토양탄소 저장연구, DMZ 생태보전대책 등이다. 최근에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자연기반해법(NbS) 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다. 공저서로『DMZ가 말을 걸다』, 공역서로『생태학-과학과 사회를 잇는 다리』 등이 있다.
펼치기
김창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DMZ HELP 센터 소장, DMZ 메디컬 지오피아 사업단 단장, (사)한국 지오피아 연구원 원장, 국무총리실 산하 접경지역 정책심의위원. 저서에 『자연지리학 사전』(공저), 『생활과 지리』(공저), 『김창환 교수의 DMZ 지리 이야기』 등이 있다.
펼치기
장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 행정관, 대통령 비서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행정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논저에 “서해 북방한계선과 평화협력 특별지대 재론”, “북·중 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 “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개념, 쟁점, 추진 방향”, “국가사회주의와 국가 계급지배의 동태성: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 등이 있다.
펼치기
김엘리나(Kim Eleana) (지은이)    정보 더보기
뉴욕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의 국제입양에 관한 책 “Adopted Territory : Transnational Korean Adoptees and the Politics of Belonging(2010, Duke University Press)”을 출간했으며, 현재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NEH/SSRC International Area Studies의 지원을 받아 한반도 DMZ와 그 생태문화적 가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DMZ 관련 연구는 SINO-NK(sinonk.com)에 소개되어 있으며, 레이첼카슨센터 저널에도 실릴 예정이다.
펼치기
김지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학연구팀 팀장, 민속학자. 2013년 DMZ 통일촌브랜드마을 육성사업을 총괄 기획, 추진했다. 경기도문화재전문위원, 남양주·안산·수원·광주 등 시군지 편찬위원을 역임했고, 현재 수원박물관·남양주역사박물관 운영자문위원, 광주·수원·연천 향토유적위원 등을 맡고 있다. 「경기 민속지」, 「경기도 사람, 경기도 이야기」, 「용강리 마을지」, 「봉안 마을지」, 「통일촌 마을지」 등을 발간했다.
펼치기
서예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예례는 건축, 도시설계사이자 교육자로서,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도시설계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건축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코넬대학교, 바너드/컬럼비아 대학, 뉴욕시립대학, 프렛인스티튜트에서 전임강사, 겸임교수로 활동한 바 있다. 또한 그는 Office of Urban Terrains의 실장으로 미국 뉴욕, 뉴저지주 건축사 자격증, 친환경 건축, 시공 자격증인 LEED AP BD+C를 소지하고 있다. 서예례는 연구, 디자인 작업을 통해 대안공간전략 생산과정으로 건축과 도시를 연구한다. 그의 작업은 도시, 건축의 사회, 정치, 경제적 행위능력과 자연적, 인공적 생태시스템을 활용한 탄력적 메커니즘으로서의 가능성을 물색한다. 남북한 도시, 건축 연구 프로젝트인 ?평행적 유토피아(Parallel Utopias)?는 2008년 그라함 재단, 2009, 2010년 코넬예술재단, 2012년 로치재단 그랜트를 수상하였으며, 이는 2014년 14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에 전시되었다.
펼치기
심숙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를린 훔볼트대학교에서 “Governance of the German Green Belt Ecological Network?mplications for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2011)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경기개발연구원에서 근무하였고, IUCN 세계보호지역위원회(WCPA) 위원, IUCN 접경보전 전문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 전문위원, 환경부 MAB(인간과생물권계획) 한국위원회 위원, 환경운동연합 정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조도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생태학회 회장, 유네스코 MAB(인간과생물권계획) 한국위원회 부위원장,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국제자문위원회(IACBR) 위원. 미국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보호지역포럼 위원장, 중앙문화재위원(천연기념물분과)을 역임했다. 논저로 “Natural Protected Areas of Republic of Korea”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왜 독수리는 유독 DMZ 인근에 밀집하는 걸까? 조금만 더 남하하면 세계적인 철새 도래지 천수만이 있다. 또 을숙도, 주남저수지, 순천만, 금강 하구, 해남 지역 등 다른 철새 도래지도 많다. 독수리 먹이인 동물 사체도 그만큼 풍부할 텐데 거길 마다하고 민통선 인근 지역으로 몰려오는 이유는, 민통선지역이 출입을 통제받는 지역인 만큼 인간의 간섭이 최소화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하다. 어쩌면 민통선 사람들의 ‘못 말리는 먹이 주기’가 해마다 독수리를 불러들이는 이유가 아닐까? 민통선 사람들과 철새가 빚어놓은 ‘자연과 인간의 동행’, 이는 민통선 마을은 사라지지만 민통선 사람들의 문화가 빚어 숙성시킨 아름다운 아이디어다.
_18쪽 <민통선, 그곳에 사람이 살고 있었네> 중에서


한반도의 DMZ는 전쟁이 끝난 상태가 아니라 정전 혹은 휴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완충지대이다. 하지만 DMZ에서 남북한 간의 무력 충돌은 최근까지 계속되었다. 남한에서는 이런 갈등의 공간을 협력의 공간으로 바꾸기 위해 끊임없이 제안과 노력을 해왔고, 그 결과 DMZ의 평화적 이용 가능성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한편 정전 상태가 60년 이상 지속되면서 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에서 뜻하지 않은 변화가 발생했다. 분쟁과 갈등의 공간 안에 자연의 생태환경이 복원되면서 새로운 희망이 스며든 것이다. 이제 한반도의 DMZ는 생태·환경·생명이라는 미래지향적 가치의 보고로 변모하고 있다.
_52쪽 <2장 DMZ의 어제와 오늘> 중에서


DMZ 일원의 생태계 보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DMZ 자체를 보전하는 것이다. DMZ는 정전협정에 의해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어 보호되고 있고, 민통선지역은 군사시설보호법으로 보호되고 있다. 그러나 정전협정과 군사시설보호법은 생태계 보전이 목적은 아니며, 통일이 되면 이 두 가지는 효력이 정지되면서 생태계 보전에 공백이 생길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보전 정책이 미리 준비되지 않는다면 통일이 됐을 때 그로 인한 혼란 속에 생물의 서식처가 급격히 파괴될 위험이 있다. 60년에 걸쳐 복원된 이곳의 생태계 보전을 위해서는 국립공원이나 천연보호구역과 같은 국내법상의 자연보호지역 지정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보호지역 체제도 도입해야 할 것이다.
_102쪽 <4장 DMZ 일원의 생태계>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